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환자의 웃음치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상세정보

소개글

"조현병 환자의 웃음치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조현병(Schizophrenia)
1.1. 정의
1.2. 원인
1.2.1. 유전적 요인
1.2.2. 신경생화학적 요인
1.2.3. 신경해부학적 요인
1.2.4. 신경생리학적 요인
1.3. 임상증상
1.3.1. 대표적인 증상
1.3.2. 와해된 언어
1.3.3. 와해된 행동
1.3.4. 음성증상
1.4. 진단
1.4.1. 특징적 증상
1.4.2. 진단기준
1.5. 치료
1.5.1. 약물치료
1.5.2. 정신요법
1.5.2.1. 개인정신치료
1.5.2.2. 가족치료
1.5.2.3. 집단정신치료
1.5.2.4. 정신사회 재활 프로그램
1.6. 입원치료
1.7. 경과 및 예후
1.8. 간호중재
1.8.1. 망상에 대한 간호중재
1.8.2. 환각에 대한 간호중재
1.9. 예방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조현병(Schizophrenia)
1.1. 정의

조현병(Schizophrenia)은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 음성증상 등의 증상과 더불어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정신질환이다. 조현병이란 용어는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 블로일러에 의하여 처음 소개된 것으로 "skhizo(분열)"와 "phren(마음)"이 합쳐서 만들어졌다. 이 병명이 갖는 사회적 편견을 막기 위해 2011년에 정신분열증을 조현병으로 개명하였는데, 조현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는 뜻으로, 조현병 환자의 모습이 마치 현악기가 정상적으로 조율되지 못했을 때의 모습처럼 혼란스러운 상태를 보이는 것과 같다는 데서 비롯되었다. 조현병은 인종, 사회적 지위, 성별, 문화에 관계없이 발생하며, 평생 유병률은 인구의 약 1%로 추정된다. 대부분 후기 청소년기 또는 성년기 초기에 발병하며, 호발 연령은 남성의 경우 15~25세, 여성의 경우 25~35세이다.


1.2. 원인
1.2.1. 유전적 요인

유전적 요인은 조현병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조현병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일반인이 조현병에 걸릴 가능성은 1%에 불과하지만, 부모나 형제 중 한 사람이 조현병 환자일 경우 발병률이 5~10% 정도로 높아진다. 그리고 부모 모두가 조현병 환자일 경우에는 자녀가 조현병에 걸릴 확률이 4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조현병은 유전적 소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완벽하게 같은 유전자를 가지는 일란성 쌍둥이에서도 한 쌍둥이가 조현병을 갖고 있을 때 나머지 쌍둥이가 발병할 확률이 50% 정도라는 점을 고려하면, 유전적 요인 외에도 다른 요인들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조현병의 원인은 복잡하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1.2.2. 신경생화학적 요인

조현병(Schizophrenia)의 원인 중 하나인 신경생화학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조현병의 원인 중 신경생화학적 요인은 dopamine, serotonin, glutamate, GABA, Norepinephrine 등 여러 신경전달물질의 상호작용 불균형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도파민 체계의 과활성화가 조현병의 핵심 병리생리학적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도파민은 운동, 인지, 감정, 동기 등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는데, 조현병 환자의 경우 뇌의 특정 부위에서 도파민의 신경전달 과정에 이상이 생기면서 망상, 환청, 혼란된 사고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세로토닌 등 여러 신경생화학적 변화가 상호작용을 일으켜 복합적으로 조현병과 관련된다고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도파민, 세로토닌 등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조현병 발병의 주된 원인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신경생화학적 변화로 인해 조현병 환자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1.2.3. 신경해부학적 요인

조현병(Schizophrenia)의 신경해부학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조현병 환자의 뇌에서는 측뇌실과 제 3뇌실의 확장, 대뇌피질의 위축, 대뇌반구의 비대칭성, 소뇌의 위축 등 다양한 신경해부학적 이상 소견이 관찰된다. 이는 조현병의 발병 및 진행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측뇌실과 제 3뇌실의 확장은 조현병 환자에서 가장 일관되게 관찰되는 뇌구조 변화이다. 이는 신경세포 밀도의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인지 기능 및 사회적 기능 장애가 초래된다.

둘째, 대뇌피질의 위축은 조현병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데, 특히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등의 피질 영역에서 두드러진다. 이러한 대뇌피질 위축은 해당 영역의 신경세포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환자의 인지 기능 저하, 사회적 기능 장애 등과 연관된다.

셋째, 대뇌반구의 비대칭성은 조현병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또 다른 신경해부학적 특징이다. 특히 좌우 측두엽의 비대칭이 두드러지며, 이는 언어 기능 및 지각 기능 장애와 관련이 있다.

넷째, 소뇌의 위축도 조현병 환자에서 관찰되는데, 이는 운동 협응 능력 저하, 인지 기능 저하 등과 연관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신경해부학적 이상 소견은 조현병의 증상 발현 및 진행 과정을 설명하는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1.2.4. 신경생리학적 요인

신경생리학적 요인은 조현병 발병에 중요한 요인으로, 뇌에서 사고, 감정, 행동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으로 인해 조현병이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

조현병 환자의 경우 연성안구추적 운동의 이상과 뇌파상 알파파 활성이 낮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인 신경생리학적 특징이다. 연성안구추적 운동 이상은 조현병 환자들에게서 자주 관찰되는데, 이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신경체계의 이상을 반영하는 것이다. 또한 조현병 환자들은 뇌파상에서 알파파의 활성이 정상인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대뇌피질의 기능부전을 시사한다.

이처럼 연성안구추적 운동 이상과 뇌파상 알파파 활성 저하와 같은 신경생리학적 특징은 조현병 진단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신경생리학적 요인들은 조현병의 발병과 증상 발현에 깊이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1.3. 임상증상
1.3.1. 대표적인 증상

조현병의 대표적인 증상은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 음성증상 등이다.

망상은 전혀 근거가 없는 엉뚱한 믿음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현병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 중 하나이다. 관계 망상, 피해 망상, 과대망상, 종교 망상 등이 자주 나타난다. 망상은 합리적인 설득이나 논쟁으로 쉽게 교정되지 않는다.

환각은 실제 존재하지 않는 대상이나 감각을 경험하는 것으로, 조현병 환자들이 흔히 경험하는 증상이다. 특히 환청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환자는 다른 사람이 듣지 못하는 목소리를 듣는다. 그 내용은 환자의 행동을 지시하거나 간섭하고 비평하는 내용 또는 사람끼리 주고받는 소리이다.

와해된 언어는 조현병 환자들의 특징적인 증상 중 하나이다. 조현병 환자는 혼자만의 생각에 사로잡혀 있어서 ...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8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간호과정 실무지침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고성희 외, 『정신간호 진단과 중재』, 수문사, p.106-125, 136-145
김경희 외,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p.197-226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p.107-111, 145-148, 172-175, 187-191, 252-278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201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p.815
차영남 외,『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2013, p.126-127, 156-157,
232-233, 240, 330-331
최순희 외,『간호과정』, 현문사, p.287-423
이경희, 김은자, 김상남, 주세진, 양승희, 정윤화 외 공저, 정신건강간호학, 2021, 정문각JMK, p.433~441
장금란, 인간중심 미술치료가 조현병 성인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황희수, 이성규, 성혜연, 조현병 환자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제33권 제2호, 233-256(24pages)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