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보건소 분야별 사업자료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최초 생성일 2025.06.21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보건소 분야별 사업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소 개요
1.1. 보건소의 사업목적과 사업내용
1.2. 함안보건소 연혁
1.3. 함안보건소의 조직 체계
1.4. 함안보건소의 업무

2. 보건소 관할 지역사회 사정
2.1. 관할 지역 현황 특성
2.2. 인구 특성
2.3. 건강 특성
2.4. 지역 사회 자원

3. 함안보건소 각 분야별 사업과 관련법
3.1. 금연
3.2. 절주
3.3. 영양
3.4. 신체 활동
3.5. 구강 건강
3.6. 자살 예방
3.7. 치매
3.8. 중독
3.9. 지역사회 정신건강
3.10. 암
3.11. 심뇌혈관질환(심뇌혈관질환, 선행 질환)
3.12. 비만
3.13. 감염병 예방 및 관리(결핵, 에이즈, 의료감염, 항생제 내성, 예방행태 개선포함)
3.14. 감염병 위기 대비 (검역/감시 예방접종 포함)
3.15. 영유아
3.16. 여성
3.17. 노인
3.18. 장애인

4.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4.1. 일차의료의 개념
4.2. 보건진료전담 공무원의 자격, 역할 및 기능

5. 지역사회 사정자료 요약 및 분석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소 개요
1.1. 보건소의 사업목적과 사업내용

보건소의 사업목적과 사업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역보건법 제1조에 따르면 보건소는 지역보건의료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지역주민의 건강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보건법 제11조에 의하면 보건소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서 건강 친화적인 지역사회 여건의 조성, 지역보건의료정책의 기획·조사·연구 및 평가, 보건의료인 및 보건의료기관에 대한 지도·관리·육성과 국민보건 향상을 위한 지도·관리, 보건의료 관련기관·단체, 학교, 직장 등과의 협력체계 구축,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관리를 위한 국민건강증진·구강건강·영양관리사업 및 보건교육,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 모성과 영유아의 건강유지·증진, 여성·노인·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건강유지·증진, 정신건강증진 및 생명존중, 지역주민에 대한 진료·건강검진 및 만성질환 등의 질병관리, 가정 및 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의료 및 건강관리사업, 난임의 예방 및 관리 등의 기능 및 업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보건소의 사업목적과 사업내용은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1.2. 함안보건소 연혁

함안보건소는 1963년 3월 설치되었다. 1985년 5월 모자보건센터를 설치하였고, 1989년 2월 보건의료원으로 승격 개원하였다. 1997년 12월 보건의료원을 신축하였고, 2003년 1월 1일 함안군 보건소로 기능 전환하였다. 2005년 4월 안과가 폐지되었고, 2005년 7월 체력단련실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2009년 건강체험방을 운영하기 시작하였고, 2010년 함안군 보건소를 리모델링하였다. 2011년 9월 진료담당과 보건지소담당이 신설되었고, 2014년 2월 3층을 증축하였다.

함안보건소는 1963년 설립 이래 지역 보건의료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모자보건센터 설치, 보건의료원 승격, 보건소 신축 및 증축 등 보건소 기능과 시설을 확대해왔다. 또한 진료담당과 보건지소담당 신설, 체력단련실과 건강체험방 운영 등 보건사업 분야를 다각화하며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처럼 함안보건소는 지역의 변화와 주민 수요에 맞추어 보건의료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확대해온 것으로 볼 수 있다.


1.3. 함안보건소의 조직 체계

함안보건소의 조직 체계는 보건행정과와 건강증진과로 나뉘어져 있다. 보건행정과에는 보건행정담당, 감염병관리담당, 의약담당, 진료담당, 지역보건담당 등의 부서가 있다. 건강증진과에는 건강증진담당, 건강관리담당, 구강보건센터, 정신보건담당, 만성질환담당, 치매안심담당 등의 부서가 있다. 보건행정과는 보건행정, 감염병 관리, 의약, 진료, 지역보건 업무를 총괄한다. 건강증진과는 금연, 절주, 영양, 신체활동, 구강건강, 자살예방, 치매, 중독, 정신건강, 암, 심뇌혈관질환, 비만, 감염병 예방 및 관리, 영유아, 여성, 노인, 장애인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이와 같이 함안보건소는 보건행정과와 건강증진과로 구성되어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보건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1.4. 함안보건소의 업무

함안보건소의 업무는 다음과 같다.

보건행정과에서는 보건행정 업무 기획조정, 직원 및 공중보건의사 인사·복무, 감염병 환자이송 차량 및 승합차량 운행·관리, 예산ㆍ회계 및 지출, 계약 및 물품구매,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사업, 보건기관 시설 및 공공요금 등 관리, 보건소 보일러 유지 관리, 각종 업무보고 및 주간업무계획, 비밀문서 및 보안업무, 지역아동센터 건강주치의제 업무, 일반서무, 정보전산 전반, 기록물관리 및 문서접수, 초과근무 관리 및 당직근무명령, 제증명발급, 지문인식기시스템 관리, 보건통계, 의료기관 출장검진신고 수리 및 등록, 의료인력 등 지원관리, 장비 및 물품관리, 공유재산관리 등을 담당한다.

