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관내삽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기관내삽관
1.1. 기관내삽관의 정의 및 목적
1.2. 기관내삽관의 적응증과 금기증
1.3. 기관내삽관의 종류
1.4. 기관내삽관 준비물품
1.5. 기관내삽관 절차
2. 기관내삽관 간호
2.1. 기관내관 위치 확인
2.2. 기관내관 고정 및 관리
2.3. 기관내관 관련 합병증 예방
2.4. 기관내관 제거
3. 기관내삽관 시 간호사 역할
3.1. 기관내삽관 준비 및 보조
3.2. 활력징후 확인 및 보고
3.3. 기관내관 고정 및 커프 압력 조절
3.4. 흡인 및 호흡 보조
3.5. 환자 관찰 및 합병증 관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기관내삽관
1.1. 기관내삽관의 정의 및 목적
기관내삽관이란 환자의 입이나 코에서 후두를 통해 삽관튜브를 삽입하여 기관에 삽입하는 방법이다. 이는 가장 확실한 기도 유지 방법으로, 병원에서 심정지 상황에서 흔히 사용하는 응급소생대책이다. 기관내삽관의 주요 목적은 첫째,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고, 둘째, 흡인(aspiration)을 방지하며, 셋째, 분비물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넷째, 양압적 인공호흡을 시작할 수 있으며, 다섯째, 산소화(oxygenation)와 환기(ventilation)가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1.2. 기관내삽관의 적응증과 금기증
기관내삽관은 호흡정지, 호흡부전 시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고, 분비물 제거와 고농도 산소 공급을 위해 필요하다. 또한 부종, 외상, 종양, 출혈로 인한 이차적인 상기도 폐쇄를 일으킬 때 실시한다. 수술 시 전신마취를 요하는 경우나 흡인의 위험이 높은 경우에도 기관내삽관이 필요하다.
반면, 경추 손상 환자의 경우 기관내삽관으로 목을 젖힘으로써 더 심각한 손상을 야기할 수 있어 금기증에 해당한다. 이때는 응급적으로 윤상 연골절개술을 통해 기도를 확보한다. 산소결핍 환자에서도 선택적 삽관 때는 우선 안면 마스크와 호흡기로 산소를 공급한 후 삽관을 시도한다.
1.3. 기관내삽관의 종류
기관내삽관은 가장 확실한 기도 유지 방법이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시행될 수 있다.
구강 삽관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구강을 통해 삽관 튜브를 삽입하는 것이다. 삽입이 쉽고, 비계획적인 발관 위험이 적으며, 환자가 잘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호흡부담을 감소시키고 흡인, 기관지 내시경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구강을 통해 삽입되므로 비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이 예방된다는 단점이 있다.
비강 삽관은 코를 통해 삽관 튜브를 삽입하는 것이다. 삽입이 쉽고 큰 직경의 튜브 사용이 가능하며, 구강을 통한 방식보다 합병증 발생 위험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코 점막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비폐색으로 인한 호흡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경피적 기관절개술은 경부에 직접 절개를 가하여 기도를 확보하는 방법이다. 장기간 기계환기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이 방법은 상기도 폐색이 심각할 때 효과적이며, 관리가 용이하고 발관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수술로 인한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기관내삽관은 다양한 방식으로 시행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방법은 고유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가장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기관내삽관을 실시하게 된다.
1.4. 기관내삽관 준비물품
후두경(Laryngoscope)은 handle과 blade로 구성되며, 기관내관(Endotracheal tube) 삽입 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한다. 기관내관의 경우 여성의 경우 7~8Fr, 남성의 경우 8~8.5Fr 크기를 주로 사용한다. 탐침(stylet)은 기관내관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튜브 내부에 삽입되며, 청진기, 흡인 세트, Ambu-bag & mask, 면반창고, 주사기, 수술용 장갑, 윤활제 등의 물품이 추가로 필요하다. 이외에도 진정제나 마취제, O2 line과 O2 bottle 등이 함께 준비된다. 기관내관 삽입 전 ...
참고 자료
송경애 외, 「기본간호학2」, 수문사, 2017, p.256~258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상권 제7판」, 현문사, 2019, p.117, p.525
강지연 외, 「간호사를 위한 건강사정」, 군자출판사, 2019, p.582
Intubation/Assist/procedure/endotracheal/준비,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Y0gg5lpGJp8
Endotracheal Intubation, 2019, https://www.youtube.com/watch?v=8AOB2PtHfVM
Intubation 기관내삽관 간호, 2016, https://blog.naver.com/mhaj3356/220641045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