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수함수를 활용한 약물 반감기 분석
1.1. 주제 선정 동기
본인의 희망진로인 약학을 공부하던 중 지수함수의 활용이 약물 동태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약물의 혈중농도와 반감기 계산에 지수함수가 활용되고 있어, 약학 분야에서의 수학적 접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지수함수를 활용하여 약물의 혈중농도와 복용 주기를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1.2. 약물의 혈중농도 그래프
1.2.1. 약물 농도 공식
혈중농도 공식은 지수함수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약물을 섭취하면 혈액 속에 약물의 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C=C0 * e^(-kt)이다. 여기서 C는 당시의 혈중농도를, C0는 초기 혈중농도를, e는 자연로그의 밑, k는 소실 속도 상수, t는 경과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공식을 이용하면 약물을 섭취한 후 시간에 따른 혈중농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1.2.2. 타이레놀의 혈중농도 공식 적용
혈중 농도의 공식은 지수가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혈중 농도의 반감기가 6시간인 약을 먹었을 때 초기 혈중 농도가 200(㎍/mL)일 경우, 12시간 후의 혈중농도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반감기가 6시간이므로 반감기일 때의 상태를 식에 적용하면 t는 6, 혈중 농도는 최고 농도의 절반이므로 C=100이다. 이 식을 다시 대입하면 100=200 × e^(-6k)이다. 따라서 12시간 후의 혈중 농도는 C=200 × (1/2)^2=50(㎍/mL)이다. 이 약의 경우, 약을 먹고 12시간이 지나면 혈중 농도가 최초 농도의 1/4이 되는 것이다.
1.3. 타이레놀 일반형과 이알형의 비교
1.3.1. 반감기와 혈중농도 그래프
타이레놀 일반형과 이알형의 혈중농도 그래프 비교
타이레놀 일반형과 타이레놀 이알형은 성분이 모두 아세트아미노펜으로 동일하지만, 타이레놀 이알(Extended Release)은 약물을 서서히 방출시켜 효과를 오래 지속시키는 약이다. 실제로 일반 타이레놀은 진통, 해열 효과가 4시간 정도 지속되는데 반해 이알형은 8시간 정도로 더 오래 지속된다. 이는 타이레놀 이알정이 이중형태의 제형으로 되어 있어(한 층은 일반형, 한 층은 서방형) 신속한 효과와 지속적인 약효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프를 보면 타이레놀 이알형의 혈중농도가 타이레놀 일반형보다 더 오랫동안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이알형의 반감기가 8시간으로 일반형의 4시간보다 두 배 길기 때문이다. 즉, 타이레놀 이알형은 반감기 이외에도 약물 방출 구조 등의 요인이 혈중농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타이레놀 일반형은 신속한 약효에, 이알형은 지속적인 약효로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이알형은 Cmax 값이 일반형보다 작아 부작용이 적고 안정한 약물이라고 할 수 있다.
1.3.2. 약효 지속 시간의 차이
타이레놀 일반형과 타이레놀 이알형의 약효 지속 시간의 차이이다. 타이레놀 일반형은 진통, 해열 효과가 4시간 정도 지속되지만, 타이레놀 이알형은 8시간 정도로 더 오래 지속된다. 이는 타이레놀 이알정이 이중 형태의 제형으로 되어 있어 신속한 효과를 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