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뇌시술관련된 간호와 이해
1.1. 뇌내출혈 케이스
1.1.1. 뇌내출혈의 이해, 병태생리, 증상, 검사, 치료, 간호방법, 간호진단, 간호중재
뇌내출혈은 겉질하 백색질부위의 동맥과 정맥의 출혈로 혈액이 뇌실질조직에 고인 것이다. 뇌내출혈의 원인으로는 직접적 외상, 골절, 뇌줄기 꼬임으로 80~90%정도가 관자엽 및 이마엽에 발생한다. 뇌내출혈의 증상은 두개내압이 상승하여 호흡, 혈압, 동공반응 등의 변화가 나타나며, 대뇌겉질 손상으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한다.
뇌내출혈 진단을 위해서는 신경학적 검사, 영상의학적 검사, 신경생리학적 검사 등을 시행한다. 신경학적 검사에서는 의식, 동공, 뇌줄기반사, 안구운동을 평가하며, CT, MRI 등의 영상검사로 출혈의 범위와 정도를 확인한다. 그 외에도 혈액검사, 뇌파검사, 경두개 도플러검사, 유발전위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뇌내출혈 치료는 약물요법과 수술요법으로 구분된다. 약물요법에는 이뇨제, 스테로이드제, 항경련제, 제산제, 배변완화제, 해열제, 진통제 등이 포함되며, 두개내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선택적으로 혼수요법을 시행한다. 수술요법으로는 두개내압 측정기구 삽입, 경막외혈종 및 경막하혈종 제거를 위한 개두술 등이 있다.
뇌내출혈 간호에서는 두개내압 상승 예방 및 확인, 체액 및 전해질 균형 증진, 치료와 투약의 효과 모니터링, 신경계 증상 관찰 등이 중요하다. 또한 가스교환장애, 고체온, 편측성 지각이상, 영양불균형, 조직통합성 장애, 비사용증후군 등의 간호진단에 따른 중재가 필요하다. 가스교환장애 중재로는 인공호흡기, 흉부물리요법, 자주 체위변경 등이 있으며, 고체온 관리에는 해열제, 저온담요, 스펀지 목욕 등이 도움이 된다. 편측성 지각이상 간호에서는 환경자극 제공, 감각자극 훈련, 지남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