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그리스로마신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그리스로마신화와 콘텐츠
1.1. 서론
1.2. 본론
1.2.1. 그리스 로마 신화와 현재
1.2.2. 그리스 로마 신화와 미신
1.2.3. 그리스 로마 신화와 현대무용
1.2.4. 그리스 로마 신화와 패션
1.2.5. 그리스 로마 신화와 여성 광고
1.2.6. 그리스 로마 신화와 광고
1.2.7. 그리스 로마 신화와 영화
1.2.8. 그리스 로마 신화와 한국인
1.3. 결론
2. 그리스로마신화와 정신건강
2.1. 나르키쏘스 - 나르시시즘
2.2. 오이디푸스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2.3. 레스보스 섬 - 레즈비언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그리스로마신화와 콘텐츠
1.1. 서론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그리스로마신화에서 유래되었거나 이를 소재로 활용한 문화콘텐츠 등을 많이 볼 수가 있다. 브랜드, 광고, 캐릭터 등에 다양한 신화의 상징성을 접목시킴으로써 대중에게 어필하거나, 영화나 만화 책, 게임 등은 신화 속 내용과 다양한 소재를 가지고 만들어져 사람들로부터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 생활 속에서도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 또한 그리스로마신화에서 파생되어 나온 경우도 종종 있는데, 시간을 뜻하는 'Hour'란 단어도 신화의 호라이 여신에서 유래되었고, 화산을 뜻하는 'volcano'는 대장장이의 신 헤파이스토스로부터 탄생하였으며, 태풍을 뜻하는 'Typoon'도 신화 속 티폰족에서 유래된 것이다. 그 밖에 아킬레스건, 마이다스의 손, 우라늄, 하모니, 뮤직, 뮤지엄 등 신화 속 이야기와 연결 지어 탄생한 단어들이 많이 있다. 이처럼 그리스로마신화는 정치, 종교, 경제, 사회, 문화, 문학, 철학, 자연과학 등 우리 사회 전반에 있어 아주 세세한 부분까지 영향을 미쳐왔고 현재에도 미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서구 사회에서 출발하여 토대가 된 그리스로마신화는 우리에게도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미 우리의 생활 속 깊은 곳까지 살아 숨 쉬고 있다. 오랜 역사를 간직하며 과거부터 현재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까지 그리스로마신화의 영향력과 그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것이라 생각된다.
1.2. 본론
1.2.1. 그리스 로마 신화와 현재
그리스 로마 신화는 현대사회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도 그리스 로마 신화의 명칭과 내용을 쉽게 접할 수 있다. 많은 기업들은 상품 및 브랜드 네이밍, 광고 등에서 그리스 로마 신화를 모티브로 활용하고 있으며, 영화와 같은 대중문화 콘텐츠에서도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인물과 스토리가 자주 등장한다. 또한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의 이름은 각종 언어에 녹아들어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그리스 로마 신화는 현대사회 속에서 여전히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고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인류 보편적 가치관과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한 이해는 서양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그리스 로마 신화의 캐릭터와 상징들은 현대사회에 깊숙이 자리 잡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어, 신화에 대한 고찰은 현대인의 사고와 삶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처럼 그리스 로마 신화는 인간의 보편적 경험과 가치를 담고 있어 시간을 초월하여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1.2.2. 그리스 로마 신화와 미신
타로카드는 자신의 과거, 현재, 미래를 예측해보는 도구로써 오래 전부터 서구문화에서는 점을 치는 도구로 이용되어왔고 오랜 시간과 수많은 사람을 거쳐 현대에까지 이어져 왔다. 인종이나 남녀노소 관계없이 누구나 가능하며 인간이 겪게 되는 비슷한 경험이나, 생각들을 해석해주는 아이템이다. 과거에는 점을 치는 신성한 도구로써 여겨졌지만 현재 타로는 젊은 사람들의 새로운 취미와 단순히 즐겨보는 게임, 자신의 내면을 되돌아보도록 하는 하나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많은 종류의 타로 중에 그리스로마신화를 토대로 만들어진 타로가 존재한다. 그리스로마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인간에 다양한 정신세계를 묘사하는데 잘 부합하는 이미지들이다. 그런 이유로 신화를 통해 우리는 체험의 '원형'을 얻게 된다. 심리학에서는 '원형'을 역사상의 모든 인류와 문화 속에 보편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패턴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리스로마신화를 이용한 타로카드는 이러한 '원형'을 타로와 결합시킨 것 이다. 그리스로마신화 타로카드는 78장의 그림이 그려진 카드로 이루어져있고 각각 상징을 담아내고 있다. 예를 들어 프로메테우스가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 먹히는 이미지의 카드는 대의를 위한 자발적 희생, 자발적 복종, 걱정, 두려움, 고독함 등을 상징하며 전쟁의 신 아레스의 모습을 담은 카드는 공격적 본능, 대립적 갈등, 생명력, 무분별함을 상징한다. 그리스로마신화 속 인물들의 사건이나 성격을 담아 이를 타로카드로 풀이 하는 것으로, 이는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현대문화와 그리스로마신화의 색다른 결합이라 여겨진다.
1.2.3. 그리스 로마 신화와 현대무용
그리스와 로마인들이 신화에서 지혜를 습득하고 그것을 통해 훌륭한 예술로 승화시킨 것과 같이 오늘날에도 신화가 만국공통의 기호로서 사용되고 있다. 신화 속에 등장하는 '티탄'족 명칭에서 타이타닉 호의 이름이 탄생하였고, 우리가 마시는 음료 중 하나인 넥타 또한 신들의 음료인 '넥타르'에서 유래되었다. 이처럼 신화는 상상력의 원천이며 우리의 감성과 이성을 뒤흔들고 있다. 과거와는 달리 관객들은 복잡한 현실을 잊고 상상 속에 빠지는 것을 지양하며 사회라는 조직 안에서 개인의 태도를 묘사함으로써 작품을 감상하고 현실을 ...
참고 자료
류수현, 김민자, 「현대패션에 나타난 그리스,로마 신화의 이미지와 상징 해석: 뒤랑(G. Durand)의 ‘상상계 이미지들의 동위적 분류도’를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2011.
박혜란, 「신밧드-7대양의 전설-애니메이션으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제작:드림윅스 픽처스, 감독: 팀 존슨, 패트릭 길모어, 87분」, 월간 샘터, 2003
살 란다조, 「신화를 만드는 브랜드, 브랜드를 만드는 신화」커뮤니케이션 북스, 2018.
김봉현, 김태용, 박현수, 「광고학개론」, 한경사, 2017.
조셉 캠벨, 「신화의 힘」, 이끌리오, 2017.
토마스 불핀치,신현미 옮김,「그리스 로마 신화」, 도로시, 2003.
김우진, 조병준,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이면과 저면」, 만남, 2002.
유시주, 「거꾸로 읽는 그리스 로마 신화」, 1996.
김성대,「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그리스 로마 신화」, 2007.
박경민, 「한국인이 본 그리스 로마 신화」,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