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소매상의 정의와 특성
소매상은 개인적 혹은 비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최종 소비자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경로 구성원이다. 소매상의 특징으로는 첫째, 소량 단위로 제품을 판매한다는 점, 둘째, 최종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매한다는 점, 셋째, 소매상의 매출이 소비자의 직접적인 점포 방문 및 주문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 넷째, 다른 경로 구성원에 비해 점포의 입지와 내부 시설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 등이 있다. 소매상은 시장 확대, 재고 유지, 주문 처리, 정보 제공, 고객 서비스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제조업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소비자에게 상품의 구색 제공, 정보 제공, 구매 비용 부담 감소, 부가 서비스 제공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소매상은 점포 유무에 따라 점포 소매상과 무점포 소매상으로 구분되며, 서비스 수준에 따라 셀프서비스형, 한정 서비스형, 완전 서비스형으로 나뉜다. 점포 소매상에는 백화점, 슈퍼마켓, 편의점, 전문점, 할인점, 슈퍼센터, 회원제 도매클럽, 카테고리 킬러 등이 있으며, 무점포 소매상에는 통신판매, 텔레마케팅, 홈쇼핑, 온라인쇼핑몰, 방문판매, 자동판매기 등이 있다.
소매상의 마케팅 전략 수립 시에는 입지 결정, 입지 대안 평가, 고객 접근성, 경쟁업체와의 관계 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소매상을 성공으로 이끄는 중요한 요소로는 유통업체 브랜드의 확대된 역할, 편의성에 대한 중요성 증가, 정보기술의 영향력 증가, 점포 포지셔닝의 중요성 증가 등이 있다.
1.2. 소매상 유형의 분류
소매상은 크게 점포 소매상과 무점포 소매상으로 나눌 수 있다. 점포 소매상에는 백화점, 슈퍼마켓, 편의점, 전문점, 할인점, 슈퍼센터, 회원제 도매클럽, 카테고리 킬러 등이 있다. 백화점은 고객의 검색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특징이고, 슈퍼마켓은 저가격 전략을 사용한다. 편의점은 높은 가격정책을 펼치며, 전문점은 구색의 깊이가 큰 소매상의 형태이다. 할인점은 회전율을 중시하고, 슈퍼센터는 할인점과 슈퍼마켓의 기능을 겸한다. 회원제 도매클럽은 회원에게만 판매하는 회원제 창고형 도·소매업체이며, 카테고리 킬러는 하나의 제품만을 전문적으로 취급한다. 무점포 소매상에는 통신(우편)판매, 텔레마케팅,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모바일 쇼핑몰 포함), 방문판매, 자동판매기 등이 있다.
소매상은 또한 셀프서비스, 한정 서비스, 완전서비스 등 서비스 수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셀프서비스는 편의점, 마트 등이 해당되고, 한정 서비스는 선매품 등이 해당된다. 완전서비스는 man to man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소매상의 입지 결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이용 가능성, 적합성, 수용 가능성, 고객차단의 원칙, 동반유인원칙, 보충 가능성의 원칙, 점포밀집의 원칙, 접근 가능성의 원칙 등이 있다.
소매상의 주요 전략적 이슈와 추세로는 유통업체 브랜드의 확대된 역할, 편의성에 대한 중요성 증가, 정보기술의 영향력 증가, 점포 포지셔닝의 중요성 증가 등이 있다.
소매상은 제품 구색, 가격, 서비스, 위치, 이미지와 분위기,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등의 마케팅 믹스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소비자가 점포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는 가격이며, 이에 따라 저가격 전략, 시장평균가격 전략, 고급이미지 전략 등의 가격 전략을 사용한다. 또한 점포 선정과 제품 구색, 점포 이미지와 분위기,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위치, 서비스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1.3. 연구의 목적
소매상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인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유통의 최종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소매상 유형 중 특히 편의점에 초점을 맞추어 편의점의 마케팅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편의점이 어떠한 제품 전략, 가격 전략, 유통 전략, 홍보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편의점 산업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편의점 외에도 백화점, 대형마트, 전문점 등 다양한 소매상 유형의 마케팅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소매업 전반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2. 소매상 유형별 마케팅 전략
2.1. 편의점의 마케팅 전략
2.1.1. 편의점의 제품 전략
편의점은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특히 신선식품과 간편식의 비중을 높여 바쁜 현대인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편의점은 신선식품과 간편식 제품의 비중을 늘리고 있는데, 이는 소비자들의 시간 절약과 편리성 요구에 부응하기 위함이다. 또한, 편의점은 자사 PB(Private Brand) 상품을 통해 차별화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CU의 청양 마요 맛 새우 칩과 같은 PB 상품은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 이는 편의점이 자사만의 독특한 제품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함을 보여준다.
이처럼 편의점은 소비자들의 니즈를 면밀히 파악하고, 이에 부합하는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는 것이 핵심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히 상품 구색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편의성과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2.1.2. 편의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