감염병관리담당에서는 감염병관리담당 업무 총괄, 기생충 퇴치사업, 코로나19 대응 업무를 수행한다.

질병관리담당에서는 감염병 예방 및 관리 대책, 생활방역 업무, 손씻기 등 감염병 예방교육, 개인보호구, 소독물품 등 물품관리, 진드기매개 감염병 예방관리, 코로나19 대응 관련, 국가 결핵 관리 사업, 한센환자·간이양로시설 관리, 성병 및 에이즈예방관리사업, 소독의무대상시설 관리, 감염병 예방관리 업무지원, 국가예방접종사업, 필수예방접종비용 국가부담사업, B형간염 수직감염 예방사업,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사업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의약담당에서는 의약담당 업무 총괄, 신속대응반 구성·운영, 헌혈·장기기증 관련 업무, 의료기관 및 의약업소 등 지도점검, 의료법 관련업무, 의료기관 개설 및 변경 허가(신고) 관리, 진단용 방사선 장치 및 특수의료장비 관련업무, 정신의료기관 관련업무, 국가안전대진단, 의료기관 세탁물 처리업소 등록·관리,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관련업무, 보건의료재난대응 업무, 약사법 및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관련업무, 의료기기 판매(수리)업소 허가(신고) 관리, 의료업소(안경업소 등) 관리업무 지원, 무료 안경 지원 사업을 담당한다.

진료담당에서는 진료담당업무 총괄, 모자보건사업 총괄, 어르신 인공관절 사업, 심장병 무료검진 사업, 진료실 운영관리(야간진료실 포함), 물리치료실, 재활치료실 운영, 영상의학실(방사선실) 운영, 골밀도검사 및 장비관리, 의료폐기물 관리(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노인개안수술 연계사업, 저소득층 노인시력 찾아드리기 사업,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 관리, 모자보건사업 계획수립,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업,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 의료비 지원 사업, 고위험임산부의료비 지원 사업, 난임부부 지원 사업, 저소득층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사업, 청소년산모 의료비 지원 사업, 태아기형아 및 가임여성 풍진 검사비 지원 사업, 아이(손주) 돌봄 교실 운영, 출산·육아 동아리방 운영, 임산부건강교실 운영 및 임산부의 날 행사운영, 일반검진, 영유아검진 및 검진비 청구, 저소득 어르신 청력 검진비 지원 사업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지역보건담당에서는 지역보건담당 업무 총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서비스 시범사업 총괄, 간호학과 실습생 관리, 의료취약지 의료지원 시범사업 총괄, 경남형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담당 내 서무(주요업무, 여비 등), 대산면보건지소 진료 지원, 법수면보건지소 진료 지원, 맞춤형 보건복지서비스 및 특성화사업 운영, 보건소 보건사업 지원, 보건지소 및 진료소 의약품 및 의료소모품 구입, 관련 업무, 보건지소 및 진료소 프로그램 운영, 보건지소 진료 지원, 보건지소·진료소 운영관리, 보건지소·진료소 운영지원, 보건진료소 기간제 채용 및 관리, 의료취약지 의료지원 시범사업, 임시예방접종사업, 진료수입수납 및 청구, 칠북면보건지소 진료 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건강증진과에서 건강증진담당은 건강증진담당 업무 총괄, 통합건강증진사업 전문인력 관리, 한의약건강증진사업, 건강생활지원센터 운영 및 관리 총괄, 공무직 근무상황관리, 인력채용 및 관리, 차량관리, 장비 및 시설물 관리, 건강생활지원센터 프로그램 운영 및 물품관리, 통합건강증진사업 총괄, 계획서·우수사례·결과보고서 작성, 예산 및 회계 관리, 기간제 근로자 인력채용, 공무직, 기간제 인력관리 및 인건비 지급,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사업, 건강증진과 업무보고 및 주간업무계획, 비밀문서 및 보안업무, 일반 서무, 담당 내 서무(출장 등), 차량관리, 신체활동, 걷기운동사업,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사업, 영양, 비만예방관리사업, 영양플러스사업, 영양실, 건강체험방, 요리교실 등 관리, 절주사업(음주폐해예방관리), 금연지원서비스사업 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건강관리담당에서는 건강관리담당업무 총괄, 외국인 근로자 건강관리 지원, 검진기관 지정, 구강보건센터 업무 전반, 어르신틀니 임플란트 보급 사업, 중증장애인 치과진료비지원 사업, 장애인 의치보철 사업, 학교 구강보건사업, 장애인 구강보건사업, 65세이상 어르신 무료 스케일링 불소도포 사업, 청소년 무료 스케일링 사업, 영유아 불소도포 사업, 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 아동·청소년정신보건사업, 자살예방사업, 기초정신건강심의(심사)위원회 운영, 국가암·생애검진 등 일반검진사업, 의료급여수급자 암검진 및 비급여비지원, 재가암 관리 및 프로그램운영, 특수질병 및 뇌질환 정밀검진사업(MRI,MRA), 희귀난치성질환·암 의료비지원, 사전연명의료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만성질환담당에서는 만성질환관리사업 총괄, 모바일 헬스케어사업, 지역사회건강조사 지원,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사업, 고혈압 ·당뇨·고지혈증 등록관리센터 운영, 만성질환자 등록·관리사업, 당뇨모니터링사업, 지역사회건강조사/국민건강영양조사, 키오스크 관리,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재활운동 및 물리치료, 방문건강관리사업 총괄, 건강아리미사업, 취약계층 의료비지원 사업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치매안심담당에서는 치매안심담당업무 총괄(3개 권역), 가족지원 사업 전반(자조모임 및 가족카페 운영), 치매공공후견사업, 치매인식개선 및 교육·홍보사업, 치매파트너 및 치매극복선도단체 양성, 치매파트너 자원봉사단 운영 및 관리, 3개 권역 치매안심센터 예산 총괄, 3개 권역 치매안심센터 운영계획 수립, 군북권 치매안심센터 운영 전반, 군북권 치매환자 맞춤형사례관리 총괄, 담당 내 서무/쉼터 운영, 쉼터 운영 계획수립, 물품구입, 강사료 등, 조호물품 등 각종 계약, 구입, 지출 등, 조호물품 배정 및 관리, 치매가족 지원 사업(자조모임 및 가족카페 운영), 치매공공후견사업, 치매노인실종예방사업, 치매상담 및 등록관리, 치매안심마을 운영(홍보, 선정, 운영 등), 치매안심센터 공무직 급여 지급 및 관리, ...


