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치매 간호과정 합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사회 치매 간호과정 합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선행연구 고찰

2. 본론
2.1. 지역사회 간호과정
2.2. 지역건강수준
2.2.1. 인구현황
2.2.2. 유병률 및 사망률
2.2.3. 건강행태
2.3. 지역사회자원
2.3.1. 의료자원
2.3.2. 보건기관
2.3.3. 지역사회복지시설
2.4. 지역사회 주민 요구도
2.5. 지역사회 자료분석
2.6. 지역사회 문제 도출
2.7. 지역사회 간호 우선순위 설정
2.8. 지역사회 간호진단
2.9. 지역사회 간호계획

3. 결론
3.1. 요약
3.2. 기대효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노인성 치매의 유병률은 전국적으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고령화와 더불어 국내 치매환자 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8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약 75만 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향후 17년마다 두 배씩 증가하여 2024년에는 100만 명, 2039년에는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2018년 10.2%, 2020년 10.3%, 2030년 10.6%, 2040년 12.7%, 2050년 16.1%로 갈수록 급증할 것으로 추정된다. 2019년 기준 산청군의 60세 이상 치매인구는 10.18%, 65세 이상 치매인구가 13.08%로 전국, 경남 대비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노인인구 증가와 높은 치매 유병률로 인해 지속·체계적인 치매관리가 필요하다.


1.2. 연구의 목적

지역사회 내 노인 인구 증가와 관련된 치매 유병률 상승에 대처하기 위한 목적이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합천군의 치매 관리 체계를 개선하여 치매 예방과 진단, 관리를 통해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합천군의 치매 유병률과 자원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사회 자료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치매 관리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1.3. 선행연구 고찰

중앙치매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경상남도의 치매파트너는 8만2천명 이상으로 타지역과 비교하여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경상남도 치매 관련 현황에서 산청군은 경남 중에서도 60세 이상 치매인구는 10.18%, 65세 이상 치매인구가 13.08%로 상위권이다. 이처럼 전국적으로 노인인구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데다 치매 고위험군인 독거노인의 수도 증가하고 있어 지속·체계적인 치매관리가 필요하다. 산청군은 치매안심센터가 1곳이고, 치매관련센터가 81곳으로 병의원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치매검진 사업을 하여 높은 유병률을 낮출 필요가 있다.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매 검진 프로그램의 홍보와 더불어 치매와 관련된 소근육 운동을 알리고, 검진을 실시하면 유병률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치매대상자 가족들의 고통을 경감하고 치매가족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지역사회의 안정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2. 본론
2.1. 지역사회 간호과정

제1단계: 지역사회 자료수집이다. 지리적 특성을 살펴보면, 합천군은 경상남도의 서북부에 위치한 산간내륙 지대로서 동서 38.8km, 남북 40.3km의 규모이며 대부분이 준험한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연평균 기온은 12.3℃로 온화한 편이며 내륙이어서 겨울철 기온이 비교적 낮은 편이다. 강수량은 평균 1,500~2,000mm로 우리나라 평균보다 많은 편이다.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합천군의 총 인구는 2019년 35,390명이었고 그중 60세 이상 노인인구가 15,890명으로 44.8%를 차지하여 고령사회에 진입하였다.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12,181명으로 34.4%를 차지한다. 60세 이상 노인의 치매유병률은 2019년 10.18%, 2020년 10.2%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특성으로는 총 45개의 교육시설, 28개의 아동복지시설·장애인복지시설·노인복지시설이 있다. 농공단지와 개별입지로 구성된 3,07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주요 업종은 식품업, 섬유업, 금속화학 등이다.

의료자원 현황을 살펴보면 합천군 내 의료기관은 총 45개소로 의원 16개소, 병원 5개소, 치과의원 11개소, 한의원 12개소, 약국 17개소가 있다. 보건기관으로는 보건소 1개소, 보건지소 16개소, 보건진료소 15개소가 있다. 인구 천 명당 의사 수는 2.2명으로 전국 평균인 3.1명보다 낮은 편이다.

지역사회 주민의 요구도 조사 결과, 노인건강관리와 치매예방관리 사업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매 안심센터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치매 조기검진 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2.2. 지역건강수준
2.2.1. 인구현황

합천군의 인구현황은 다음과 같다.

합천군의 총인구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9년 35,417명, 2020년 34,857명, 2021년 34,360명으로 나타나 최근 3년간 약 1,057명 감소하였다.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2019년 34.4%, 2020년 35.9%, 2021년 38.3%로 해당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합천군은 이미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022년 8월 기준 합천군의 세대수는 24,035세대이며, 총인구는 41,531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남성은 20,239명, 여성은 21,292명으로 집계되었다. 연령별로는 20~64세가 20,308명(48.9%)으로 가장 ...


참고 자료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2022), 최신지역사회보건간호학 1, 2, 수문사
산청군 치매안심센터
제 8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2023~2026](2023.2.13 경남 산청군 보건의료원)
산청군통계 연보 제 61회(2022)
산청군 보건의료원 홈페이지(http://www.sancheong.go.kr/health/index.do)
산청군 통계서비스 홈페이지(http://www.sancheong.go.kr/stat/index.do)
KOSIS국가통계포털(http://kosis.kr/index/index.jsp)
중앙치매센터 https://www.nid.or.kr/info/diction_list2.aspx?gubun=0201
보건복지부 https://www.mohw.go.kr/react/index.jsp
산청군청 https://www.sancheong.go.kr/www/index.do
김광숙 외 공저(2019),지역사회간호학 이론과실제, 현문사
윤은자 외 공저(2019),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중앙치매센터 (https://www.nid.or.kr/main/main.aspx)
경상남도 산청군 치매안심센터 (https://sancheong.nid.or.kr/intro/intro.aspx)
산청군 통계연보( https://www.sancheong.go.kr/stat/selectBbsNttList.do?bbsNo=227&key=2380)
국가 통계 포털 (www.kosis.kr)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산청군 보건 의료원 (https://www.sancheong.go.kr/health/index.do)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경상남도 2018년 치매관리 시행계획
산청군 보건 의료원-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안) (2019~2022년)
성인간호학Ⅱ 윤은자외 공저 2022년 2월 28일 수문사
지역사회간호학(2019), 김광숙 외 공저, 현문사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kdca.kr/
통계청 https://kostat.go.kr/
합천군보건소 제8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 https://www.hc.go.kr/06237/06247.web
합천군 통계
https://archives.go.kr/next/newmanager/publishmentSubscriptionDetail.do?prt_seq=157681&page=1&keyword=&gubun_flg
보건복지부, http://www.mw.go.kr/
의협신문 https://www.doctorsnews.co.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