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907년 평양 대부흥과 영향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및 범위
1.2. 평양대부흥운동에 대한 시대적 배경 이해
2. 평양대부흥운동의 전개 과정
2.1. 1903년 원산부흥운동
2.2. 1907년 평양대부흥운동
2.3. 평양대부흥운동의 주요 특징
3. 평양대부흥운동의 영향
3.1. 개신교의 한국 정착화
3.2. 교회의 정화와 도덕성 향상
3.3. 말씀과 기도운동
3.4. 사회개혁운동
3.5. 전도운동과 백만인 구령운동
4. 결론
4.1. 평양대부흥운동의 의의 및 현대적 의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및 범위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세계 곳곳에서 일어난 무디부흥운동, 웨일즈부흥운동, 인도카시아 부흥운동 등의 부흥운동 중에서도 한국교회사에 있어 절대 간과할 수 없는 역사적 부흥이 1907년 평양에서 일어났다. 이 평양대부흥운동은 한국교회와 사회를 개혁시켰으며, 소망 없던 이 나라에 새로운 희망과 용기를 주었다. 따라서 한국교회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평양대부흥운동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1907년 평양대부흥운동의 성격과 내용, 그리고 결과에 주목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교회사와 관련된 서적과 논문을 참고하여 역사적 측면에서 접근할 것이다. 나아가 오늘날 교회가 다시 부흥하기 위해 평양대부흥운동으로부터 얻어야 할 긍정적 측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1.2. 평양대부흥운동에 대한 시대적 배경 이해
18세기말부터 서양 국가들이 연안에 출몰하기 시작하여 통상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정권을 장악한 대원군은 개항을 거부하는 쇄국정책을 고수하였다. 고종이 12세의 나이로 왕위에 오른 후 대원군은 물러나고 민비 일족이 정권을 잡게 되면서 개화정책이 추진되었다. 이에 일본은 1875년 강제적으로 조일수호조규를 체결하여 한국의 개항을 이끌어냈다.
이후 1882년 임오군란, 1884년 갑신정변, 1894년 갑오개혁과 동학혁명, 1895년 청일전쟁과 민비 시해 사건, 1896년 고종의 아관파천 등 국내외적 격변이 계속되었다.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미국은 일본의 한국 지배를 승인하였고, 일본은 1905년 을사늑약을 체결하여 한국의 외교권을 장악하였다. 이후 1907년 헤이그 특사 사건을 구실로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 한일협약을 체결하여 내정 전반에 걸쳐 간섭하였다. 이에 따라 1910년 한일합방으로 한국의 주권은 완전히 상실되었다.
이러한 정치·사회적 격변 속에서 일반 백성들은 절망감에 빠져 있었다. 그들은 이 상황에서 위안과 희망을 줄 수 있는 새로운 힘을 찾고자 하였다.
한편 기독교는 서구 열강의 세력권 확대와 함께 1784년부터 한국에 전래되어 왔다. 그러나 천주교는 이방 세력으로 인식되어 박해를 받았고, 개신교 또한 선교사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었다. 이 시기에 기독교가 한국 문화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였다.
2. 평양대부흥운동의 전개 과정
2.1. 1903년 원산부흥운동
한국교회의 대부흥운동은 1903년 원산에서 하디에 의해 시작되었다. 하디는 토론토 대학의 YMCA에서 파송을 받아 의료선교와 전도를 병행하였다. 그러나 기대한 만큼 결과가 나타나지 않자, 그 원인이 자신의 성격과 능력의 결핍에 있다고 보았다. 하디는 자신의 실패를 통해 통절히 반성하는 과정을 겪으면서 새롭게 태어날 수 있었다. 그는 교인들에게 자신의 성령체험과 더불어 자신의 잘못과 교만, 믿음의 부족을 공개적으로 고백하였다. 이것이 원산 부흥운동의 기폭제가 되었다. 하디의 공개적인 고백과 회개는 참석한 사람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고, 그들 또한 자신들의 죄를 고백하며 회개하는 광경이 연출되었다. 원산부흥운동은 이와 같은 죄의 고백과 열광적인 통회의 기도를 특징으로 하며 전개되었다. 즉 부흥운동이 보고된 곳에서는 어김없이 죄의 고백과 통회의 기도가 있었던 것이다.
2.2. 1907년 평양대부흥운동
1907년 평양대부흥운동은 한국 근대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건이었다. 이 부흥운동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세계 각지에서 일어났던 무디부흥운동, 웨일즈부흥운동, 인도카시아 부흥운동과 함께 한국교회사에 있어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역사적 부흥이었다. 한국교회는 성령의 임재와 축복 속에 이 놀라운 평양대부흥 운동을 통해 민족과 사회를 개혁시켰으며, 이는 아무런 소망 없던 이 나라에 소망의 빛을 던져준 영적 분수령이라 할 수 있다.
평양대부흥운동은 1907년 1월 14일 저녁집회를 마치고 기도회를 진행하던 중 참석한 대부분의 신도들이 성령강림(Pentestcost)이라는 종교적 체험을 하게 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들은 자신의 죄를 대중앞에서 고백하며 회개의 기도를 하는 등 격렬한 정신적 고뇌를 겪었고, 때로는 ...
참고 자료
조한기. “한국교회에 나타난 부흥운동”. (경기: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강석분, “1907년 대부흥운동의 배경과 특징연구”, (수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1999
홍석훈, “1907 대부흥 운동의 배경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서울신학대학원). 1991
고병성. 부흥 운동을 통해서 본 한국교회의 과제.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진권섭, “1907년 대부흥운동이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 (경기: 침례신학대학신학대학원). 1993.
김수영, “한국교회 대부흥운동의 역사적 고찰과 교회에 끼친 영향”. (서울: 서울신학대학원).1987
신민용. “성경적 부흥관을 통해 바라본 2007년 한국교회 대부흥 100주년기념운동의 분석 및 평가”. (용인: 신대학교신학대학원) 2008.
박용규. 평양대부흥운동.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0.
. 평양대부흥이야기1907.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5.
. 한국기독교회사(1).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4.
백낙준. 한국개신교사.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1989.
이만열. 한국기독교 문화운동사.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박영관. 한국교회의 신앙적흐름. (서울: 예수교 문서선교회) 1981
마틴로이드죤스. 부흥, 서문강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1993
김남준. 한국교회 영적 기상도를 본다. (서울: 두란노). 1997
한국 교회사학 연구원,「한국기독교사상」(연세대학교 출판부,1998)
한국기독교 역사연구소,「한국기독교의역사I」,(서울: 기독교문사,2008)
최영실 ‘1907년 평양대부흥운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神學思想」2007.9
최재건, ‘1907년 한국교회의 회개 영성 부흥’ 「신학논단」제47집(2007)
김인수,‘1907년 대부흥운동’「교육목회」96년 5월,
김상근, ‘1907년 평양 대부흥 운동과 알미니안 칼빈주의의 태동’ 「한국기독교신학논총 46집」
노대준, ‘1907년 개신교 대부흥운동의 역사적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198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