소개글
"경영학과 졸업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2. OTT 서비스 이해
2.1. OTT 서비스의 정의
2.2. OTT 서비스의 특징
3. 국내 OTT 서비스 시장 및 기업 현황
3.1. 넷플릭스(Netflix)
3.2. 웨이브(Wavve)
3.3. 쿠팡플레이(Coupang Play)
4. 쿠팡플레이의 SWOT 분석
4.1. 강점(Strength)
4.2. 약점(Weakness)
4.3. 기회(Opportunity)
4.4. 위협(Threat)
5. 전략 제언
6. 결론
6.1. 연구 요약
6.2. 한계점 평가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기업의 경영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OTT(over-the-top)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2016년 1월 7일 넷플릭스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 이후, 2021년 3분기 기준 넷플릭스 전 세계 누적 가입자 수가 2억1천360만 명을 돌파하는 등 OTT 서비스 시장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시장 변화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OTT 서비스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경영전략을 검토하고, 국내 OTT 서비스 사업자 중 하나인 쿠팡플레이를 선정하여 SWOT 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성공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본 연구에서는 OTT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내 OTT 서비스 시장에 진출한 기업 중 쿠팡플레이를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먼저 OTT 서비스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 OTT 서비스 시장 및 주요 기업 현황을 파악한다. 이어서 쿠팡플레이의 내부적 강점과 약점, 외부적 기회와 위협 요인을 SWOT 분석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쿠팡플레이가 취할 수 있는 전략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을 평가하여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OTT 서비스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2. OTT 서비스 이해
2.1. OTT 서비스의 정의
OTT 서비스의 정의는 Over-The-Top의 약어로,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 영화, 방송, 동영상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 중심의 사업자를 의미한다. 말 그대로 '기존의 범위를 넘어선' 새로운 가능성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플랫폼에 대한 제한 없이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러한 OTT 서비스는 소비자의 편리성과 접근성을 높이면서도 폭넓은 콘텐츠 선택권을 보장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OTT 서비스 기업들은 단순히 기존 콘텐츠의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자체적인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주력하고 있다. 이는 공급자와의 교섭력 확보와 함께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으로 평가된다.
2.2. OTT 서비스의 특징
OTT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간편하게 영화, 드라마 등의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러한 편리성과 접근성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방대한 콘텐츠 속에서 소비자들에게 폭넓은 선택권을 줌으로써 그들의 니즈를 충족시킨다. OTT 서비스 기업들은 단순히 기존 스크린에서 상영되던 영화나 케이블TV에서 방영되던 드라마의 VOD 혹은 다시보기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이제는 자체적인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인다. 대표적인 OTT 서비스 기업인 넷플릭스는 최근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제작을 결정하여 제작비로 253억 원을 투자하였고, 이는 오징어 게임의 폭발적인 흥행과 수익 창출로 이어졌다. 이처럼 OTT 서비스 기업이 자체 제작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는 이유는 단순히 수익과 가입자 수의 확보뿐만 아니라 콘텐츠 공급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함이다. OTT 서비스의 요금 및 가격체계도 하나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미국의 경우 케이블TV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월 100달러 정도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OTT 서비스는 월 10달러 안팎의 비용으로 모든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드 커팅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등 OTT 서비스의 가격적 장점은 소비자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OTT 서비스 이용이 늘어나면서 국내형 OTT 서비스인 '웨이브(Wavve)'의 순 이용자 수가 2019년 11월 315만 명에 이르는 등 OTT 서비스를 이용한 콘텐츠 소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3. 국내 OTT 서비스 시장 및 기업 현황
