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시공에 따른 분석방법 설명하고 그 중 종단조사에 대하여 각 종류를 설명하되 반드시 실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조사방법의 구분 중 시공에 따른 분석방법
2.1.1. 횡단조사
2.1.2. 종단조사
2.2. 종단조사에 대한 각 종류
2.2.1. 패널조사(Panel Study)
2.2.2. 동향조사(Trend Study)
2.2.3. 코호트조사(Cohort Study)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들을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사방법론이 필요하다. 특히, 조사 방법을 시공(시간과 공간)의 관점에서 구분해서 분석하는 방식은 특정 현상의 변화나 패턴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사방법론에서 시공에 따른 분석은 연구자가 특정 시점에서 자료를 수집하는 횡단조사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동일한 대상을 반복적으로 조사하는 종단조사를 포함한다. 시공에 따른 분석 방법은 연구 목적과 질문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되는데, 조사 시점과 관찰 기간에 따라 횡단조사와 종단조사로 나뉘며, 각각 고유한 장점과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중 종단조사는 동일한 대상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반복적으로 조사하는 방법으로,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변화를 추적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는 데 탁월한 접근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2. 본론
2.1. 조사방법의 구분 중 시공에 따른 분석방법
2.1.1. 횡단조사
횡단조사는 특정 시점에서 연구 대상의 특성을 한 번에 조사하는 방법이다. 이런 횡단조사는 단일 시점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거나 특정 현상의 분포를 확인한다. 시간적 변화는 알 수 없지만,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한 지역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흡연율과 건강 상태를 조사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경우가 좋은 예이다.
횡단조사는 특정 시점에서 연구 대상의 특성을 한 번에 조사하는 방법으로, 단일 시점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거나 특정 현상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적 변화는 알 수 없다. 한 지역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흡연율과 건강 상태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좋은 실례이다.
2.1.2. 종단조사
종단조사는 동일한 대상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반복적으로 조사함으로써 변화와 인과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이다. 종단조사는 조사 목적에 따라 패널조사, 동향조사, 코호트조사로 나뉜다.
패널조사(Panel Study)는 동일한 개인, 집단, 조직 등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조사해서 변화 과정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즉, 패널조사는 동일한 대상 집단을 여러 시점에 걸쳐 반복적으로 조사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개인의 변화와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패널조사(Panel Study)는 조사 대상이 고정되어 있어 시간에 따른 변화 추적이 가능하며,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패널 유지의 어려움과 비용 부담이 큰 단점이 있다.
한국노동연구원이 1998년부터 실시한 한국노동패...
참고 자료
홍봉수, 김현수 외 3명 저, 사회복지조사론, 공동체, 2024
노병일 저, 사회복지조사론, 공동체, 2023
김승훈, 임승희 외 2명 저,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2023
최성철, 이창화 저, 사회복지조사론, 공동체, 2023
박창제, 김준환 외 2명 저, 사회복지조사론, 창지사, 2023
고관우, 김경민 외 3명 저, 사회복지조사론, 수양재, 2023
이종하,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2019.
박원우 외, 「종단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서울대학교 노사관계연구소 노사관계연구 제21권, pp.139-173, 2010.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 「2021 고령자 통계」, 통계청 보도자료, 202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 ODA 사업평가의 종단설계 가능성 탐색」, KERIS 이슈리포트, 2019.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홈페이지, 「Ko-CHENS 소개」.
(environmentforchild.modoo.at)
한국고용정보원 홈페이지, 「KLoSA 조사개요」. (survey.keis.or.kr)
김종천. 사회복지조사론. 大學出版社, 1999.
곽미정. 사회복지조사론. 서울: 양성원, 2018.
황인옥. 사회복지조사론. 서울: 동문사, 2019.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경기도: 교문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