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행정구역 통합 반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행정구역 통합 반대
1.1. 서론 : 행정구역 통합에 대한 배경 및 통합론의 주요 주장
1.2. 본론 : 통합론 주장에 대한 반박 및 분리론의 근거
1.3. 결론 : 선지방분권, 후행정구역 개편이 필요하다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행정구역 통합 반대
1.1. 서론 : 행정구역 통합에 대한 배경 및 통합론의 주요 주장
행정구역 통합에 대한 배경 및 통합론의 주요 주장
행정구역이란 일정한 공공기관 또는 단체의 관할권이 미치는 지역으로 행정구역을 설정하는 문제에서는 행정의 효율성, 민주성, 정치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자치구역은 법적 인격이 부여된 지방자치단체가 관할하는 지역적 범위로 다양한 성격을 포함한다. 행정구역 개편은 표면적으로는 행정의 능률성, 책임성 확보와 같은 행정 서비스 수행에 목적이 있으나, 실제로는 상당히 정치적 이유에서 이루어져왔다.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논의로는 크게 통합론과 분리론이 있다. 통합론은 자치단체 관할권의 범위를 확대하여 자치단체 권한을 확대하고 책임성을 강화하며, 규모의 경제를 살려 행정서비스의 공급 효율성을 확보하자는 입장이다. 통합론자들은 첫째,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생산 및 공급 비용이 절감된다고 주장한다. 둘째, 전문화되고 책임성 있는 조직구조로 행정수요에 대응하고 통일성 있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본다. 셋째, 정치적 형평성 실현 측면에서 구역 간 격차 해소와 재원 불평등 배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넷째, 중복 서비스를 제거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처럼 통합론자들은 행정구역 통합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다각도로 주장하고 있다.
1.2. 본론 : 통합론 주장에 대한 반박 및 분리론의 근거
반면, 분리론은 대도시권의 다수 정부를 긍정하고 다핵적 체제를 옹호하고 있는 것으로 주로 공공선택론자들이 주장하는 논리이다. 필자가 옹호하는 입장이기도 하며 지방자치제가 잘 시행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
참고 자료
행정구역통합 효과에 관한연구 평택시 사례를 중심으로(2011. 이현정)
지방행정체제개편을 위한 행정구역통합의 쟁점과 과제
통합창원시의 행정구역통합에 대한 연구(2013. 김남성)
지방행정체제개편에 대비한 충북차원의 대응방안(최용환)
'사이타마시'의 행정구역 통합에 대한 연구(최기성)
독일 지방행정 구역개편의 과정과 교훈(2011,한상우)
지방행정구역 통합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2011,김승렬)
행정구역 통합의 갈등 원인에 관한 연구(2013.이양재)
김연고, 시군통합이 지역 내 균형발전에 미치는 영향 – 구미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김광식, 시군통합과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과제(지방행정연구)
홍관용, 도농통합의 효과에 관한 연구 –원주시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김의식, 도농통합적 행정구역개편의 영향과 과제(한국토지주택공사, 1995)
장황래, 시군 통합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여수시와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박진우, 지방행정체제 개편과정과 광역 지방정부의 역할 – 청주, 창원 통합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회보, 2018)
이현정, 행정구역통합 효과에 관한 연구 – 평택시 사례를 중심으로 -(카톨릭 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김세권,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의 상호보안 방안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행정대학원, 2011)
박종화 외2명, 지역개발론 제3개정판 – 이론과 정책- (박영사, 2019)
이민준, 지방자치의 현황과 지방분권의 과제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법과 지방분권특별법(안)을 중심으로(한남대학교 대학원, 2004)
박지형, 시군통합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분석: 고용효과를 중심으로(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최미선, 도농 통합시 주민 생활 변화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강릉시를 사례지역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KOSIS 2019 통계청 홈페이지
뉴스 기사(조선일보 신문기사, 연합뉴스 기사)
지방자치단체(여수시청, 구미시청, 청주시청, 평택시청)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