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 선정적인 가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K-pop 열풍과 아이돌 문화
1.2. 청소년에게 미치는 아이돌의 영향력
2. 선정적 내용으로 활동한 아이돌 가수의 구체적 사례
2.1. 마마무의 화사 관련 사례
2.2. 트러블메이커(현아, 장현승) 관련 사례
3. 청소년 보호 관련 법규와 조정사항
3.1. 청소년보호법 제9조 기준
3.2. 자율규제와 공공기관의 규제 방안
3.3. 연예기획사와 정부, 시민단체의 협력 방안
4. 아이돌 가수의 선정성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4.1. 성에 대한 잘못된 관념 형성
4.2. 성 상품화 가치관 구축
4.3. 모방심리와 부작용
5. 결론
5.1.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아이돌의 영향력
5.2. 방송의 청소년 보호 역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K-pop 열풍과 아이돌 문화
K-pop 열풍과 아이돌 문화는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의 10대 위주의 아이돌 그룹은 그 중심에 있으며 대중문화의 아이콘이라 할 수 있다. 틱톡(Tik Tok), 유튜브(Youtube) 등 일명 스낵컬쳐(Snack Culture)의 플랫폼 속에서는 아이돌 스타들이 자신들의 신곡을 홍보하기 위해 영상을 제작하기도 한다. 아이돌 스타를 동경하는 대중들과 그 속의 10대들은 그들의 영상 속 춤을 따라하며 직접 커버 영상을 제작하고 공유하는 등 다양한 대중매체 속에서 아이돌 문화를 소비하는 주요 고객층이 되고 있다."
1.2. 청소년에게 미치는 아이돌의 영향력
청소년에게 미치는 아이돌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아이돌 가수들이 보여주는 선정적인 노래 가사, 안무, 복장 등은 청소년들의 성에 대한 잘못된 관념 형성과 성 상품화 가치관 구축에 영향을 미친다"."
아이돌의 선정적인 모습은 청소년들에게 성에 대한 잘못된 관념을 형성시키는데, 이는 성이 가지는 고유한 가치나 의미를 인지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탐미적이고 쾌락주의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한다"."저속한 노래 가사와 선정적인 퍼포먼스는 성을 쾌락에 기초한 행위에 불과하다는 인식을 청소년들에게 심어줄 수 있다"."
또한 성 상품화에 기초한 아이돌들의 행위와 태도는 청소년들로 하여금 성을 하나의 상품으로 인식하게 하여, 자신의 성을 바탕으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등의 성 상품화 행위가 청소년들에게서 나타나고 있다"."이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성이 단순한 유흥과 향락의 소비상품으로 전락한 것에 기인한다"."
더불어 아이돌 가수를 모방하고자 하는 청소년들의 모방심리로 인해 지나치게 노출된 의상을 착용하거나 극단적인 다이어트 등의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이처럼 아이돌 가수의 선정성은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 가치관 형성과 심리적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적절한 규제와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2. 선정적 내용으로 활동한 아이돌 가수의 구체적 사례
2.1. 마마무의 화사 관련 사례
걸그룹 마마무의 멤버 '화사'는 2023년 5월 12일 성균관대학교 축제에서 가수 '로꼬'와 함께 한 무대 '주지마'에서 여성의 성기를 연상시키는 선정적인 퍼포먼스를 선보여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 이 무대 영상이 유튜브를 통해 퍼지자 외설적이라는 여론이 들끓었다. 이는 마마무가 기존에도 선정적인 의상과 컨셉, 노래로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던 것에 이어 화사 개인의 선정적 행동으로 또 다시 사회적인 파장을 일으킨 사례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이돌 가수들의 선정적인 퍼포먼스와 이미지는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적절한 규제와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2.2. 트러블메이커(현아, 장현승) 관련 사례
혼성듀오 트러블메이커(현아, 장현승)의 곡 '내일은 없어'는 1930년대 초 미국사회를 떠들썩하게 한 남녀 혼성 은행강도인 보니 엘리...
참고 자료
천정웅 저(2019). 청소년문제와 보호. 양서원
이미리 저(2020). 청소년 문제와 보호. 교육과학사
네이버 지식백과
김석환외, (아이돌 스타의 선정적인 영상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성개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2017
모경환외, (청소년문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성윤숙외, (스마트시대대중매체를 통한 청소년성상품화 대응방안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김석환외, (아이돌 스타의 선정적인 영상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성개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2017
모경환외, (청소년문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성윤숙외, (스마트시대대중매체를 통한 청소년성상품화 대응방안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