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국어문법
1.1. 국어의 문법적 특성
1.1.1. 형태적 특성
국어의 형태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국어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하여 하나의 문법형태가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유정명사와 무정명사의 구분이 중요하며 분류사(단위성의존명사)가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 대명사의 쓰임이 극히 제한적이고 관계대명사, 관사, 접속사가 없는 것도 국어의 형태적 특성이다. 국어에는 허형식(가주어), 잉여사(존재문)가 없으며 성, 수, 인칭 등의 일치현상도 없다. 또한 복수대상에 복수표지를 하지 않아도 되며 동사와 형용사가 유사한 활용을 한다. 이러한 형태적 특성은 국어만의 독특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1.1.2. 통사적 특성
국어의 통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국어는 SOV형 언어로,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식어-피수식어의 어순인 좌분지 언어이며, 피수식어와 동사가 어순의 끝에 위치하는 핵 끝머리 언어이다. 한편 동사를 제외한 문장 성분의 어순이 자유로운 자유어순 언어이기도 하다.
국어는 주어나 목적어와 같은 근간성분의 생략이 쉬운 언어이다. 이는 담화 장면에서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대상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어는 이중 주어문과 같은 담화 중심적 언어의 특성을 보인다.
국어에서는 통사적 이동이 드문 편으로, 심층구조에서 표면구조로 이르는 과정에 적용되는 이동이 드물거나 없다. 한편 경어법이 발달하여 대우법, 높임법이 발달한 언어이다.
1.2. 형태소
1.2.1. 형태소의 종류
형태소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자립 형태소는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이다. 실질 형태소는 자립성이 약한 불완전 명사 품사이면서 의존 형태소인 조사이다. 의존 형태소는 용언의 어간, 조사, 어미, 접사이다. 형식 형태소는 실질적 의미가 없는 기능적인 요소이다. 이처럼 형태소는 자립성과 의미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국어의 언어 체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1.2.2. 형태소의 교체
형태소는 자립성 유무와 실질적 의미의 유무에 따라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로 구분된다. 그리고 형태소 간 교체는 음운적 조건이나 형태적 조건에 따라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로 나뉜다. 자동적 교체는 음운체계의 필연적인 현상에 의해 일어나는 교체이고, 비자동적 교체는 형태론적 조건에 따라 이루어지는 교체이다.
이러한 교체 현상은 규칙적일 수도 있고 불규칙적일 수도 있다. 규칙적 교체는 '이/가', '을/를'과 같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일어나는 교체이고, 불규칙적 교체는 용언의 불규칙 활용이나 형태적으로 조건된 교체와 같이 특정한 어휘에서만 일어나는 교체이다.
이처럼 국어 형태소의 교체는 단어 형성과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유형과 규칙성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를 통해 국어의 형태적 특성을 잘 이해할 수 있다.
1.3. 단어와 단어의 구성 요소
1.3.1. 접사의 종류
접사는 자립성 유무에 따라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로 구분된다. 자립 형태소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가 포함되며, 의존 형태소에는 조사, 어미, 접사가 해당된다. 또한 접사는 실질적 의미 유무에 따라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로 나뉜다.
접두사는 단어의 앞에 붙어 형태나 의미를 변화시키는 접사이다. 접두사에는 체언에만 결합하는 개-, 군, 날-, 돌-, 들-, 맨-, 선-, 숫-, 알-, 풋-, 홑- 등과 용언에만 결합하는 되-, 드-, 들-, 밧-, 설-, 샛(새)-, 시-, 엇-, 짓-, 치-, 휘- 등이 있다. 또한 둘 다에 결합하는 갓-, 덧-, 올(오)-, 헛- 등의 접두사도 있다.
접미사는 단어의 끝에 붙어 형태나 의미를 변화시키는 접사이다. 접미사에는 파생명사 접미사(-가/-꾼/-꾸러기/-님/-들/-보/-뱅이/-새/-씨/-아리/-아지/-어치/-자/-장이/-질/-치/-희 등), 파생동사 접미사(피동사 접미사 -이/히/기/리, 사동사 접미사 -이/히/기/리/추/구/우/애/이우 등), 파생형용사 접미사(-답/롭/스럽/지/히 등), 파생부사 접미사(-이/사리/오/우/히, -오/우 등)가 있다.
이처럼 접사는 단어의 형태와 의미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어의 풍부한 어휘 체계 형성에 기여하는 접사는 국어 문법 교육에 있어 필수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1.3.2. 단어 구조와 단어 형성
단어는 다양한 구조와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우선 단어의 구성요소인 형태소의 종류와 특성을 살펴보자. 형태소는 독립성 유무에 따라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로 나뉜다. 자립 형태소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가 포함되며, 의존 형태소에는 불완전 명사, 조사, 어미, 접사 등이 속한다.
형태소 간 교체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음운체계상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자동적 교체와 형태적 조건에 의한 비자동적 교체가 있다. 또한 규칙적 교체와 불규칙적 교체로 나뉜다. 예를 들어 '값도, 앉더니, 흙손'에서 나타나는 자음탈락은 자동적 교체의 대표적 예이며, '이/가'의 교체는 비자동적 교체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접사의 종류와 역할을 살펴보자. 접사에는 접두사와 접미사가 있다. 접두사는 체언이나 용언 앞에 붙어 그 뜻을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접미사는 단어에 붙어 품사를 변화시키는 등의 지배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개-'나 '군'은 접두사, '-꾼', '-님'은 접미사에 해당한다.
이러한 접사들이 결합하여 다양한 파생어가 만들어진다. 접두사에 의한 파생어로는 '개나리', '군말', '돌미나리' 등이 있으며, 접미사에 의한 파생어로는 '소설가', '장사꾼', '이파리', '놀이' 등이 있다. 또한 합성어도 만들어진다. 명사와 명사가 결합한 통사적 합성명사('벽돌집', '앞치마'), 관형사와 명사가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명사('콧물', '늦잠'), 어간과 명사가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명사('늦더위', '검버섯') 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국어의 단어 구조와 형성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 형태소의 교체 유형과 접사의 작용을 통해 새로운 단어가 끊임없이 만들어지며, 이들은 각각의 유형과 규칙에 따라 구조화되고 있다. 이러한 단어의 구조와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는 국어 어휘 체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1.4. 품사
1.4.1. 품사의 분류
품사의 분류이다. 품사는 형태와 기능에 따라 단어의 종류를 나누는 것이다. 단어는 가변어와 불변어로 나뉘며, 가변어는 문장 속에서 형태가 변하는 단어로 동사와 형용사가 포함된다. 불변어는 문장 속에서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로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가 포함된다.
이 중 체언은 문장 속에서 주체의 기능을 하는 단어로, 명사, 대명사, 수사가 포함된다. 용언은 주체를 서술하는 단어로, 동사와 형용사가 포함된다. 수식언은 다른 단어를 수식해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