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류마티스 관절염 정의 및 특징
1.1. 류마티스 관절염 개념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속의 연골과 연골 아래의 뼈를 비롯한 주변 조직으로 파급되어 관절을 서서히 망가뜨리게 되는 질환이며, 우리 몸 속의 면역성에 이상이 생겨서 오는 병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생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인자에 의해 활액막 염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등급별로 나누자면 1급은 병세가 정지되거나 정상적 활동을 할 수 있으며, 2급은 중등도의 제한은 있으나 정상 활동은 할 수 있고, 3급은 일상생활 동작과 작업수행에 심한 제한이 있고, 4급은 침상생활에 국한되거나 휠체어로 생활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제한을 가지게 된다."
1.2. 류마티스 관절염 발생원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생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인자로 인한 자가면역 기전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가면역 질환(autoimmune disease)에는 한 가지 장기만 침범하는 경우와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이 여러 장기를 동시에 침범하는 형태로 나눌 수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에서는 활막 염증의 발생에 있어서의 면역학적 기전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많은 환자들에게서 비정상 면역글로불린(IgG)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항원이 존재하며, 이러한 비정상 면역글로불린(IgG)에 대항하는 자가항체가 류마티스 인자로 알려져 있다"" 자가항체인 류마티스 인자는 초기에 활액막 또는 관절연골 표면에서 면역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IgG와 결합하며, 이렇게 형성된 면역복합체의 침착은 보체를 활성화시키고 염증반응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에 이환된 관절에서만 발견되는 활성화된 T세포는 염증을 유발하는 시토카인(cytokine)을 분비하여 연골을 파괴시키고 염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생에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자가면역 기전이 활성화되어 관절 조직에 만성적인 염증반응이 유발되는 것이 주된 발생 원인으로 설명되고 있다""
1.3.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은 주로 4대 증상인 관절의 발열, 발적, 통증, 부종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관절증상으로는 염증으로 인한 관절강직, 운동제한 및 기능상실이 발생하며, 특히 아침에 조조강직으로 뻣뻣함이 관찰된다. 이환된 관절은 주로 대칭적이며 손과 발의 작은 관절과 팔꿈치, 무릎 관절 등이 주로 침범된다. 손에는 근위지관절과 중수지관절에 특징적으로 부종이 나타나며 주먹을 쥐기 어렵고 손목관절이 굵어지며 굴곡운동이 제한된다.
관절 외 증상으로는 류마티스 결절, 쇼그렌증후군, 펠티증후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류마티스 결절은 피하조직에 생기는 경결성 종괴이며, 쇼그렌증후군은 눈물샘과 타액선의 기능저하로 인한 안구통증과 구강건조증 등이 특징이다. 펠티증후군은 림프절종대, 비장비대, 폐질환, 빈혈 등이 동반되는 혈액이상 증후군이다.
증상이 심해지면 근육위축으로 인한 힘의 약화와 운동제한, 관절변형이 나타나는데 상완부의 내전와 내회전 변형, 주관절 굴곡, 손목관절의 굴곡과 척골편위, 손가락관절의 신전변형 등이 특징적이다. 하지부에서는 슬관절 굴곡변형, 엄지발가락의 외반, 족부의 내반 등이 나타나 통증과 보행장애를 유발한다.""
1.4. 류마티스 관절염 특징
류마티스 관절염은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병이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10명 중 8명 이상이 여성일 정도로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여성 호르몬이 병의 진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임신, 출산, 생활방식의 차이 등으로 인해 여성에게 관절염이 더 많이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관절이 뻣뻣하고 더 붓고 아픈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뻣뻣하고 붓는 증상이 오래 지속될수록 관절염이 더 심해진다고 볼 수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우리 몸의 면역성의 이상으로 올 수 있는 병으로서 아이에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이 주로 손가락, 발가락, 손목, 무릎, 발목 등의 관절에 나타나는 것에 비해 퇴행성 관절염은 주로 손가락 끝마디, 무릎, 발목, 요추 등 체중이 실리는 부위의 관절에 많이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2.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
2.1. 진단 증상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시간 이상 지속되는 조조강직이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는 아침에 일어나면 손가락이 뻣뻣하고 주먹 쥐기가 어렵다. 이러한 조조강직은 1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둘째, 한 관절 이상의 압통이나 움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