3.1. 넷플릭스(Netflix)
1997년 설립되어 영화 DVD 대여 서비스로 그 사업을 시작한 넷플릭스는 사업 초기 경쟁기업에 밀려 어려움을 겪던 중, 1999년부터 매장에서 DVD를 대여해주던 기존의 사업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우편으로 고객이 원하는 DVD를 배달해주는 새로운 시스템을 정착시켰다. 이를 통해 고객은 DVD를 시청 후에 이를 다시 넷플릭스로 반납하지 않고 그 DVD를 원하는 다른 고객에게 보냄으로써 대여 시간과 우편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이는 큰 인기를 끌었고, 넷플릭스를 업계 1위로 올라서게 하였다. 그 사업 모델은 여러 번 바뀌었는데,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넷플릭스가 스트리밍 형식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던 것은 2007년부터이다. 이는 대공황 등의 경제적 상황 및 소비 패턴의 변화와 맞물려 넷플릭스의 OTT 서비스 성장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사람들은 외출을 줄이고 넷플릭스와 같은 저렴한 오락으로 눈을 돌렸고 게임기, 휴대폰, DVD플레이어 등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전자제품에 매력을 느끼게 되었다. 2010년에는 소위 'N스크린' 전략을 통해 다시 한 번 사업 패러다임을 바꾸었다. N스크린이란 수학에서 미지수를 나타내는 'N'과 화면을 뜻하는 '스크린'의 합성어로, TV뿐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기기에서 콘텐츠 또는 앱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N스크린 전략을 통해 넷플릭스가 유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다양한 기기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의 편리성과 적시성을 제고할 수 있었다. N스크린 전략은 큰 효과를 나타냈고, 넷플릭스의 가입자 수는 점차 증가하여 2017년 3분기에는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 구독자 수가 미국 내의 구독자 수를 뛰어넘게 되었다. 넷플릭스가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에 뛰어든 시기는 2016년이다. 넷플릭스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 시장을 "빠른 인터넷 속도와 뛰어난 통신망 인프라를 갖추고 있고 소비자의 수준 또한 높은 곳"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넷플릭스는 국내에 서비스를 출시한 이후 적극적으로 시장을 확대하며 한국형 오리지널 콘텐츠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다. 2017년 봉준호 감독의 영화 '옥자'를 시작으로, 드라마 '킹덤', '스위트홈', 'D.P', '오징어 게임' 등 국내외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끈 작품들에 투자해오고 있다. 콘텐츠에 추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판권을 구입하여 자사의 OTT 서비스에 배급하는 방식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LG U+와 같은 국내 사업자와 제휴하여 해당 통신사의 요금제를 이용하면 자사의 OTT 서비스를 수개월 간 무료로 이용하게 해주는 등 고객 유치에도 상당한 투자를 하였다. 이를 통해 2018년 42만 명이었던 국내 이용자를 2019년 186만 명으로 끌어올리는 등 국내 시장에서의 자사 서비스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콘텐츠 수급과 고객 유치를 위한 투자뿐만 아니라 넷플릭스를 넷플릭스답게 만들어주는 것은 다름 아닌 빅데이터를 통한 고객 맞춤형 콘텐츠 추천 서비스이다. 이 같은 넷플릭스만의 차별화된 서비스는 실제로 아마존과 같은 거대기업과의 경쟁에서 매우 유효한 무기로 작동되었다. 아마존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콘텐츠 라인업에도 불구하고 고객이 원할만한 콘텐츠를 적재적소에 공급했다.
3.2. 웨이브(Wavve)
웨이브(Wavve)는 2019년 출범한 국내 OTT 서비스이다. SK텔레콤의 OTT 서비스였던 '옥수수(Oksusu)'와 지상파 방송사 3사의 콘텐츠 플랫폼이었던 '푹(Pooq)'이 결합하여 출범한 것이다. 지상파 3사가 함께 참여한 OTT 서비스인 만큼 고객들이 지상파 3사의 모든 실시간 방송과 VOD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이 웨이브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이다. 현재 웨이브는 30만 편의 콘텐츠를 구축하고 있으며, 매일 방송사로부터 100여 편의 콘텐츠가 추가되고 있다. 또한 넷플릭스와 마찬가지로 웨이브는 판권을 구입해 영화 및 해외 드라마를 제공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미국의 프리미엄 영화채널인 HBO와 협업해 독점 드라마 공개로 사용자를...
