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 론
1.1. 아서 밀러(Arthur Miller)의 생애
아서 밀러(Arthur Miller)는 1915년 10월 17일 뉴욕에서 출생하여 2005년 2월 10일 별세하였다. 의류 제조업자인 아버지와 전직 교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유대인계 중류 가정의 3남매 중 둘째 아들이었다. 미시간대학교 연극과를 졸업한 후 극작가로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마릴린 먼로와의 두 번째 결혼을 통해 화제를 모으기도 하였다. 그는 다수의 작품을 브로드웨이에 데뷔시켰고 이 중 장기공연에 성공하면서 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1.2. 아서 밀러(Arthur Miller)의 작품세계
미국연극계에서 이차대전 후에 두각을 나타낸 작가는 테네시 윌리암(Tennessee Williams)과 아서 밀러이다. 밀러와 윌리암즈는 미국문학 전통사상 중요한 관심사의 하나인 인간존재양식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철학적 관심을 다룬다. 하지만 밀러와 윌리암즈는 서로가 대조되는 방향에서 작품세계를 구축한다.
윌리암즈에게 있어서 사회적인 문제성은 주인공이 겪는 내면적 갈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시사되어지나 결코 비중을 갖고 극의 표면에 부상되지는 않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밀러는 희랍극 전통과 입센 중기 작품의 특징을 이루는 사회적 사실주의에 입각해서 주로 소시민과 사회와의 관계를 거시적으로 다룬다.
밀러는 한 개인이 겪는 차원을 넘어서서 그가 속한 사회 전체의 문제로 외형화시키고 보편화시킨다. 밀러에게 있어서는 한 개인이 겪는 부당한 박해나 좌절, 혹은 그가 범하는 죄는 그 개인과 그를 둘러싼 가족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 전체의 문제로 확대되는 것이다.
밀러를 칭하는 가장 흔한 표현은 아마도 사회주의적 작가라든가 도덕주의자라는 말일 것이다. 이는 곧 극작가로서의 밀러의 경향을 단적으로 나타낸다. 밀러는 1930년대에 사회부조리를 파헤치고 고발하던 일군의 극작가들과는 그 맥을 달리한다.
밀러는 사회를 구성하는 인간 모두는 서로가 같은 배를 탄 공동운명체요, 형제라는 의식에서 출발, 한 개인이 다른 개인에 대해서 가져야 되는 도덕적 책임감의 문제를 집요하게 추구한다. 밀러는 그런 인물이자 작가로 각인되어 있다.
1.3. 밀러가 말하고자 하는 사슬
밀러가 말하고자 하는 사슬은 무엇인가.
밀러는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