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세포의 구조와 기능
1.1. 세포의 정의와 발견
세포는 모든 생물체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위이다. 평균적인 크기가 마이크로미터 단위인 세포는 육안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워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해야 한다. 세포의 최초 발견은 1665년 로버트 훅에 의해서이다. 그는 현미경으로 얇게 자른 코르크 조각을 관찰했는데, 놀랍게도 코르크 조각이 작은상자가 다닥다닥 붙어있는 벌집모양의 집합체로 관찰되었다. 이것이 작은방(cell)을 떠오르게 했기 때문에 그는 이 작은상자에 'cell'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838년 독일의 과학자 마티아스 야코프 슐라이덴은 "모든 식물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는 식물 세포설을 주장하였고, 1839년 독일의 과학자 테오도어 슈반은 "모든 동물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는 동물 세포설을 주장하였다. 두 사람 모두 "모든 생물은 하나 이상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는 모든 생물의 구조적, 기능적 단위이고, 모든 세포는 이전에 존재하던 세포로부터 유래한다"는 세포설을 제창하였다.
1.2. 세포의 기본적 구성
1.2.1.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이다. 원핵세포는 핵막이 없고 염색체가 하나이며 유사분열을 하지 않는다. 반면 진핵세포는 핵막이 있고 다수의 염색체를 가지며 유사분열을 한다. 또한 진핵세포에는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골지체 등의 세포 소기관이 있지만 원핵세포에는 이러한 세포 소기관이 없다. 이처럼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는 핵막의 유무, 염색체 수, 세포 소기관의 유무 등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원핵세포는 단순한 구조이지만 진핵세포는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지닌다.
1.3. 세포의 주요 기능
1.3.1. 물질의 합성과 수송
1.3.1.1. 핵
핵은 세포의 중심이 되는 부분이자, 유전자(DNA)를 가지고 있다. 핵막이라 부르는 2개의 이중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 세포질과 유전물질을 분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핵의 표면에 뚫려있는 수많은 핵공은 핵물질과 세포물질 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핵에는 염색체의 인이 있으며, 핵은 염색체의 DNA를 통하여 세포활동과 세포증식을 조절한다. DNA는 히스톤단백질과 결합되어 규칙적인 매듭을 가진 긴 실모양의 염색사로 된다. 핵에서 염색사는 뭉쳐서 염색질로 존재하며, 세포분열하는 동안 꼬이고 응축되어 막대기 모양의 염색체 구조를 이룬다. 염색체는 염색질이 형태적으로 변화한 모습이다. 염색질과 인접해 있는 인은 RNA를 합성하고, RNA는 특정단백질과 결합하여 리보솜을 만든다. 핵을 둘러싸고 있는 핵약은 두겹으로 되어 있으며 바깥쪽 막은 세포질의 소포체와 연결된다.
1.3.1.2. 리보솜
리보솜은 rRNA와 단백질로 이루어진 세포 소기관이다. 리보솜은 핵에서 RNA가 합성된 것을 바탕으로 세포질에서 단백질을 합성한다. 리보솜은 2개의 단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질에 널리 퍼져 있어 단백질 합성이 필요한 곳에 위치한다. 소포체와 결합된 리보솜은 단백질을 합성하여 소포체 내로 보내며, 소포체와 결합되지 않은 리보솜은 세포질로 방출된 단백질을 합성한다. 리보솜은 유전 정보에 따라 아미노산을 연결하여 새로운 단백질을 만드는 기능을 한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모두에서 단백질 합성에 필수적인 세포 소기관이다.
1.3.1.3. 소포체
소포체는 긴 관 또는 주머니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