참고 자료
권상집. 2015. “한류 증진을 위한CGV의 성장 전략: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576-588.
김대윤·이재호·정재완·백유진·강태창. 2021. “베트남 및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의 경영 실태와 생산성 분석. KIEP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제11권, 제22호.
뉴엔한나. 2013. “베트남에서의 한류 열풍: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레티투짱. 2011. “베트남에서 한류 드라마 시청형태가 한국의 국가 브랜드 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 사회 위험 인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남규. 2006. “CJ 엔터테인먼트: 한국의 역동적인 문화를 해외시장으로, 국제경영리뷰.” 제10권, 제3호, pp.189-222.
박영규. 1999. “해외진입전략유형에 따른 기업의 가치변화 비교연구, 경영학연구.” 제28권, 제3호, pp.705-728.
박진수, 최민정. 2010. “국내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성장과 도전: CJ 엔터테인먼트의 수직통합 사례를 중심으로. Korea Business Review.” 제14권, 제1호, pp.107- 133.
백서인, 권상집. 2015. “CJ E&M의 혁신 및 성장 메커니 즘: 기업가적 지향성, 융⋅복합 전략, 공유가치 창출, 기업경영연구.” 제22권, 제5호, pp.201-228.
송치훈, 박경도, 이호택. 2014.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보유시설, 상권 및 입지요인이 영화관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110-122.
육수현. 2015. “제한된 문화자본으로서의 한국어: 베트남 청년세대의 사회이동 과 혼종적 주체성, 전북대학교 대학원 고고문화인류학과, 박사 학위논문.”
윤하. 2017. “한국-베트남 영화 공동제작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예술학석사 학위논문.”
응왠티한융. 2015.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서비스요인이 고객의 소비가치 및 재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응웬 프엉 타오. 2015. “베트남 관객의 영화 소비동기 및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베트남, 한국, 미국 영화 소비 비교』. 세종대학교 대학원 신 문방송학과, 신문방송학 석사학위논문.”
이수범, 신선미. 2010. “영화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만족도와 신뢰도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제13권, 제2호, pp.221∼240.
최순규, 강지훈. 2017. “CJ CGV의 인수합병을 통한 베트남 극장 시장 선점 전략. Korea Business Review.” 제21권, 제3호, pp.113-145.
한재훈, 정지용. 2015. “한국 영화 산업의 신생 기업, N.E.W.의 성장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62-72.
정단비. 2023. “CJ CGV, 2022년 팬데믹 회복 기조에 전년 동기 比 매출액74%↑”, Daily Pop.“ https://www.dailypop.kr/news/articleView.html?idxno=66654
(검색일자:2023년02월09일).
조지영. 2022. “한-베30주년 수교 기념CGV 베트남 장·단편 영화X애니메이션10편 상영,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entertainments/movie/2022/11/30/N6G4TQZN7SNOMGORSGGYWRLRKU/ (검색일자:2022년11월30일).
Helen Pyon. 2022. “CJ CGV베트남, 하루 평균 매출36만1천달러…흑자전환 성공”Asean Daily, News.“
https://www.asean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3779 (검색일자:2022년12월20일).
영화진흥위원회 http://www.kofic.or.kr/ (검색일자:2023년10월20일).
유진투자증권 https://www.eugenefn.com/main.do (검색일자:2023년10월20일).
흥국리서치센터 http://www.heungkuksec.co.kr/ (검색일자:2023년10월20일).
CJ CGV http://www.cgv.co.kr/KOTRA (검색일자:2023년10월20일).
