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실천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실천론
1.1. 청소년복지시설
1.1.1. 목적
1.1.2. 사회복지사의 역할
1.2. 생활시설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
1.2.1. 일시보호시설·보호치료시설
1.2.2. 이용시설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
2. 방문 기관에 대한 정보
2.1. 1단계: 실천 현장의 요건을 충족하는 기관 선정
2.2. 2단계: 해당 기관이 포함된 사회복지실천 분야에 대한 기초내용 조사
3. 방문 소감 및 비평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실천론
1.1. 청소년복지시설
1.1.1. 목적
청소년복지시설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건강하고 안전한 성장을 지원하는 것이다. 부모가 없거나 양육할 수 없는 상황에 있는 청소년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내의 일반가정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청소년복지시설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보호와 지원으로, 일시보호시설과 보호치료시설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는 시설이 가정의 기능을 대리적으로 담당할 수 있도록 직접 서비스, 가정적 환경 조성, 지역사회와의 연계업무, 행정적 업무 등을 담당한다. 둘째는 사회적응과 자립으로, 청소년복지시설은 청소년들이 사회에 적응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사회복지사는 청소년의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한다. 또한 청소년과 함께 성장하고 변화할 수 있는 열린 자세가 중요하다.
생활시설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일시보호시설과 보호치료시설에서 주로 나타난다. 사회복지사는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여 시설이 가정의 기능을 대리하며, 가정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지역사회와의 연계업무를 담당한다. 또한 행정적 업무를 수행한다. 이용시설에서 사회복지사는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감을 주기 위한 상담, 사례관리, 교육, 자원개발 및 연결, 행정 업무를 담당한다.
시립서울청소년센터는 1970년 대한민국 1호 청소년수련시설로 청소년들의 건강하고 안전한 성장을 지원하고자 설립되었다.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하고 안전한 성장을 지원하고, 사회참여와 자립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청소년운영위원회, 청소년 참여활동, 청소년 수련활동, 청소년 봉사활동, 학교연계 활동, 지역연계 활동 등이 있다. 운영법인인 사단법인 한국청소년육성회는 범정부 차원의 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에 연원을 두고 있는 경찰청 산하 청소년단체이다.
시립서울청소년센터는 청소년의 건강하고 안전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청소년 자치조직인 청소년운영위원회를 통해 청소년들이 직접 프로그램과 시설 운영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의 문화, 교육, 진로, 상담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청소년들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청소년 자살, 학교 밖 청소년, 디지털 중독 등의 예방과 해결을 위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1.1.2. 사회복지사의 역할
청소년복지시설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들은 청소년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
참고 자료
사회복지실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유범상, 정연정,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강상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강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5.
강상준, 행복계약을 맺은 사람들, 지식의날개(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3, pp.232-234.
연합뉴스, 폭우 취약한 반지하 주택, 서울서 사라진다…"건축 전면불허", 2022, 8, 10.
한겨레, '반지하 침수' 20년 전과 지금이 너무 똑같다, 그게 더 무섭다, 2022, 8, 15.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시 사회복지관 협회 ( http://www.saswc.org/ )
월계종합사회복지관 홈페이지 ( http://www.wwc.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