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씨남정기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 목적 및 의의
2. 사씨남정기 연구 현황
2.1. 연구사 검토
2.2. 창작 시기 및 작가 논쟁
2.3. 이본 고찰
3. 작품의 구조와 주제
3.1. 쟁총형 가정소설로의 규정
3.2. 가문소설로의 접근
3.3. 불교소설으로의 해석
4. 주요 등장인물과 성격 분석
4.1. 사씨부인
4.2. 교씨
4.3. 유연수
4.4. 기타 인물
5.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
5.1. 고전소설사상의 위상
5.2. 후대 작품에 미친 영향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사씨남정기'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가정소설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은 가정 내의 처첩간 갈등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어 당대 가부장제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인물의 성격 묘사와 심리 표현이 치밀하고 섬세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에 대한 연구는 조선 후기 소설문학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 작품이 숙종 시대의 인현왕후 폐출 사건과 관련이 있다는 견해가 일찍부터 제기되어 왔는데, 이를 통해 작품이 당대 정치·사회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작품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조선 후기 문학과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필요할 것이다.
1.2. 연구 목적 및 의의
본 연구의 목적은 '사씨남정기'의 작품 속 등장인물 및 주제, 그리고 이 작품이 가지는 문학사적 의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사씨남정기'는 조선 후기 소설의 대표작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당시 사회상과 작가의 사상, 그리고 소설 장르의 발전 과정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처첩간의 갈등, 가문의식, 불교사상 등이 작품에 담겨 있어 다양한 층위에서의 접근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씨남정기'의 인물 및 주제 분석, 그리고 문학사적 위상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해당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2. 사씨남정기 연구 현황
2.1. 연구사 검토
「사씨남정기」는 1930년대 김태준의 『고소설사』를 시작으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서포의 또 다른 작품인 「구운몽」에 비해 그 연구가 매우 미흡한 편이다. 양적으로 보더라도 학계에 발표된 「구운몽」에 관한 연구는 100여편이 상회하는 반면에, 「사씨남정기」는 채 50편이 되지 않는다. 이는 숙종사건과 관련하여 작품 외적인 연구에 치우쳐 소설 본연의 모습을 살펴보는 데 소홀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는 1970년대까지도 계속 이어져오는데 1970년대 중반부터는 사상, 이본 등 목적론 시비에 관계없이 작품 내적인 연구를 시도하려는 움직임이 서서히 나타나게 된다. 1980년대에 들어서는 「사씨남정기」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는데 구조, 주제, 인물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금희에 의해 이본연구가 종합적으로 고찰되었다는 것을 큰 성과로 들 수 있다. 그리고 1990년대 이후부터는 여성주의 관점에서의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데 이는 조선시대 이상적인 연구로 보아진다. 「사씨남정기」의 작자는 서포라는 것과 그의 從孫 北軒 金春澤(1670~1717)이라는 두가지 견해가 있어 왔다. 그러나 이는 북헌이 「北軒集」에서 '서포가 한글로 지은 소설이 허다한데 그 중 남정기는 등한시 할 수가 없어 내가 문자(한문)로 번역했다'라고 하여 북헌 자신이 서포가 지은 것을 한역했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사씨남정기」의 작자는 김만중이며, 이는 종래의 많은 학자들에 의해 밝혀진 학계의 일치된 견해이다. 「사씨남정기」의 정확한 창작시기는 밝혀져 있지 않은데, 김태준은 「조선소설사」에서 숙종 15년부터 숙종 18년 서포가 죽던 해까지에 조선 예원의 가장 자랑이라고 하는 「구운몽」과「사씨남정기」가 생겨났다고 하여 「사씨남정기」의 창작시기를 숙종 15년부터 숙종 18년 사이로 추정하였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사씨남정기」의 창작시기를 민비가 폐출되던 1689년(숙종15년)에서 서포가 타계한 1692년(숙종18년)사이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비해 김무조는 '「남정기」의 내용으로 추리하는 방법'과 '목적소설의 성격을 전제로 하여 「구운몽」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추리하는 방법'의 두 가지 방법에 의거하여 「남정기」의 창작시기를 숙종 15년 作으로, 북헌의 한역본은 숙종 15년 이후 甲戌更化가 있었던 숙종 20년까지 한역되어 普及讀書하게 된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사씨남정기」의 창작시기는 정확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대부분 작가의 생애와 작품의 성격에 의한 추정에 그치고 있을 뿐이다. 현재 좁게는 숙종 15년, 조금 더 넓게 보면 숙종 15년에서 18년에 창작되었다 하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견해이다.
2.2. 창작 시기 및 작가 논쟁
...
참고 자료
김의숙, “古典小說의 佛敎思想硏究”, (1978)
정재록, “金鰲新話의 創作 背景”, 석사학위논문 (1995)
김광순. 『韓國古小說史』. (서울; 국학자료원, 2001) 참고
김만중. 『사씨남정기 外』.(서울; 시간과 공간사, 1992)
『불교문화사』.교양교재편찬위원회.(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불교용어사전』. (서울; 경인문화사, 1998)
이중포. 『근본불교』.(서울; 민족사, 2002)
『한국고전문학대계2』. (서울; 명문당, 1994)
곽정식, 「고소설연구 제1집」,한국고소설학회(1995).
김대현, 「조선시대 소설사 연구」, 국학자료원, 1996.
김병국, 「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김연숙, 「고소설의 여성주의적 연구」, 국학자료원(2002).
김일렬, 「 한국고전산문연구」, 동화문화사, 1981.
김춘택, 「조선 고전소설사 연구」, 김일성 종합대학출판사 (1999).
민족문화 추진회, 「민족문화 제15권」,민족문화 추진회, 1992.
박일용, 「고전작가작품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1998).
설성경, 「구운몽 연구」, 국학자료원, 1999.
소재영, 「조선조 문학의 탐구」, 아세아문화사(1997).
신재홍(1990), "구운몽의 서술원리와 이념성", 고전문학연구(5), 고전문학연구회.
오종근 외 1명, 「조선조 가정소설연구」, 도서출판 월인(2001).
이상구 외 9명 , 「김만중문학연구」, 국학자료원(1993).
이수경 ,「사씨남정기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1999)
이현재, 「정신문화연구」(제14권 제3호, 통권 44호), 1991.
장덕순, 「이야기 국문학사」,새문사(2001)
장효현, 「김만중문학연구」, 국학자료원.1993
정출헌, 「고전소설사의 구도와 시각」, 소명출판, 1999.
조동일, 「김만중연구」, 새문사, 198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1994).
최시한, 「가정소설연구」, 민음사(1993).
·이수경, 「사씨남정기 연구」, 성신여대 석사논문, 1999
·사재동, 「사씨남정기의 몇 가지 문제」, 『한국고전소설론』(새문사)
·우쾌제, 「사씨남정기연구」, 『숭전어문학』 1 (숭전대 국문학과, 1972)
·소재영, 「사씨남정기의 구조론」, 『김만중연구』(새문사, 1983)
·이금희, 「남정기의 문헌학적 연구」, 숙명여대박사논문, 1986
·김당미, 「사씨남정기 작중인물 연구」, 이화여대석사논문, 1986
·김명순, 「사씨남정기의 성격구조와 그 의미), 『천봉이능우박사칠순기념논총)(1990)
·이금희, 『사씨남정기 연구」(반도출판사, 1991)
·우쾌제, 「사씨남정기」, 『고전소설연구』(일지사, 1993)
·김귀석, 「조선시대 가정소설론」(국학자료원,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