서옥선, “한국기업의 윤리경 정착을 한 방안에 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2003), p.46
이건희·최창명, “윤리경영론”, 서울:학문사(2004), p.15
이명환·이동길·오세현, “윤리경영과 지원시스템”, 경기도 파주 21세기북스(2006), p.24
최인철, “윤리경영의 선전사례와 도입방안”,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351호(2002)
최인철·이상민, “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삼성경제연구소(2002)
이건희·최창명, “윤리경영론”, 학문사(2004), p.16
임종운. "윤리경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학원(2010), p.10
박재린· 이종법, “기업윤리론”, 무역경사(2004), p.18
한국경학회 편, “한국의 기업윤리:실상과 과제”, 세경사(1998), pp.39-39
박재린· 이종법, “기업윤리론”, 무역경사(2004), pp.24-26
이경우. "윤리경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내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2010), p.8
김성수, “21세기 윤리경영론”, 서울:삼영사(2004), pp.9-10
이상민·최인철, “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삼성경제연구소(2002), pp.20-21
임종운. "윤리경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학원(2010), pp.10-11
이학종·이종건, “조직구성원의 윤리풍토에 대한 지작과 조직효율성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기업윤리학회(2000)
강양훈. "기업의 윤리적 리더와 윤리경영시스템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VOL.- NO.- (2012), pp.33-34
서성용. "윤리경영이 직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 VOL.- NO.- (2017), pp.22-23
강호철. "윤리경영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영향" VOL.- NO.- (2010), p.21
강양훈. "기업의 윤리적 리더와 윤리경영시스템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VOL.- NO.- (2012), pp.35-36
임종운. "윤리경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학원(2010), pp.40-41
한국경영자총협회, “윤리경영 국내기업 사례”(2006), p.528
㈜포스코 홈페이지 “기업윤리강령” 참조
정승윤, “대기업의 중소기업 상생협력 기사내용”, 동아일보, 2011.08.13.
한국경영자총협회, “윤리경영 국내기업 사례”(2006), pp.531-532
㈜이앤에스컨설팅 언론보도 참조
김지은(2003), “기업윤리는 기업 가치로 나타난다”, CHIEF EXECUTIVE, 통권 3호(2003), pp.28~31
한국경영자총협회, “윤리경영 국내기업 사례”(2006), pp.539-540
한국기업윤리학회, 윤리경영연구제1호(2007), p.97
한국경영자총협회, “윤리경영 국내기업 사례”(2006), pp.507-509
김영국. "우리나라 기업의 윤리경영 사례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2009) pp.42-43
김영국. "우리나라 기업의 윤리경영 사례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2009), pp.43-45
신계업리실천사무, “우리 신 실천사례(죤슨엔죤슨)”. vol.45(2003)
한국경영자총협회, 윤리경영 국내기업 사례(2006), pp.465-466
한국경영자총협회, “윤리경영 국내기업 사례”(2006), p.478
중앙시사매거진 기사 요약, 특별취재팀, 2018.10.15.
한국경영자총협회, “윤리경영 국내기업 사례”(2006), pp.480-483
국민권익위원회, 2018년 4월호, pp.10-11
한국경영자총협회, “윤리경영 국내기업 사례”(2006), pp.486-490
전국경제인연합회,“ 화제의 기업을 찾아서”, 「월간 전경련」. vol.499(2006)
이길성, LG디스플레이 블로그, 2020.06.21.
