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감염 예방 및 관리
1.1. 표준주의
표준주의는 모든 환자에게 처치의 종류, 환자의 진단명, 혹은 감염상태와 상관없이 적용되며, 병원 환경에서 의료인의 손상된 피부, 점막 등에 균이 감염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적용된다. 이는 혈액 및 모든 체액뿐만 아니라 혈액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분비물(땀 제외)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B형간염, C형간염, HIV, 매독 등의 감염병에 대해 표준주의가 적용된다. 병실 앞에 별도의 표시는 하지 않으며, 감염 예방을 위해 손위생, 개인보호구 착용, 기침 예절 준수, 적절한 환자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재사용 물품은 세척 후 소독 및 멸균을 실시해야 한다.
이처럼 표준주의는 모든 환자에 대해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감염 예방 및 관리 방법으로, 의료인과 환자를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들을 포함한다.
1.2. 공기매개주의
공기매개주의는 공기에 떠다니는 비말핵에 의한 공기매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감염관리 주의사항이다. 홍역, 수두, 활동성 폐결핵, 파종성 대상포진과 같은 질환이 공기매개주의가 적용되는 감염병의 예이다.
공기매개주의가 필요한 경우, 환자의 병실은 음압병실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수두 혹은 홍역에 감수성이 있는 직원은 가급적 병실 출입을 금지하도록 한다. N95 마스크를 착용하고, 필요한 경우 외에는 방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하며, 치료나 검사 이동 시에는 수술용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격리가 종료되면 N95 마스크를 착용하고 2시간 이상 환기 후에 입실할 수 있다.
이처럼 공기매개주의는 감염병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격리병실 사용, 마스크 착용, 제한적 이동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공기감염 위험이 높은 감염병 환자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예방이 가능하다.
1.3. 비말주의
비말주의는 기침 및 재채기 등을 통해 발생하는 비말에 의한 비말매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이다. 비말주의가 적용되는 감염병에는 백일해, 유행성이하선염, 수막구균성 수막염, 성홍열 등이 있다.
비말주의에 따르면 병실 앞에 주황색으로 표시를 하며, 감염 예방을 위해 가능한 1인실 사용, 침상간격 1m 이상 유지, 환자와의 거리가 1m 이내일 경우 마스크 착용, 환자의 이동 가능한 한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한다.
이와 같이 비말주의는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한 감염관리 방법이다. 의료진과 환자 간 적절한 거리 유지, 마스크 착용, 환자 이동 제한 등의 조치를 통해 비말 전파를 차단하여 감염을 예방하고자 한다.""
1.4. 접촉주의
접촉주의는 위장관계, 호흡기계, 피부계, 상처의 감염등 직접 또는 간접접촉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적용되는 주의지침이다. 직접접촉전파는 손을 통한 전파이며, 간접접촉전파는 오염된 기구나 환경을 통해 전파되는 것이다. 접촉주의가 필요한 질환으로는 1군 법정감염병(콜레라, 장티푸스), 다제내성균(VRE 등) 분리환자, 로타바이러스 감염, 세균성이질, A형간염, 옴 등이 있다.
접촉주의 지침에 따르면 가능한 1인실을 사용하며, 불가능할 경우 병상간격을 1m 이상 유지한다. 개인 보호구인 가운과 장갑을 착용하고, 환자의 이동은 가능한 제한한다. 환자 치료기구 및 물품은 비위험 기구일 경우 일회용으로 사용하거나 환자 전용으로 사용한다. 또한 환자와 자주 접촉하는 물품이나 환경은 정해진 지침에 따라 청소 및 소독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접촉주의는 직접 및 간접접촉을 통한 감염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적용되는 주의지침으로, 격리된 공간 사용, 보호구 착용, 환자 이동 제한, 오염된 물품 및 환경 관리 등의 방법을 포함한다."
1.5. 격리 주의지침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은 격리가 필요한 감염질환 환자의 입원을 제한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격리가 필요한 감염성 질환으로는 공기주의 감염병인 결핵, 수두, 홍역, 파종성 대상포진 등과 1군 법정감염병인 콜레라, A형간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등이 있다""고 설명한다. 또한 다제내성균인 VRE(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 VRSA(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 CRE(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 분리환자도 격리 대상이며, 그 외 감염성 질환으로 인해 환자에게 전파의 위험이 있는 경우나 새로운 감염질환 및 전파경로가 불확실한 경우에도 격리가 필요하다""고 한다. 면역저하 환자 또한 보호주의 대상이 된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은 모든 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