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마약성 진통제의 분류와 특성
1.1. 마약성 진통제의 정의
마약성 진통제는 약한 마약성 진통제와 강한 마약성 진통제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서 암성 통증에 흔하게 사용되는 약한 마약성 진통제에는 코데인(codeine), 트라마돌(tramadol) 등이 있고 강한 마약성 진통제에는 모르핀(morphine), 펜타닐(fentanyl), 옥시코돈(oxycodone), 하이드로몰폰(hydromorphone) 등이 있다. 마약성 진통제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내성(tolerance)과 신체적 의존성(physical dependence)이 올 수 있다. 그러나 내성이나 신체적 의존성을 마약 중독(addiction)과 혼돈해서는 안 되며, 통증이 있는 환자에서 마약 중독은 아주 드문 일이다. 또한 마약성 진통제는 천정 효과(ceiling effect)가 없기 때문에 통증 조절을 위해서 용량의 제한 없이 증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용량의 증량이 마약 중독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1.2. 마약성 진통제의 유형
1.2.1. Morphin
Morphin은 독일의 Serturner가 꿈의 신인 Morpheus의 이름을 따서 만든 것으로 말기 암환자의 통증 조절을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약물이다. Morphin은 여러 경로를 통해 흡수가 가능하며 반감기는 2~3시간이고 작용시간은 약 4시간 정도이며 주로 간에서 대사되어 신장을 통해 배설된다. Morphin의 주작용은 진통효과로 마약성 수용체와 결합하여 진통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통증에 대한 역치나 신경전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통증에 대한 반응을 다르게 하는 것이다. Morphin은 주로 예리한 통증보다는 둔통에 효과적이며 신경병성 통증이나 뼈 통증에는 효과가 거의 없다.
1.2.2. Codeine
Codeine은 Morphine과 같이 Opium의 자연적 alkaloid의 하나로, 약한 마약성 진통제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간에서 대사되어 소변으로 배설되며 4~6시간 정도 효과를 나타낸다. 주로 아스피린이나 아세트아미노펜과 함께 사용하며, 경증이나 중등도 통증에 사용된다. 특별히 금기하는 것은 없지만 중추신경계 억제 약물을 사용하는 간이나 신장 장애가 심한 환자에서는 주의를 요한다. 용량이 증가할수록 오심, 구토, 졸림 증세가 잘 생기며 경미한 내성은 있으나 특별히 의존성은 없다.
1.2.3. Fentanyl
Fentanyl은 마약성 진통제의 한 유형이다. Fentanyl은 마취 시 많이 사용되는 약물로서 정맥, 경막외, 경피적인 경로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완화의학에서는 주로 경피적인 패치를 많이 이용한다. Fentanyl은 작용기전이 Morphine과 유사하며 72시간 동안 일정량의 약이 분비되므로 환자가 받아들이는 정도가 좋은 반면 작용시간이 길어 통증에 대한 용량 조절이 어렵고, 시작 용량을 결정하기도 어려워 Morphine으로 용량을 조절한 환자에서 2~3차 약물로 사용한다. Fentanyl에 대한 부작용으로는 정동변화, 다행감, 이상감각, 졸음, 호흡수 감소, 기침반사, 동공축소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오심, 구토, 변비, 기립성 저혈압이 생길 수 있다.
1.2.4. Oxycodone
Oxycodone은 Codeine의 반합성 유도체로, Codeine보다 치료 범위가 넓어 경미한 통증에서 심한 통증까지 조절이 가능하다. 경구와 항문으로 투여가 가능하며 아스피린이나 아세트아미노펜과 함께 사용할 때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Oxycodone의 부작용은 Morphine과 유사하나 그 발생 빈도가 적고 경미하다. 작용시간이 4~6시간이므로 하루에 4번 이상 주어야 하지만, 현재는 서방형제제가 개발되어 하루에 2번 복용할 수 있다. Oxycodone은 Morphine의 반합성적 유도체이며 치료 범위가 넓어 경미한 통증에서 심한 통증까지 조절이 가능하다. 경구 투여 가능하고 아스피린이나 아세트아미노펜과 함께 사용할 때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속효성과 서방형 제제가 있으며, 작용시간이 3-6시간으로 통증 재발 방지를 위해 4-6시간 간격으로 투여한다. Oxycodone의 부작용으로는 오심, 변비, 구토, 두통, 소양증, 불면증, 현기, 무기력증, 기면 등이 있다. 오피오이드 의존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1.2.5. Pethidine
Pethidine은 합성 마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