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lg전자의 해외 진출을 위한 독점적 우위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LG전자의 해외 진출 배경
1.2. 연구 목적
2. LG전자의 성장 과정
2.1. 창설기부터 80년대 이전
2.2. 80년대부터 90년대 이전
2.3. 90년대부터 현재
3. LG전자의 포지셔닝 사례
3.1. LG 트롬 세탁기
3.2. LG 크리켓TV
4. LG전자 가치사슬 분석
4.1. 제품 개발
4.2. 인재 육성
4.3. 구매 및 생산
4.4. 마케팅
4.5. 고객 서비스
5. LG전자의 해외 진출 전략
5.1. 차별화된 제품 개발
5.2. 현지화 전략
5.3. 지속적 기술 혁신
6. 결론 및 시사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LG전자의 해외 진출 배경
LG전자는 한국 최초 전자산업을 시도한 기업이다. 한국 경제가 제조업에서 전자업으로 수출기반이 변화하며 비약적으로 상승했을 때, LG전자는 해외수출을 주도하여 다른 기업들이 출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현재 LG전자는 한국에 존재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많은 국가들에 진출한 사례가 있다. 그리하여 LG전자가 창설되었던 초반부터 해외시장 진출에 주력해왔음을 알 수 있다. 당시 6.25전쟁으로 산업시설이 파괴되고 전자제품을 스스로 만들기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지만, LG의 초대회장인 구인회 회장은 국민생활에 필수적인 전자산업을 일으켜보려는 의지로 해외기술자를 영입하여 국산 라디오 제품을 출시하였다. 이후 정부의 지원 아래 전자제품 생산 기술을 발전시키며 해외시장 진출에 주력하게 되었다. 1970년대에는 해외 기술도입 계약과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적극적으로 수출시장을 개척하였고, 이에 힘입어 LG전자는 한국 전자산업의 성장을 이끌 수 있었다. 이처럼 LG전자는 창립 초기부터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해왔으며, 정부의 지원과 기술 발전 등을 통해 한국 전자산업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1.2. 연구 목적
LG전자의 해외 진출을 위한 독점적 우위 분석
LG전자의 해외 진출 배경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지 시장에서 기업의 글로벌화가 필수적인 요건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LG전자는 한국 최초의 전자산업을 시도한 기업이며, 한국 경제가 전자업으로 수출기반이 변화하며 비약적으로 상승했을 때 해외수출을 주도하여 다른 기업들이 출현할 수 있었던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현재 한국에 존재하는 글로벌 기업으로서 많은 국가들에 진출한 사례가 있기 때문에 LG전자를 선정하였다.
LG전자는 창설되었던 초반부터 80년대 후반, 기업이 위기를 겪은 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후반, 그리고 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3개의 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LG전자는 포지셔닝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 LG 트롬 세탁기와 LG 크리켓TV 사례를 분석할 것이다. 또한 LG전자의 가치사슬인 제품 개발, 인재 육성, 구매 및 생산, 마케팅, 고객 서비스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LG전자의 해외 진출 전략인 차별화된 제품 개발, 현지화 전략, 지속적 기술 혁신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LG전자는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고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초기에는 국내 전자제품 시장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하며 성장하였고, 이후 80년대 후반 위기를 겪었지만 혁신적인 경영 계획을 수립하여 극복하였다. 90년대부터는 고객을 위한 가치 창조를 중심으로 성장하며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 도약하였다.
LG 트롬 세탁기의 경우 중국 시장에 진출할 때 살균 기능을 강조하여 포지셔닝 하였고, 이를 통해 동종 업계 1위 기업인 하이얼 브랜드를 제치고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 또한 LG 크리켓TV는 인도 시장에서 국민들이 좋아하는 크리켓 스포츠와 연계되어 차별성을 확보하였고, 보급형 TV를 출시하면서 대중에게 소구하여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LG전자의 가치사슬 분석 결과, 제품 개발 시 고객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우수한 인재를 확보 및 육성하며, 구매 및 생산의 효율성 제고, 현지 맞춤형 마케팅, 고객 서비스 강화 등 다각도로 노력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LG전자는 차별화된 제품 개발, 현지화 전략, 지속적 기술 혁신을 해외 진출 전략으로 추진해왔다.
LG전자는 오랜 역사를 통해 혁신과 도전정신을 보여주며 국내외 전자제품 시장을 선도해왔다. 특히 고객 중심의 경영과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왔다. 앞으로도 LG전자가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위해서는 고객에 대한 진심 어린 서비스와 믿을 수 있는 제품 생산, 그리고 적극적인 마케팅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2. LG전자의 성장 과정
2.1. 창설기부터 80년대 이전
우리나라 최초의 전자산업을 시도한 LG전자는 6.25전쟁 이후 산업시설 파괴와 전자제품 생산의 어려움 속에서도 개척정신으로 시작되었다. 초대 회장 구인회는 국민생활에 필수적인 전자산업을 일으키고자 독일인 기술이사를 채용하고 1959년 국산 라디오 A-501을 처음으로 출시하였다. 그러나 초기에는 외국제품 선호와 판매부진을 겪었는데, 이후 군사정부의 라디오 보내기 운동으로 국산 라디오의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LG전자는 국내 전자제품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힘입어 LG전자는 제품 부품의 국산화를 통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고, 라디오에 이어 냉장고, 흑백TV, 에어컨 등 다양한 전자제품을 내놓으며 산업의 기반을 다져나갔다. 1970년대 정부의 전자산업 육성 정책에 힘입어 LG전자는 해외시장 진출을 본격화하였고, 미국, 중남미, 일본 등과 특허 및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하고 현지 판매법인을 설립하는 등 수출시장 다변화에 주력하였다. 이를 통해 LG전자는 한국 경제의 전자산업 수출 기반 변화를 주도하며 성장할 수 있었다.
