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멋진 신세계와 가타카를 통해 알수 있는 포스트 휴머니즘 시대의 디스토피아
올더스 헉슬리가 1932년에 발표한 소설 『멋진 신세계』는 먼 미래, A.D. 2540년의 런던이 배경이다. 이 소설 속 미래 사회는 거대한 세계 정부가 물자의 생산과 분배, 그리고 인간생활을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있는 디스토피아를 그리고 있다. 인간은 국영 '인공 부화소'에서 인공수정으로 태어나며,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 계급으로 엄격히 구분된다. 이들은 지능에 따라 신분이 정해지며, 그 신분에 따라 세뇌 교육을 받아 자신의 계급에 맞는 삶을 살아가게 된다.
이 사회에서 인간은 인격체가 아니라 그저 사회의 부품과 도구에 불과하다. 개인의 자유와 창의성, 그리고 도덕성은 사라진 채 물질적 풍요와 쾌락만을 추구한다. 모든 이성과 감정이 통제되어 있으며, 오직 행복과 안정감을 위해 '소마'라는 마약을 복용한다. 인간의 생명을 모듬생산라인에서 생산하고 계층화하는 이 사회는 완전한 물질문명이 지배하는 세계인 것이다.
한편, 영화 『가타카』는 유전자 조작을 통해 완벽한 인간이 만들어지는 미래 사회를 그린다. 이 사회에서 열성 유전자를 가진 자연 분만 아이들은 차별받으며, 상위 계층으로 진입하기 어렵다. 주인공 빈센트는 열성 유전자를 가졌지만 우성 인자를 가진 다른 사람의 신체 조직을 훼손하여 위장한 끝에 엘리트 계층인 '가타카'에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계급 구조와 차별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를 반영한다.
두 작품 모두 미래 사회가 발달한 과학 기술에 의해 인간성이 상실되고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억압되는 암울한 디스토피아를 보여준다. 이는 포스트 휴머니즘 시대, 인간과 기계의 결합이 지배하는 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우려를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간성 회복의 필요성과 신화와 과학의 융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1.2. 생노병사의 비밀
인간은 태어나서 성장하고 늙어가다가 결국 죽음을 맞이한다. 이러한 생로병사의 순환은 모든 생명체의 공통적인 특성이다. 우리는 이러한 삶의 과정에 대한 궁금증과 불안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해왔다.
생명과 죽음에 대한 인간의 근본적인 이해와 탐구는 신화를 통해 드러난다. 신화 속에는 생명체의 출생과 성장, 노령화와 죽음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상징이 담겨있다. 이는 인간의 유한성과 영원성에 대한 갈망, 신성한 힘에 대한 믿음을 반영한다.
이러한 신화들은 과학이 발달하면서 점차 비합리적인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러나 신화 속 생명의 이야기는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담고 있다. 신화는 여전히 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인간 존재의 근원적 문제들을 탐구하고 있다.
특히 '멋진 신세계'와 '가타카'와 같은 디스토피아 작품들은 생명공학 기술이 발달한 미래 사회를 그리고 있다. 이를 통해 인간이 자신의 능력을 과신하고 신의 영역을 침범했을 때 초래될 수 있는 결과를 보여준다. 기술 발달로 인한 인간성 상실, 계급사회의 고착화, 인간 존엄성의 훼손 등은 현대 사회가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이처럼 신화와 현대 문학작품은 생명과 죽음, 인간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며, 과학과 기술을 통해 변화하는 인간 존재의 모습을 성찰하게 한다. 생로병사의 문제는 단순히 의학적 해결책만으로는 부족하며, 인간 존재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와 성찰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인간성을 회복하고 조화로운 미래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1.3. 신화의 의미
신화는 보편적인 원리를 특별한 형태로 표현하고 있다. 신화는 독특한 인물을 내세우고 특정 민족의 언어와 부대 장치들을 사용하며, 시간과 장소에 연관된 부수적인 상황들을 십분 활용한다. 그러나 신화 속 진리는 실제 세계의 진리와 동행한다. 절대적 진리는 언어로 표현되기 어렵지만, 신화가 가장 가까이 접근해 있다.
신화의 진정한 목적은 객관적 세계상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신화에 표현되어 있는 것은 우리 인간들이 세계 속에서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방식이다. 신화는 우리가 이 세계의 근거이자 한계로서 경험한다고 생각하는 힘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힘에 대해 신화는 세계의 모든 사물들과 자연 현상들이 그 힘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그리고, 인간의 삶을 그릴 때는 인생의 동기와 모든 가능성이 그 힘에서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