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방종양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 및 검사
2.5. 치료
3. 대상자 사정
3.1. 일반적 사정
3.2. 간호력
3.3. 신체사정
3.4. 진단검사 결과
3.5. 투약
3.6. 수술 및 치료 경과
4. 간호과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유방 종양은 여성에게 주요한 건강 문제이다. 이는 유방조직에서 비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종양으로, 근치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유방 종양의 발생 원인과 위험 요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또한 환자 개개인의 건강 상태와 특성을 고려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유방 종양 환자의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2. 문헌고찰
2.1. 정의
섬유선종은 유방 종양 중 가장 흔한 양성 종양이다. 20세부터 50세 사이의 여성에 흔하게 발생하며, 25세 이하에서 더 잘 발생한다. 오른쪽 유방에 약간 더 많이 발생하고, 월경 전 유방통이 있거나 유방암 가족력이 있는 여성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인종에 따른 차이는 없지만 젊은 흑인 여성에게서 더 잘 발생하며 재발도 더 많이 일어난다.
2.2. 원인
섬유선종의 정확한 원인은 알지 못하지만 젖을 분비하는 유선의 말단 부위인 종말유선관-소엽 단위와 그 주위의 결합조직을 포함하는 증식의 과정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 병소가 커짐에 따라 주변 종말유선관-소엽 단위들이 결합조직의 왕성한 과도발육으로 인해 서로 합쳐지며, 여러 가지 면역조직화학염색이나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세포의 기원이 섬유모세포일 것이라는 사실을 밝혀냈고, 주위의 조직을 침범하지는 않지만 압박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도 생각된다. 섬유선종이 있는 여성에서 프로게스테론의 혈중 농도가 낮다는 사실이 보고되었으며 에스트로겐 농도는 차이가 없다는 사실도 발표되었다. 섬유선종은 정상 유방조직과 같은 요소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호르몬 변화에 대한 반응도 비슷하다. 따라서 섬유선종은 임신 기간과 수유 기간 중에는 커지는 경향이 있고, 폐경 후에는 정상 섬유선 유방조직과 함께 퇴축한다. 에스트로겐 만으로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는 폐경기 환자들에서 섬유선종은 주위의 유방실질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증가할 수도 있으며, 섬유선종의 빈도와 성장률은 내복피임약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2.3. 증상
섬유선종은 단발성 종괴로 구체적으로는 직경 1~2cm의 고무와 같은 탄력성을 지닌 종괴이다. 종괴는 주로 유방의 오른쪽에서 촉지되며, 압통이 없고 경계가 명확하고 유동성이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월경 전 유방통이 있거나 유방암의 가족력이 있는 여성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2.4. 진단 및 검사
섬유선종의 진단은 임상적인 진찰만으로도 가능하다. 그러나 27~50%의 경우 부정확할 수 있어 대개 유방 촬영술과 유방 초음파 검사를 병행하여 조직학적 진단을 시행한다. 유방 촬영술에서는 경계가 좋고 둥근 결절 소견과 내부 석회화 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유방 초음파 검사에서는 부드러운 난원형 종괴의 모습을 보이며, 내부 에코가 중등도나 저에코로 균일한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종괴 주위의 경계벽은 얇고 균일하며, 후면 에코 증강 소견도 나타난다. 또한 종괴 내부에 고에코 횡선 음영이 관찰되기도 한다. 조직학적 진단을 위해서는 대개 절제 생검을 시행하지만, 일부에서는 세침흡인세포검사나 침생검 등의 다른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세침흡인세포검사와 침생검은 섬유선종과 암종, 엽상종양과의 감별에 유용할 수 있으나, 섬유선종과 다른 양성 병소와의 감별은 어렵다. 섬유선종과 정상 유방조직이 동일한 세포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한 종괴 검체 채취가 중요하다.
따라서 섬유선종의 진단을 위해서는 임상적 진찰과 더불어 유방 촬영술, 유방 초음파 검사 등의 영상 검사를 활용하며, 필요 시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2.5. 치료
일반...
참고 자료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건강진단에서 시행되는 혈액검사들에 대한 안내
https://www.kslm.org/sub01/sub05_4.html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유방 일러스트
https://kr.123rf.com/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섬유선종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89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 서울아산병원, 섬유선종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249
비판적 간호에 기반한 간호과정 2021, 이은희, 김유정, 안지원 외 공저
김금순 외 공저. (2017).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김금순 외 공저. (2017).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양선희 외 공저. (2014).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양선희 외 공저. (2014).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유방암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72
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pageIndex=44&searchKeyword=&odcd=XPWIN15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검색. http://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김은미, & 왕명자. (2012). 항암화학요법에 관한 개별교육이 유방암환자의 지식과 자가 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18(1), 1-8.
서연옥. (2007).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4), 459-466.
박호란, 박보성, & 배영란. (2002). 구조화된 항암화학요법 교육이 암환자의 간호요구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6(2), 325-336.
박점희. (1997). 지지적 간호중재가 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4), 912-922.
서순림. (1997). 항암치료환자에게 시행한 자기간호교육과 자원동원성 수준이 적극적 대처행위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3), 639-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