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 자료) Rotator cuff tear 환자의 간호사례보고서,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례 선정의 의의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정의
2.2. 원인
2.3. 병태생리
2.4. 증상과 징후
2.5. 진단
2.6. 합병증
2.7. 치료
3. 간호과정
3.1. 환자 사정
3.2. 신체검진
3.3. 진단적 검사소견
3.4. 치료계획
3.5. 간호과정 기록
4. 결론 및 제언
4.1. 환자상태 및 추후계획
4.2. 느낀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례 선정의 의의
사례 선정의 의의는 회전근개 파열 환자의 간호사례보고서를 작성함으로써 해당 질환의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와 수술 후 간호 등에 대해 알아보고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수행함으로써 대상자의 회복을 돕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실습 기간 중 회전근개 파열 환자들을 관찰하게 되면서 이 질환에 대해 심도 있게 공부할 필요성을 느꼈고, 아직 학교에서 배우지 않은 내용을 미리 다루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회전근개 파열(Rotator cuff tear, RCT) 환자의 경우 중년을 포함한 노인 어깨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최근 노령인구의 증가, 영상 진단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진단율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20년 회전근개 문제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83만 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5천여 명이나 늘어난 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회전근개 질환에 대해 깊게 공부해볼 필요성을 느꼈고, 아직 학교에서 배우지 못한 내용을 미리 다뤄보는 것도 의미가 있겠다고 판단하여 이 질환에 대해 사례보고서를 작성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정의
회전근개는 상완골두를 고정하고 어깨 관절의 회전운동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네 개의 근육과 이들의 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근개의 근육이 파열되면 팔과 어깨에 통증이 발생하고 가동범위가 줄어드는 질병이다.
2.2. 원인
외상, 특히 무거운 것을 옮기거나 드는 경우로 인해 회전근개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견관절 전방탈구로 인해서도 회전근개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과도한 사용, 특히 전혀 사용하지 않다가 갑자기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려 사용하는 경우에도 회전근개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 나이 증가에 따른 퇴행성변화, 즉 회전근개 부분의 혈액순환이 나쁠 때에도 회전근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팔을 뻗은 상태에서 넘어질 때도 회전근개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으며, 어깨 힘줄의 점차적인 약화, 특히 어깨 충돌 시에도 회전근개 손상이 발생한다.
2.3. 병태생리
회전근개는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어깨관절의 앞, 뒤와 상부를 싸고 있는 네 개의 근육(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 및 건(힘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육은 사지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할 때 외전과 회외운동을 돕는다. 회전근개의 작용 합력은 관절와에서 상완골두가 작용하여 관절을 안정시키며 삼각근의 근력이 작용할 때 전단력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팔의 원활한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근개 파열은 힘줄의 퇴행성 변화, 부상 등으로 어깨를 들고 돌리는 힘줄의 끊어져 통증이 있고 팔을 움직이는 힘이 약해지는 질병이다. 회전근개는 연령 증가에 따라 퇴행성 변화를 겪는다. 주로 45~65세 사이에 호발하며, 젊은 성인은 대개 낙상으로, 공을 던지거나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릴 때 회전근개가 찢어진다. 노인은 노화, 반복적 움직임이나 낙상과 관련된 작은 열상이 오기 쉽다.
Rotator cuff 가 파열되면 어깨통증이 있고 어깨에서 팔을 외전 시키거나 외전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팔이 외전될 때 외전유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상자는 팔이 아래로 처진다.
2.4. 증상과 징후
회전...
참고 자료
회전근개 증후군 질병자료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Robert J, & Karin C. (n.d.). 보건의료인을 위한 병태생리학 (pp. 537-560). n.p.: 계축문화사.
약물 정보: 약학정보원
Janice L. Hinkle, Kerry H.Cheever. (2021). 성인간호학 (pp. 375-451). n.p.: 정문각.
Meg Gulanick, Judith L.Myers. (202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pp. 66-239). n.p.: 현문사.
성인간호학 하, 유양숙 권보은 김희경 박영래 박효미 안경주 엄미란 은영 조경숙 최승혜, 현문사, 1991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
서울아산병원
https://www.health.kr/
약학정보원
윤은자 외(2020), 성인간호학1,2,(P-1006) 수문사
송경애 외(2020), 최신기본간호학2, 수문사
성혜미 외(2019), 근거기반 간호과정,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www.kslm.org/)
KMLE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백과사전 (http://www.snuh.org/health/encyclo/search.do)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main.do)
KMLE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부산부민병원 E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