김영국. "우리나라 기업의 윤리경영 사례 연구" VOL.- NO.- (2009), pp.56-57
김영국. "우리나라 기업의 윤리경영 사례 연구" VOL.- NO.- (2009), pp.57-58
정한빛. "기업의 윤리경영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VOL.- NO.- (2012), p.50
신길순. "한국기업의 윤리경영 실천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VOL.- NO.- (2005), p.66
정한빛. "기업의 윤리경영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VOL.- NO.- (2012), p.51
정한빛. "기업의 윤리경영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VOL.- NO.- (2012), p.52
정은나. "공공기관 윤리경영의 특징과 발전방향" VOL.- NO.- (2006), p.62
국민권익위원회 홈페이지, 2017년 12월호
R. C. Baumhart, “How Ethical Are Businessmen?”, Harward Business Review(1977), pp.30-31
S. N. Brenner&E.A. Molander, “Is The Ethics of Business Changing?”, Harward Business Reveiw(1977), pp.57-71
Laczniak, op. cit, 1993
네이버 지식백과, “윤리경영”, 2020.05.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83631&cid=44412&categoryId=44412
티스토리, “윤리경영 실패사례 : 일본 유키지루시유업”, 2020.06.10
https://joko3081.tistory.com/57
네이버 지식백과, “엔론”, 2020.06.1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50788&cid=43167&categoryId=43167
위키백과, “고객만족”. 2020.06.10
https://ko.wikipedia.org/wiki/%EA%B3%A0%EA%B0%9D%EB%A7%8C%EC%A1%B1
티스토리, “존슨앤존슨”. 2020.05.23
https://gaia.tistory.com/entry/%EC%A1%B4%EC%8A%A8-%EC%95%A4-%EC%A1%B4%EC%8A%A8-%EC%9D%98-%EC%82%AC%ED%9A%8C%EC%A0%81-%EC%B1%85%EC%9E%84%EA%B3%BC-%EA%B8%B0%EC%97%85%EC%9C%A4%EB%A6%AC%EA%B0%95%EB%A0%B9-%EC%9A%B0%EB%A6%AC%EC%9D%98-%EC%8B%A0%EC%A1%B0-%EC%A1%B0%EC%A7%81%ED%96%89%EC%9C%84%EB%A1%A0
LG 경제연구원, “윤리 기업의 시대”, 2020.06.20
http://www.lgeri.com/report/view.do?idx=2622
네이버 블로그, “존슨앤존슨 : 우리의 신조”, 2020.06.15
https://blog.naver.com/ybkim25/150134883114
네이버 블로그, “존슨앤존슨 : 타이레놀 사건”, 2020.06.15
https://blog.naver.com/sakuramu/221861667776
LG 디스플레이, “성공하는 기업의 비결 – 듀폰”, 2020.06.15
https://blog.lgdisplay.com/2016/06/dupont/
국민권익위원회, “내부고발자를 지키기 위한 노력”, 2020.06.23
http://acrc.go.kr/acrc/briefs/201712/sub2.html
김동욱(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디어 · 콘텐츠 노동 환경의 변화,” 방송과 미디어, 22(3), 8-17.
김문조(2020), “뉴미디어 시대의 소비: 디지털 일상생활론적 접근,” 사회사상과 문화, 23(2), 39-64.
김영주(2015), “OTT 서비스 확산이 콘텐츠 생산, 유통, 소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27(1), 81-83.
김희경(2017), “넷플릭스 진출을 통해 본 국내 OTT 산업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재현(2011), “울산광역시의 SWOT이슈분석과 SWOT전략모델,” 지방정부연구, 15(1), 75-95.
박원준, 이지혜, 박지민(2020), “코로나19로 인한 미디어 이용 및 콘텐츠 시장의 변화,” 미디어 이슈&트렌드, 42-51.
배기형(2015), OTT서비스의 이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서기만(2011), “OTT 서비스의 이해와 전망,” 방송과 미디어, 16(1), 91.
송만석(2007), “프로야구 경기 직접관람 동기요인에 따른 지역연고 구단의 SWOT-AHP 평가,”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2(4), 161-177.
신호철, 김용희(2020), “OTT 사업자의 성공요인 분석: 영상 중심 미디어 기업과 IP중심의 미디어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21(3), 301-322.
양수영(2021), 콘텐츠산업 2021년 전망 보고서, 나주: 한국콘텐츠진흥원.
유재홍(2013), “스마트폰 기반의 게임 애플리케이션 제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경영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이정실(2014), “관광도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SWOT-AHP분석,” 관광레저연구, 26(4), 49-64.
이지현, 정회경(2013), “국내 미디어 선도기업 경영전략 분석 : CJ E&M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1(12), 41-47.
