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헬프증후군 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제왕절개분만
2.1. 제왕절개의 정의 및 원인
2.2. 제왕절개의 시술방법
2.3. 제왕절개의 부작용
2.4. 제왕절개 회복 및 처치
3. HELLP 증후군
3.1. HELLP 증후군의 정의와 진단검사
3.2. HELLP 증후군의 병리적 기전
3.3. HELLP 증후군의 치료와 간호
4. 간호과정
4.1. 간호사정
4.2. 간호진단
4.3. 간호계획 및 수행
4.4. 간호평가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고위험 임산부들의 다양한 질병을 접할 수 있었고, 응급 제왕절개 분만 과정을 관찰할 수 있어 좋은 기회였다. 또한 고위험 임산부들에게 사용되는 주요 약물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제왕절개 분만, HELLP 증후군 등 새로운 내용을 배울 수 있었고, 간호과정에 대한 적용 능력도 향상되었다. 제공된 자료와 추가 조사를 통해 다각도로 고찰하여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보고서를 작성하고자 한다.
2. 제왕절개분만
2.1. 제왕절개의 정의 및 원인
제왕절개분만(cesarean delivery)은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이다. 제왕절개분만의 목적은 모성과 태아의 생명이나 건강을 보전하는 것이며, 전통적인 질 분만이 어렵거나 산모나 태아에게 합병증이 있는 경우 분만을 위한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다. 최근에는 모성과 태아의 사망률과 이환율이 감소되기는 했지만 제왕절개분만의 위험률은 질 분만에 비해 2배 이상이다.
2.2. 제왕절개의 시술방법
복부 절개는 배꼽 아래 정중선을 따라 수직으로 절개하는 방법과 복부의 치골선 아래에서 가로로 절개하는 반월형 횡절개 방법이 있다. 수직절개는 필요할 경우 신속하게 절개를 연장할 수 있고 비만한 여성에게 유리하다. 반면 반월형 횡절개는 미용상 장점이 있지만 수술 후 상처 벌어짐의 위험이 더 크다.
자궁 절개 방법에는 자궁하부 횡절개와 수직절개, 고전적 종절개가 있다. 자궁하부 횡절개는 출혈이 적고 봉합이 수월하며 향후 자궁파열 위험이 낮은 장점이 있다. 수직절개는 태아의 위치가 부적절할 때 적합하며 필요에 따라 절개를 연장할 수 있다. 고전적 종절개는 방광유착이 심하거나 자궁근종이 있을 때, 큰 태아가 횡위로 있을 때 등에 시행한다.
태아 분만 후에는 태반을 분만하고 자궁 내 잔여물을 제거한다. 자궁의 수축을 돕기 위해 옥시토신 등의 자궁수축제를 사용한다. 자궁 절개선은 복강 내에서 봉합하거나 복강 밖으로 꺼내어 봉합할 수 있다. 복강 밖에서 봉합하면 수축 상태를 더 잘 관찰할 수 있다.
복막과 복벽은 층별로 봉합하며 수술 부위의 혈액, 양수 등을 깨끗이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양측 난소와 난관을 확인한다.
2.3. 제왕절개의 부작용
제왕절개분만 과정에는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과다 출혈이다. 분만 과정은 출혈이 많으며, 특히 제왕절개 분만은 질식 분만에 비해 출혈이 많다. 필요한 경우 수혈을 시행하여야 하며, 수혈에도 불구하고 출혈이 지속되는 경우 자궁 절제술이나 자궁동맥 색전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둘째, 자궁 무력증이다. 분만 후 자궁이 정상적으로 수축하여야 출혈이 멎게 되는데, 간혹 자궁이 수축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과다 출혈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다. 셋째, 방광, 장의 손상이다. 모든 개복 수술에는 내부 장기의 위험성이 따르며, 특히 여러 차례 개복 수술...
참고 자료
하영수, 이경혜, 김계숙, 강숙정, 정금희, 김영희 외. 여성 모성간호학 Ⅰ. 제 2판. 서울: 신광출판사; 2018.
하영수, 이경혜, 김계숙, 강숙정, 정금희, 김영희 외. 여성 모성간호학 Ⅱ. 제 2판. 서울: 신광출판사; 2018.
김금순, 윤은자, 김숙영. 김옥순. 소향숙. 이명선 외. 성인간호학 Ⅱ. 제 8판. 서울: 수문사; 2017.
원종순. 김남초. 박수현. 송민선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 1판. 서울: 현문사; 2015.
약학정보원 성분정보 [internet]. 서울: 약학정보원: 약학정보원; 2000 [cited 2019.03.28.]. Available from: http://www.health.kr/main.asp
보건복지부 통합검색 ‘제왕절개’ [internet]. 서울: 보건복지부; 2010 [cited 2019.03.28.].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6196&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