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정형외과는 뼈, 관절, 근육 등 운동기관과 관련된 질환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의학 분야이다. 정형외과 의학용어는 이 전문 분야의 다양한 구조, 기능, 병태생리, 수술 및 치료법 등을 정확히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문용어이다. 정형외과 의학용어에 대한 이해는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데 필수적이다. 또한 의사와 환자 간 효과적인 소통을 위해서도 정형외과 용어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정형외과 의학용어의 개념과 주요 용어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정형외과 질환 및 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2. 정형외과 용어의 이해
2.1. 신체 구조 및 기능
척추기둥 또는 척추의 구조이다. 경추는 C1~C7번 척추로 구성되며, 흉추는 T1~T12번 척추로, 요추는 L1~L5번 척추로 이루어져 있다. 척추에는 천골과 미골이 포함되며, 추간(원)판은 척추 사이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흉곽은 쇄골, 흉골, 늑골로 구성된다. 팔과 손은 척골과 요골로 이루어지며, 골반 및 고관절 부위에는 장골, 좌골, 치골 등이 포함된다. 다리와 발은 대퇴골, 경골, 비골로 구성된다.
2.2. 병태생리학적 용어
(bone lumbago 요통) 요통은 요추 부위에 발생하는 통증을 의미한다. 요통은 일반적으로 근골격계의 문제로 발생하며, 척추 구조의 퇴행성 변화, 근육 긴장, 염좌 등이 주요 원인이다.
(crepitation 염발음) 염발음은 관절 부위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소리로, 뼈와 연골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한다. 염발음은 골관절염, 외상 후 관절 변화 등 다양한 병태생리학적 상황에서 관찰될 수 있다.
(phantom limb pain 환상지통) 환상지통은 절단된 사지에서 느껴지는 통증을 의미한다. 이는 중추신경계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신경병증성 통증의 한 유형이다. 절단 수술 이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환상지통은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kyphosis 척추후만증) 척추후만증은 척추의 뒤쪽 부분이 비정상적으로 휘어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노화, 척추의 퇴행성 변화, 외상, 근골격계 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심한 척추후만증은 통증, 호흡 장애, 심미적 문제 등을 유발할 수 있다.
(lordosis 척추전만증) 척추전만증은 척추의 앞쪽 부분이 비정상적으로 휘어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주로 요추 부위에서 나타나며, 임신, 비만, 근육 약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과도한 척추전만증은 허리 통증, 자세 불균형, 신경학적 증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spina bifida 이분척추) 이분척추는 태아 발달 과정에서 척추와 척수가 완전히 발달하지 못하는 선천성 기형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척수 노출, 신경 결손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하지 마비, 배뇨/배변 장애, 수막류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osteoporosis 골다공증) 골다공증은 뼈 조직의 양과 질이 저하되어 뼈가 약해지는 질환이다. 주로 중년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며, 골절 위험이 증가한다. 원인으로는 노화, 호르몬 불균형, 부적절한 영양 섭취, 부동 등이 있다.
(osteomalacia 골연화증) 골연화증은 비타민 D 결핍으로 인해 골 무기질화가 저하되어 뼈가 연화되는 질환이다. 주된 증상은 골통, 근육 약화, 골절 위험 증가 등이며, 고령, 흡수 장애, 신부전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fracture(Fx) 골절) 골절은 뼈의 연속성이 완전히 또는 불완전하게 끊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골절의 유형에는 폐쇄골절, 개방골절, 압박골절, 함몰골절 등이 있으며, 원인으로는 주로 외상, 병적 골약화, 뼈 결손 등이 있다.
(multiple myeloma 다발성 골수종) 다발성 골수종은 형질세포 종양의 일종으로, 골수에서 암세포가 증식하여 골 용해, 병적 골절, 빈혈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주된 증상으로는 골통, 병적 골절, 신부전, 빈혈 등이 있다.
(arthralgia 관절통) 관절통은 관절 부위에 발생하는 통증을 의미한다. 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외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관절통이 발생할 수 있다.
(arthritis 관절염) 관절염은 관절의 염증을 의미하며, 연골 손상, 관절 기능 저하, 통증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대표적인 관절염에는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다.
(rheumatoid arthritis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은 자가면역 질환의 일종으로, 관절 조직에 만성 염증이 발생하여 관절 손상과 변형을 초래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관절통, 부종, 경직 등이 있다.
(dislocation 탈구) 탈구는 관절의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를 의미한다. 외상, 선천적 요인, 반복적 스트레스 등이 탈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sprain 염전, 염좌) 염좌는 관절 주변 인대의 손상을 의미한다. 갑작스럽고 심한 운동, 외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통증, 부종, 관절 기능 저하 등이 나타난다.
(strain 좌상) 좌상은 근육, 건, 힘줄 등의 연부조직 손상을 의미한다. 과용, 외상 등에 의해 발생하며, 통증, 부종, 운동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c(HIVD) 추간판탈출증) 추간판탈출증은 척추 사이의 디스크가 파열되어 주변 조직을 압박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로 인해 요통, 하지 방사통, 신경학적 증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myalgia 근육통) 근육통은 근육 부위에 발생하는 통증을 의미한다. 외상, 과도한 운동, 근육 경련 등이 근육통의 주요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