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리학의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성리학과 실학의 등장 배경
1.2. 성리학과 실학의 개념과 특징
2. 성리학의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
2.1. 성리학의 긍정적 측면
2.1.1. 도덕적 수양을 통한 개인 발전
2.1.2. 유교 윤리에 기반한 사회 질서 유지
2.2. 성리학의 부정적 측면
2.2.1. 현실 문제 해결 능력의 한계
2.2.2. 보수성과 배타성으로 인한 폐해
3. 실학의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
3.1. 실학의 긍정적 측면
3.1.1. 현실 문제 해결 중심의 실용성
3.1.2. 개방적 학문 태도와 근대화 기여
3.2. 실학의 부정적 측면
3.2.1. 기득권층 포섭 실패로 인한 한계
3.2.2. 경제적 이익 중심의 편향성
4. 성리학과 실학의 비교 및 종합 평가
4.1. 장단점 비교
4.2. 종합 평가 및 시사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성리학과 실학의 등장 배경
조선 사회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며 피폐해졌다. 특히 농촌경제의 파탄이 심각했다. 그러나 양반들은 성리학에 사로잡혀 추상적 이기론에만 매달렸고, 당장 직면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지 않았다. 이에 실학은 성리학을 '허학'이라 비판하며 등장하게 되었다.
실학은 경세치용, 이용후생, 실사구시의 태도로 사회문제를 실질적으로 개혁하여 백성의 삶의 질을 높이고 부국강병을 이루고자 했다. 반면 성리학은 지나친 사변적 논의로 현실과의 괴리를 낳았으며, 예학 논쟁에만 몰두하여 피폐해진 농촌 경제 문제 해결에 한계를 보였다.
또한 조선 후기로 갈수록 성리학은 경직되어 폐쇄적인 학문태도를 보였다. 성리학자들은 타 사상을 배척하고 비판적 의견을 가한 사상가를 박해하기도 했다. 이는 근대 문물 수용을 더디게 하고 외세의 침략에 무방비로 당하게 만든 원인이 되었다.
이처럼 조선 후기의 현실 문제에 대응하지 못하는 성리학의 한계와, 이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한 실용적이고 개혁적인 실학의 등장 배경은 당시 조선 사회의 현실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1.2. 성리학과 실학의 개념과 특징
성리학은 중국에서 발생한 학문이 조선으로 유입되어 들어오면서 시작되었다. 15~16세기 절정을 이루며 조선 유학 사상의 주류가 되면서 조선 성리학으로 자리 잡았다. 성리학의 특징은 자연이나 우주의 문제보다 인간의 내면과 도덕적 가치의 문제를 추구한다는 점이다. 성리학에서는 아동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아동을 교육의 기능이 큰 긍정적인 존재로 인식하였다.
실학은 17세기 중엽부터 19세기 초반 조선 후기에 나타난 학문으로, 불교를 비판하며 관념적인 학문을 지양하고 인간의 일상생활에 유용한 학문을 지향하며 성행하였다. 실학에서는 영아가 울음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점이나, 호기심이 많고 놀이를 즐겨 하는 아동의 특성 자체는 인지하였지만, 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성리학과 차이가 있다. 동학은 19세기 후반에 사회 전반적인 문제의식 때문에 생겨난 학문으로, 인간 평등과 사회 개혁을 주장하였고 인간 사회의 질서를 근본적으로 개혁해야 한다는 혁명성을 띄우며, 아동도 성인과 대등한 능력을 지닌 한 인격체로 인정하였다.
우리나라의 가장 보편적 전통 종교인 불교에서는 모든 아동을 깨달음의 경지에 오를 수 있는 가능성의 존재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성리학의 아동관과 비슷하다. 불교에서는 아동발달 단계를 태아기, 영아기, 유아 전기, 유아 후기, 아동기의 5단계로 구분하고, 아동교육의 목적은 부처와 같은 지혜와 자비를 갖춘 사람이 되는 것이다.
종합하면, 성리학과 실학은 아동을 연약하고 신체적,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존재로 인식하였지만, 성리학은 아동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반면 실학은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동학은 아동을 성인과 대등한 존재로 여겼고, 불교는 아동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존재로 보았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전통 학문과 종교에서는 아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2. 성리학의 긍정적 및 부정적 ...
...
참고 자료
한국 민담에 나타난 아동관 분석, 임명연, 숙명여대, 2005
조선시대 성리학, 실학, 동학의 아동관 연구, 백혜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불교와 아동교육, 황옥자, 동국대학교, 2009
한국 개화기 아동교육관 연구, 이인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성리학의 아동교육 목적으로서 근본배양에 관한 연구, 신동은, 아동학회지(p91-105),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