이희성(2016), “OTT 서비스의 이용 만족도 및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걸, 김미화(2014), “SWOT 분석에 기반한 한국형 MOOCs 설계요소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6), 615-624.
전이슬(2020), “급변하는 국내 OTT 시장 동향,”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69), 18-23.
최혜선, 김승인(2020), “국내외 OTT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연구 -넷플릭스와 왓챠, 웨이브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8(4), 425-431.
한정희, 조옥주(2014),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성공 및 실패 사례연구 : 조이큐브와 넷플릭스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13(1), 253-267.
Ananda, J., Herath, G.(2003), “The Use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Incorporate Stakeholder Preferences into Regional Forest Planning,” Forest Policy and Economics, 5, 13-26.
Keating, G.(2012), Netflixed: The Epic Battle for America's Eyeballs, New York: Penguin Books.
Kurttila, M., Pesonen, M., Kangas, J., & Kajanus, M.(2000), “Utiliz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n SWOT Analysis -A Hybrid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a Forest Certification Case,” Forest Policy and Economics, 1, 41-52.
강경루(2020), “쿠팡의 OTT ‘쿠팡플레이’가 의미하는 것,” 국민일보, 2020. 12. 24.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5359042&code=61171111
권도연(2017), “[IT열쇳말] 코드커팅,” 블로터, 2017. 12. 29. https://www.bloter.net/newsView/blt201712290001
김국헌(2021), “쿠팡이 '쿠팡플레이'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뉴스저널리즘, 2021. 11. 25. https://www.nge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04519
김민지(2021), “쿠팡, ‘5조원’ 확보 실탄으로 아마존 벤치마킹’··· OTT 사업 공격 투자,” 뉴스웨이, 2021. 06. 01. http://www.newsway.co.kr/news/view?ud=2021053116353965933
김현우(2021), “신규·해외 사업 순조로운 쿠팡…적자 축소 등 해결 과제도 산적,” 글로벌경제신문, 2021. 09. 09.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9701
김형훈(2018), “올드미디어와 뉴미디어의 상생,” 한동뉴스, 2018. 08. 29. https://www.hgu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6385
오수연(2021), “디즈니 콘텐츠 공급 중단에 이통3사 '초비상'…해외 콘텐츠 공백,” 아주경제, 2021. 08. 05. https://www.ajunews.com/view/20210805155535095
옥철(2020), “넷플릭스, 올해 콘텐츠에 20조원 투자…2028년엔 30조원,” 연합뉴스, 2020. 01. 18. https://www.yna.co.kr/view/AKR20200118013200075
이경탁(2021), “OTT 대세 증명한 넷플릿스...국내 월 사용자 천만명 넘어서,” 조선비즈, 2021. 03. 15.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3/15/2021031501234.html
정열(2021), “'한국의 아마존'이라더니…날개없이 추락하는 쿠팡 주가,” 연합뉴스, 2021. 11. 20. https://www.yna.co.kr/view/AKR20211119123700501
정윤섭(2018),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대박에 3분기 신규가입자 438만명↑,” 연합뉴스, 2021. 10. 20. https://www.yna.co.kr/view/AKR20211020011700075
정윤희(2019), “넷플릭스 韓이용자 1년새 4.4배↑..외국계 OTT 승승장구,” 헤럴드경제, 2019. 08. 29. https://biz.heraldcorp.com/view.php?ud=20190829000040
조양준(2021), “넷플릭스 '오징어게임'으로 1조원 잭팟,” 서울경제, 2021.10.17. https://www.sedaily.com/NewsVIew/22SRYB7EOH
Techopedia(2012), Cord cutting, 2012.06.13. https://www.techopedia.com/definition/28547/cord-cutting
https://www.netflix.com/(넷플릭스)
https://www.wavve.com/(웨이브)
https://ko.wikipedia.org/(위키피디아)
https://www.coupang.com/(쿠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