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효율적 기도청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비효율적 기도청결
1.1. 흡인기 사용 부적절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청결
1.2. 기침 반사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청결
1.3. 구강위생 관리 부족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청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비효율적 기도청결
1.1. 흡인기 사용 부적절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청결
환자는 호흡 수가 24회/분으로 증가하고, 숨을 쉴 때마다 가슴이 들썩이는 상태이다. 환자의 산소포화도는 88%로 낮고, 호흡음에서 수포음과 협착음이 들린다. 흡인기 사용 시 환자가 불편해하며, 흡인기 사용 후에도 기도에 점액이 남아있는 상태이다. 환자의 입술이 파랗게 변하며, 얼굴에 불안한 표정이 나타난다. 또한 환자는 기침 시 가래가 많고, 가래에 점액이 섞여 있는 상태이다.
환자에게 흡인기 사용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교육을 실시하고, 흡인기 사용을 시도하여 올바른 사용법을 익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환자는 흡인기 사용 후 기도 폐쇄 증상이 개선되고, 호흡음이 개선되어 호흡이 원활해지며 산소포화도가 92% 이상으로 회복될 수 있다. 또한 환자는 흡인기 사용 후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기도 내 점액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1주일 이내에 환자는 흡인기 사용법을 완전히 습득하고, 기도 청결을 자가 관리할 수 있으며, 기도 폐쇄나 호흡곤란 증상이 재발하지 않도록 한다. 환자는 흡인기를 통해 기도 청결을 유지하면서, 호흡이 안정되고 기도 폐쇄나 점액 과다 축적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스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환자는 호흡기 증상 없이 안정적인 호흡을 유지하고, 산소포화도는 정상 범위인 95% 이상으로 개선될 것이다.
환자에게 흡인기 사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직접 사용해 보도록 시범을 보인다. 환자가 사용...
참고 자료
김진희, 이혜경. "비효율적 기도청결에 대한 간호 중재 효과." 간호학회지, 50(3), 234-240.
박정은, 김상윤."비효율적 기도청결 간호진단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48(2), 112-119.
송정은, 최희정. "기계환기 환자의 비효율적 기도청결 간호." 호흡기간호학회지, 15(1), 50-58.
김나영, 박미선. "비효율적 기도청결 간호과정 적용의 실제." 한국임상간호학회지, 25(4), 312-319.
이은영, 김민희. "중환자실에서의 비효율적 기도청결 간호 중재." 중환자간호학회지, 31(2), 145-153.
정현주, 이정희. "비효율적 기도청결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평가와 중재." 간호교육학회지, 33(3), 176-183.
김소영, 장은영."비효율적 기도청결 간호과정의 효과적 적용 방안." 대한간호과학회지, 29(5), 65-73.
이은옥, 서문자, 김매자, 김채숙, 한경자, 박영숙, 전명희.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사이트
저자 이동숙, 책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황옥남, 권보은, 서순림, 안경주, 유양숙, 은영. 제 6판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나이팅게일핸드북(2016)/ 대한남자간호학교수협의회 편저/ 포널스
기본간호학 1, 2(2018)/ 현문사/ 양선희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