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뇌경색 증례
1.1. 뇌경색의 정의
뇌경색은 뇌졸중의 하나로 뇌로 향하는 혈액의 흐름이나 공급이 일시적으로 혹은 영구적으로 감소하거나 차단되어 산소와 영양 공급이 충분하지 않아 뇌 조직에 손상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뇌 혈전 형성이나 혈관의 파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뇌세포는 산소와 당을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인 혈류 공급으로 뇌세포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고, CO₂와 젖산과 같은 대사산물을 제거한다. 어떠한 이유로 인해 뇌혈관이 막히면 뇌 혈류의 감소가 나타나며 뇌로 가는 산소와 영양분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수 분 내에 뇌 조직이 영구적으로 손상된다. 혈류가 빠르게 복구되면 뇌 조직은 완전히 회복될 수 있지만, 혈류의 중단이 수 분 이상 지속되면 경색, 즉 뇌 조직이 죽게 되고 이는 영구적인 장애를 남길 수 있다.
뇌경색은 발생하는 주요 원인에 따라 허혈성 뇌경색과 출혈성 뇌경색으로 나뉘며, 허혈성 뇌경색의 원인은 동맥경화, 고혈압, 심부전, 동맥류, 혈전 이동이고, 출혈성 뇌경색은 뇌경색은 원인에 따라 크게 뇌혈전증과 뇌 색전증으로 나눌 수 있다. 뇌혈전증은 뇌혈관 자체에 혈전이 생겨서 혈관이 점점 좁아지다 막힌 것이고, 뇌색전은 심장 등 다른 부위에서 발생한 혈전이 혈관을 타고 올라와 뇌동맥을 막는 것이다. 이 외에도 뇌의 작은 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열공성 뇌경색도 있다.
1.2. 뇌경색의 병태생리
뇌세포는 산소와 당을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인 혈류공급으로 뇌세포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고, CO₂와 젖산과 같은 대사산물을 제거한다. 뇌의 혈류가 감소하면 수분 내에 뇌조직이 영구적으로 손상된다. 뇌는 자동조절 기능이 있어 뇌의 혈류를 분당 1,000cc정도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뇌졸중은 동맥의 손상으로 인한 뇌조직의 허혈현상으로 뇌기능이 손상되는 것이다. 뇌의 저산소증, 무산소증, 저혈당증은 허혈부위의 신경세포와 신경아교세포 및 조직을 경색·괴사 시킨다. 혈전성뇌경색 일시적인 언어손상, 편마비, 편측감각이상과 같은 전구증상이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갑작스럽게 생기지는 않는다. 색전성뇌경색 혈전이나 공기 또는 지방물질이 신체부위에서 떨어져 나와 혈관을 막은 상태이다. 일과성허혈발작과 가역성 허혈성신경결손 뇌경색의 경고증상으로 일시적이고 국소적인 뇌혈류의 방해로 뇌혈관 경련이나 일과성 전신고혈압을 초래한다.
1.3. 뇌경색의 진단
뇌경색 진단을 위해서는 자세한 병력 청취, 신체검진, 각종 검사 등이 필요하다. 병력 청취를 통해 초기증상, 증상의 변화, 과거 일과성 뇌허혈발작(TIA) 경험 여부, 위험요인 존재 여부, 투약 여부 등을 확인한다. 신경계 검진이 중요하나 전신 신체기관을 검사한다. 맥박, 심박동, 심음, 혈압 등의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말초 맥박의 규칙성과 좌우 대칭성을 확인하고, 경동맥 청진 시 잡음이 들리면 동맥경화성 협착을 시사한다.
혈액검사로는 일반화학검사, 혈구계산, 혈소판 수치, 적혈구 침강속도, 응고검사 등을 시행한다. 출혈성 뇌경색과 혈전성 뇌경색을 감별하기 위해 뇌척수액 검사를 할 수 있다. 뇌척수액에서 적혈구가 발견되면 출혈성 뇌경색을 시사한다. 하지만 두개 내압 상승 시 뇌척수액 채취는 위험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