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역동학검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5.06.19
4,6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요역동학검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요역동학 검사
1.1. 개요
1.2. 목적
1.3. 검사 방법
1.4. 물품 준비
1.5. 검사 절차

2. 방광내압 측정
2.1. 목적
2.2. 방법
2.3. 검사 전 간호
2.4. 검사 후 간호

3. 골반저 근전도 검사
3.1. 목적
3.2. 방법
3.3. 검사 전 간호
3.4. 검사 후 간호

4. 배뇨이상의 진단
4.1. 문진
4.2. 신체검사
4.3. 소변검사
4.4. 혈액검사
4.5. 배뇨일지
4.6. 패드검사
4.7. 잔뇨 측정
4.8. 요역동학 검사
4.9. 영상검사
4.10. 방광경 검사

5. 배뇨이상의 치료
5.1. 방광의 저장 기능 장애 치료
5.2. 방광의 배뇨 기능 장애 치료
5.3. 배뇨이상의 흔한 원인 질환 및 치료

본문내용

1. 요역동학 검사
1.1. 개요

요역동학 검사는 방광과 요도 등 하부요로의 저장 기능과 배뇨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검사이다. 배뇨 이상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침 결정을 위해 필수적으로 시행되는 검사이다. 방광 내압 측정, 요도압 측정, 골반저근 전도 검사 등을 통해 방광과 요도 괄약근의 기능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요역동학 검사는 배뇨 장애가 의심되는 환자에게 시행되며, 배뇨 곤란, 요실금, 신경인성 방광 등의 진단과 치료 방침 결정에 활용된다. 검사 과정에서 다양한 검사 기구와 장치를 사용하며,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수적이다. 요역동학 검사 결과를 토대로 개별 환자에 맞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1.2. 목적

요역동학 검사의 목적은 하부 요로의 요의 저장 및 주기적인 배출 기능을 조사하고, 방광과 요도괄약근의 상호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각종 배뇨기능장애, 즉 배뇨곤란, 요실금, 신경인성 방광 등을 진단하고, 그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문진이나 신체검사, 방사선검사, 내시경검사 등으로 알 수 없는 하부 요로의 생리학적 기능과 병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3. 검사 방법

요역동학 검사에는 요류 검사, 방광내압 검사, 충전 방광내압 검사, 요도압 측정, 근전도 측정 등 다양한 검사 방법이 포함된다. 이러한 검사 방법을 통해 방광과 요도괄약근의 동적, 기능적 활성을 조사하고 양자의 상호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검사를 시행하기 전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방광을 비우게 한다.

검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요류 검사를 시행하여 방광 출구의 폐색 정도와 배뇨근의 수축 정도를 확인한다. 이후 환자를 검사침대에 눕히고 요도 카테터와 직장 카테터를 삽입한 뒤, 방광내압 측정 검사를 시행한다. 이때 환자의 자세, 카테터 위치, 공기 유무 등을 확인하여 정확한 압력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충전 방광내압 검사는 방광에 생리식염수를 점진적으로 주입하면서 압력 변화를 관찰한다. 이를 통해 방광의 저장 능력과 감각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요도압 측정 검사는 방광내압 검사 후 요도 카테터를 다른 기기에 연결하여 시행한다.

검사 과정에서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각 검사 후에는 검사기기와 부속품을 정리하고, 환자의 안전을 확인한다.


1.4. 물품 준비

N/S 1L (1~2개), Urinary catheter(2lumen cathe), Rectal catheter, EMG electrode 3개, N-catheter(6fr.), Lub gel이 요역동학검사 준비물이다. Foley set, potadine ball, Surgical glove(3개), 멸균 poly glove(3개), 반창고, 10cc syringe (needle)도 준비물이다. 이러한 물품들은 요역동학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다.


1.5. 검사 절차

검사 대상자가 오시면 먼저 요속검사를 시행한다. 대상자가 충분히 소변을 참은 상태인지 확인한 후 요속검사를 진행한다. 요속검사가 끝나면 검사침대에 녹포를 깔고 대상자를 누워 자세를 취하게 한다. 그리고 잔뇨를 확인하기 위해 nelaton 도뇨관을 이용하여 잔뇨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다음으로 압력-요류검사(Pressure Flow Study)를 시행한다. 검진대와 대상자의 방광 위치가 같도록 높이를 조절한 후 urinary catheter와 rectal catheter를 삽입하고 EMG 전극을 연결한다. 주입용 saline line은 urinary catheter에 연결한다.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sitting position을 취하게 한다. 모니터를 보며 coughing 시 Pdet가 zeroing 상태인지 확인하고 zero에 가깝게 조정한다. zeroing 상태가 되면 검사를 시작하고 다시 coughing 시켜 Pdet를 확인한 후 bladder로 saline을 주입한다.

대상자에게 첫 요의, 평소 소변 보고 싶은 느낌, 요의가 심한 느낌, 더 이상 참기 힘든 정도의 느낌을 확인한다. strong disire까지 확인되면 End filling phase를 클릭한다. 커튼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안정을 유지시키며 자연배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배뇨가 끝나면 stop invegitation 아이콘을 클릭한다.

nelaton 도뇨관으로 잔뇨를 확인하고 기록한다. 이상의 과정을 2회 정도 반복하여 방광용적, 감각, 배뇨근 수축력 등을 확인한다. 필요에 따라 Valsava나 Coughing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여 요실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요실금 확인검사는 대상자의 총 방광용적의 1/2 정도의 양에서 Valsava법을 실시하여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요도압 측정(Urethral Pressure Profilometry)을 시행한다. Pressure Flow Study 후 전환기의 연결을 변경하고 urinary catheter를 이용하여 요도압 그래프를 기록한다. 각 검사 종류의 결과를 출력하고, 카테터와 전극을 제거한 뒤 포타딘으로 드레싱하여 대상자를 안전하게 내려오게 한다. 검사기기와 부속품들, 물품들을 정리한다.

이와 같이 요속검사, 압력-요류검사, 요도압 측정 등의 절차로 요역동학 검사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하부요로의 저장 및 배뇨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2. 방광내압 측정
2.1. 목적

방광의 정상적인 기능과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인성 방광, 폐쇄성 질환 또는 감별질환의 진단을 위해 방광내압 ...


참고 자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