2.2. 80년대부터 90년대 이전
1980년에 이르러 LG전자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세계 무역의 흐름에 대응하고 국제적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하여 판매법인과 해외 생산기지 확보에 주력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매출 1조원 달성이라는 쾌거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1980년 후반부터 한국시장에 대한 선진국들의 개방 압력이 거세졌고, 노사와 갈등으로...
참고 자료
백정훈(2016), 세탁기 PUX디자인 사례분석 및 시사점연구 중국 세탁기 시장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319
전명우, 「LG전자 50년 역사 VOL.01 도전과 개척의 반세기」, LG전자 주식회사 2008년
전명우, 「LG전자 50년 역사 VOL.02 성장동력사」, LG전자 주식회사 2008년
전명우, 「LG전자 50년 역사 VOL.03 사진으로 본 LG전자 50년」, LG전자 주식회사 2008년
김종훈,「마케팅 조사 이론과 실무」, 이프레스. 2015년, 369 – 390
해외시장뉴스, ‘LG전자, 인도에서 크리켓TV 출시’, 2020.10.28.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list/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34542)
변승혁, 「국제경영」, 대왕사, 2022.
이상원, <삼성, 글로벌 스마트폰 생산 체계 대재편…베트남 물량 인도·印尼로 넘긴다>, 《THEELEC》 2021.11.17.
장하나, <미국에서 대만으로…’위기 돌파’ 위해 글로벌 경영 나선 총수들>, 《연합뉴스》 2024.06.09.
장호성, <삼성물산, 해외건설 수주 3년 연속 1위…대우·SK는 신시장 두각>, 《한국금융》 2024.07.05.
한경MONEY, <세계화와 국제화의 차이>, 《한국경제》 2009.02.16.
한연선, <2024년 글로벌 소비 트렌드 확 변했다 : 더 젊거나, 더 늙거나>, 《TheMiilk》 2024.07.17.
이정노, [화학개론] 디스플레이 산업의 역사, LG화학블로그, 2016-04-22
신동윤, CRT에서 OLED까지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 Tech World, 2018-06-12
LG디스플레이 블로그, TV 디스플레이 혁신사, CRT부터 OLED까지, 2014년 7월 23일
이주완, 디스플레이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19-06-28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 디스플레이 기술의 기원 Part.2, 2017-02-23
그림 1-1. DE%T 회사, 디스플레이 발전과정
그림 1-2. 디지털타임스, PDP TV의 `대반격`, 2007-04-30 / LCD에 밀린 PDP `역사속으로`, 2014-07-01
그림 1-3. 이주완, 디스플레이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19-06-28
한국무역보험공사ㆍ산업정책조사팀(2018.5.). 차세대 디스플레이산업 기술 및 시장 동향. 서울 : 산업정책조사팀
그림 2. KJC DISPLAY CORPORATION
그림 3.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 [디스플레이 톺아보기] ⑤ OLED의 원리와 구조
그림 4. LG디스플레이 기업블로그. [디스플레이 상식 사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그림 5.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 ‘갤럭시 폴드’로 알아 보는 폴더블 OLED 핵심 기술
표 1.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
뉴스하이라이트‘디스플레이 산업, 2020년도 쉽지 않을 듯’
미래에셋대우‘2020년 디스플레이 전망 – 거거익선’
뉴데일리경제‘출구없는 LCD, 끝없는 추락...“판가 회복 어려워”’
중앙일보‘매년 2배씩 커지는 폴더블 OLED 시장... 삼성디스플레이, 독주체제 굳힌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이슈보고서 ‘코로나19의 디스플레이 산업 영향’
그림 1n. IHS, 미래에셋대우 리서치 센터
그림 2n. IHS, 유진투자증권
그림 3n. IHS, 유진투자증권
그림 4n. 하나금융투자
그림 5n. 하나금융투자
예솔, 차세대 micro-LED 디스플레이 원천 기술, 이웃집 과학자, 2020-05-14
김준래,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마이크로 LED’, The science Times, 2019-11-15
김종민, 차세대 디스플레이, Micro LED 디스플레이 개발 동향, IITP, 2017-08-25
그림 4-1. "마이크로 LED가 상용화 될까요?“ , kipost
그림 4-2. 김종민, 차세대 디스플레이, Micro LED 디스플레이 개발 동향, IITP, 2017-08-25
해외 경제 연구소/산업경제팀, 2019.5
성장동력산엽연구본부, 서동혁, 산업기초분석(디스플레이산업)2018.12
그림1 . Information Tech .KDIA .세계 디스플레이 전망
그림 3. IHS마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