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역 T형 옹벽 설계에 관한 연구는 복잡한 구조물의 안전한 시공과 유지관리를 위해 중요하다. 이는 토목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옹벽의 설계 및 시공에 관한 종합적인 검토이다. 특히 역 T형 옹벽은 복잡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세부적인 설계 과정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역 T형 옹벽 설계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설계 조건, 옹벽 제원, 흙의 특성, 하중 조건, 사용 재료, 토압 적용, 단면 가정, 토압 산정, 안정 검토 등 역 T형 옹벽 설계에 필요한 주요 요소를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설계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역 T형 옹벽 설계
2.1. 설계 조건
옹벽의 배면 토사 가정은 다음과 같다. 옹벽의 높이는 H=10m이고, 내부 마찰각은 φ=30°, 접착력은 C=0, 흙의 단위 중량은 γ_t=1.9t/m^3, 사면 경사각은 α=25°(경사 1:2.1)이다. 기초 지반 토사의 내부 마찰각은 φ=30°, 점착력은 C=1.0t/m^2, 흙의 단위중량은 γ_t=1.9t/m^3이다. 사용 재료의 허용 응력도는 콘크리트 f_ck=240kgf/cm^2, 철근 f_y=3,000kgf/cm^2이다.
옹벽 치수는 다음과 같다. 기초 저판의 폭은 옹벽 높이의 1/2~2/3 범위인 3.5~4.667m 중 4.5m로 결정하였다. 저판 두께는 옹벽 높이의 7~10% 범위인 0.49~0.7m 중 0.7m로 결정하였다. 앞판(toe)의 폭은 저판 폭의 1/4~1/3 범위인 1.125~1.5m 중 1.5m로 결정하였다. 벽체 하부의 두께는 옹벽 높이의 10~12% 범위인 0.7~0.84m 중 0.8m로 결정하였으며, 벽체 상부의 두께는 25~30cm 이상인 0.5m로 결정하였다.
2.2. 옹벽 제원
옹벽 제원은 다음과 같다. 옹벽 형식은 역 T형 옹벽이며, 옹벽의 높이는 6.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