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학개론 윤리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사와 동료 간의 윤리 문제
1.2. 간호 윤리의 개념과 원칙
1.3. 연구의 목적
2. 간호사와 동료 간의 윤리 문제
2.1. 윤리적 갈등의 발생 원인
2.2. 투약 실수 사례에 대한 윤리적 분석
2.3. 간호사의 윤리적 책임
3. 간호 현장의 주요 윤리 문제
3.1.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의료진의 윤리
3.2. 개인정보 보호와 비밀유지
3.3. 의료자원의 공정한 분배
4. 윤리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4.1. 의사소통과 협력 강화
4.2. 환자 중심의 윤리적 의사결정
4.3. 윤리 교육과 훈련 확대
5. 결론
5.1. 연구 결과 요약
5.2. 간호 윤리의 중요성과 과제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사와 동료 간의 윤리 문제
간호사와 동료 간의 윤리 문제는 불가피한 현상이다. 간호사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윤리적 갈등에 직면한다. 업무의 상호의존성으로 인한 개인의 이익 추구는 타인의 이익 박탈로 이어질 수 있고, 공정성과 공평성이 위배된 상황, 의사결정이 폐쇄되는 경우 등에서 갈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 선배 간호사의 투약 실수를 목격한 경우, 한국간호사윤리강령과 생명윤리 원칙, 간호윤리 규칙을 준용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한국간호사윤리강령의 '전문가로서 간호사 의무' 영역에서 '간호표준 준수'와 '정의와 신뢰의 증진' 항목에 따라 대학 선배 간호사가 실수를 인정하고 보고하도록 설득해야 한다. 또한 '간호사와 협력자' 영역에서 '대상자 보호' 항목에 의해 실수에 대처할 의무가 있다.
생명윤리 원칙에 따르면 '자율성 존중의 원칙', '정직의 규칙', '악행 금지의 원칙'에 따라 대학 선배 간호사의 실수를 수간호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간호윤리 규칙에서도 '윤리적 간호 제공', '개인적 책임', '간호업무의 위임', '비윤리적 행위 보고' 항목에 의해 실수를 묵인하거나 방조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대학 선배 간호사의 투약 실수에 대해 해당 간호사에게 책임을 지고 실수를 보고하도록 설득해야 하며, 이를 통해 앞으로의 실수를 방지하고 환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동료 간호사들이 겪는 윤리 문제로는 '간호인력 부족', '업무 보고에 대한 의사의 무반응', '과다한 간호업무', '의료진과의 비협조적 관계'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책임은 많고 권리는 적은 데에서 비롯되므로, 의사소통 강화와 협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
1.2. 간호 윤리의 개념과 원칙
간호 윤리는 간호사들이 환자를 돌보는 과정에서 지켜야 할 도덕적 원칙과 가치에 대한 개념이다. 이는 환자의 복지와 안녕을 최우선으로 하는 동시에, 의료 직업윤리와 기준을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환자들의 건강과 복지를 보호하기 위해 의학적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면서도, 도덕적인 판단과 행동을 지향해야 하며 자유로운 자발적 의지의 실천 행위이다. 간호 윤리의 기능은 간호사들에게 윤리적 행동의 기준을 제시하며, 더 나아가 간호사들이 다양한 윤리적 문제에 직면했을 때 이를 분석하고 판단하여 옳은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간호 윤리의 핵심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과 존중(Beneficence and Respect)으로, 간호사는 환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그들을 존중해야 한다.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환자의 요구와 욕구를 이해하며,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증상을 적절히 대처할 의무가 있다. 둘째, 해악 금지와 비밀유지(Non-maleficence and Confidentiality)로, 간호사는 환자에게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하며,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해야 한다. 환자의 비밀과 개인정보는 무조건적으로 보호되어야 하며, 간호사는 이를 지키기 위해 적절한 보안 조치를 취해야 한다. 셋째, 공정성과 정의(Fairness and Justice)로, 간호사는 모든 환자에게 공평하고 동등한 치료와 관심을 제공해야 한다. 인종, 성별, 종교, 사회경제적 배경 등에 관계없이 모든 환자는 동등한 케어를 받을 권리가 있다. 넷째, 자기결정권(Autonomy)으로, 간호사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해야 한다. 환자는 자신에 대한 의료적 결정을 내릴 권리를 가지며, 간호사는 그 결정을 지원하고 존중해야 한다.
1.3.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은 간호윤리 개념을 이해하고, 윤리 원칙과 규칙의 적용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간호사와 동료 간의 윤리 문제를 고찰하는 것이다.
간호사와 동료 간의 윤리적 갈등은 수많은 이유로 인해 다양한 형태로 발생한다. 개인의 이익 추구가 다른 개인이나 집단의 이익 박탈로 이어지는 경우, 공정성과 공평성이 위배되는 상황, 의사결정이 폐쇄되는 경우에 윤리적 갈등이 발생한다.
대학 선배 간호사의 투약 실수를 목격한 경우, 한국 간호사 윤리강령, 생명윤리 원칙, 간호 윤리 관련 규칙을 준용하여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간호표준 준수, 정의와 신뢰의 증진, 안전한 간호 제공, 관계 윤리 준수, 대상자 보호 등의 원칙에 따라 실수 인정과 보고를 이끌어내야 한다. 또한 자율성 존중의 원칙, 정직의 규칙, 악행 금지의 원칙을 고려해야 하며, 간호윤리 규칙의 윤리적 간호 제공, 개인적 책임, 간호업무의 위임, 비윤리적 행위 보고 등을 준수해야 한다.
2. 간호사와 동료 간의 윤리 문제
2.1. 윤리...
...
참고 자료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사윤리강령
안은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윤리적 갈등문제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서울
김현경.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서울
이임선. "병원 간호사와 의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의사소통능력 및 협력 간의 관계." 국내석사학위논문 건양대학교, 2017. 충청남도
배주영. "임상간호사의 동료 간 갈등극복 경험." 국내박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 부산
고희선. 孟子 心性論을 중심으로 한 간호에서의 돌봄의 윤리에 대한 철학적 탐색. 의철학연구, 24(2017): 3-38.
공병혜. 덕 윤리의 관점에서 본 간호실천과 보살핌의 태도. 법한철학, 34,3(2004): 83-106.
구혜란. 전문직 자율성의 사회경제적 토대. 韓國社會學, 37, 2(2003): 231-248.
권복규. 우리나라 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의료윤리학회지, 9,1(2006): 60-72.
권복규. 전문직 윤리로서의 의료윤리–의사다움이란. 대한소화기학회지, 60,3(2012): 135-139
엄영란. 전문직 윤리의 도덕적 실천을 위한 제안: 긍정윤리학. 인간연구,27(2014): 141-166.
간호윤리학, 계축문화사, 고진강. 고지은, 2019
간호윤리의 중요성 및 윤리학의 기본개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간호부, 2011
이은영, 지희주, & 조정숙. (2021). 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른 환자의 연명의료중단 등 결정에서 간호사의 역할. 생명, 윤리와 정책, 5(1), 97-114.
안경진, 공병혜, & 송윤진. (2020). ‘연명의료결정법’시행 이후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 연명의료결정 및 임종기 돌봄 경험 연구. 생명윤리, 21(2), 31-53.
“연명의료 중단해 살인자 됐다” 의사 고소…제2 보라매 사건?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04522
'삶의 위대함은 존엄한 죽음으로 완성된다' 박중철 교수(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wr_id=882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