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듀발의 가족발달단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가족건강이론
2.1.1. 가족기능 유형의 주요 개념
2.1.2. 본인 가족구성과 가족기능 적용
2.2. 가족발달이론
2.2.1. 듀발의 가족생활주기 발달단계와 발달과업
2.2.2. 본인 가족발달단계의 위험요인과 건강문제
3. 결론
3.1. 가족기능과 가족발달이론 적용에 따른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족이란 혼인이나 혈연으로 맺어진 집단을 의미하지만, 그 구성원과의 관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전통적인 가족의 형태는 엄마, 아빠와 자녀, 조부모 등이 있다. 결혼 관계 혹은 혼인 관계만으로 이루어진 집단이었다. 하지만 다양한 사회적 관계가 생겨남에 따라 가족의 범위도 넓어졌다. 결혼한 사이가 아니더라도 같이 살기도 하고, 혈연으로 맺어지 않더라도 가족이 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결혼 적 동거 커플, 혹은 동성 애자 커플이 혼인하지 않았는데도 가족이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개인의 의지에 따라서 결혼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동성 커플의 경우 합법적으로 결혼이 불가한 나라가 있기 때문에 결혼을 하지 않은 형태로 가족의 형태를 이루고 사는 것이다. 법적으로는 '가족'이 아니기 때문에 법적 보호를 받을 수는 없지만 실제 기능과 서로의 의미를 살펴 보았을 때는 엄연한 가족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의 가족은 입양한 자식 부모 관계이다. 혈연이 아닌데도 이러한 관계 또한 가족이라고 부른다. 혹은 입양까지 하지 않더라도 정말 가깝게 챙기고 애뜻한 관계, 가족같이 헌신하는 관계도 생기기도 한다. 이 경우에도 법적으로는 가족이 아닐 지라도 우리는 가족이라고 인정하게 된다.
2. 본론
2.1. 가족건강이론
2.1.1. 가족기능 유형의 주요 개념
가족기능에는 애정기능, 사회화기능, 재생산기능, 가족경제기능, 보건의료기능 등 다섯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가족의 출발은 남녀 간의 애정에 의한 결혼에서 시작하며, 부부가 성생활을 영위한 결과 자녀를 출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애정은 가족생활의 중요한 소산이며 가족은 구성원에게 만족감과 목적의식, 지속적인 동료감을 충족시켜준다. 둘째, 자녀를 출산하여 복잡한 현대사회의 책임을 수행할 수 있는 시민으로 양육하는 것이 가족의 중요한 사회화기능이다. 가족은 사회적 지위부여와 사회화의 기능을 담당하...
참고 자료
김영임, 윤순녕, 김숙영 공저(2017). 가족건강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유효순 외 1명,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부모교육, 2013
조홍식 외 4명, 학지사, 가족복지학, 2017
오만록, 정민사, 교육사회학, 2015
듀발의 가족발달단계. 김춘경 외. 상담학 사전. 2016
가족의 기능.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