참고 자료

국가법령정보센터 지역보건법,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30328&lsiSeq=249319#0000, 23.06.19
창원시 진해보건소, https://www.changwon.go.kr/depart/contents.do?mId=0608010000, 23.06.19
창원시청, https://www.changwon.go.kr/cwportal/portal.web, 23.06.19
김해 분야포털, https://www.gimhae.go.kr/00976/01553/07920.web 23.06.19
공공데이터포털, https://www.data.go.kr/index.do, 23.06.19
e-나라지표, https://www.index.go.kr/unity/potal/eNara/main/EnaraMain.do?cdNo=000, 23.06.19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 23.06.19
창원시 빅데이터포털, http://bigdata.changwon.go.kr/portal/main/main.do, 23.06.19
디지털창원 문화대전, http://www.grandculture.net/changwon, 23.06.19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 https://chs.kdca.go.kr/chs/main.do, 23.06.23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 최신 지역사회 보건간호학2, 수문사, 2021, p589,594,621-622, 23.06.23
함안보건소, https://www.haman.go.kr/health/06852.web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2, 수문사, 2019.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공실제로 인구 현황, https://www.osilzero.com/283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심폐소생술 시행 시 심장정지 생존율 최대 3.3배 향상”, 2019
통계청,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행정안전부, https://www.mois.go.kr/frt/a01/frtMain.do
국가지표체계,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37
만성질환건강통계,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pblcVis/main.do
경상남도치매발병센터, https://gyeongnam.nid.or.kr/
복지로, http://m.bokjiro.go.kr/mobile/main.do?device=web
의약뉴스, “복지부 암환자 의료비 지원기준 고시 개정,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133
국제신문, “작년에도 34억 못 줬는데 뒤로 밀린 암 환자 의료비 지원”,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210302.22010000347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개편방안 연구, 순천향대학교 산학 협력단, 2019
2020 암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20
마산보건소 https://www.changwon.go.kr/depart/contents.do?mId=0605010000
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index.es?sid=a2
지역사회보건간호학편찬위원회. 지역사회보건간호학2. 수문사. 2021. p589~594, p621~624
사천시청 https://www.sacheon.go.kr/intro/01613/04299.web
사천보건소 https://www.sacheon.go.kr/life/00327/00639.web
마산보건소 https://www.changwon.go.kr/depart/contents.do?mId=0605010000
kosis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217&tblId=DT_217D2017D0012&vw_cd=&list_id=00000123&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R1&path
통계지리정보 시스템
https://sgis.kostat.go.kr/view/house/houseAnalysisMap?type=full&sido_cd=38&sgg_cd=360
공공데이터 포털 https://www.data.go.kr/index.do
마산보건소 https://www.changwon.go.kr/depart/contents.do?mId=0605010000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LSW/lsSc.do?dt=20201211&query=%EB%86%8D%ED%8A%B9%EB%B2%95&subMenuId=15&menuId=1#liBgcolor1
지역사회보건간호학편찬위원회. 지역사회보건간호학2. 수문사. 202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