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퇴골전자간골절 간호과정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정의
2.2. 원인
2.3. 종류
2.4. 증상
2.5. 진단
2.6. 치료
2.7. 간호
2.8. 합병증 관리
3. 간호사정
4. 간호과정
4.1. 간호문제
4.2. 간호진단
4.3. 간호계획 및 수행
4.4. 간호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대퇴골 골절(Fracture of Femur)은 노인 환자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골절이다. 주로 낙상 등의 사고로 인해 고관절 부위에 큰 손상을 입어 발생하며, 통증과 운동 장애를 유발하여 일상생활을 어렵게 한다. 또한 장기간의 회복 시간이 소요되며, 방치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크다. 따라서 본 사례연구를 통해 대퇴골 골절의 정의와 원인, 치료방법에 대한 문헌고찰을 수행하고 실제 병원에서 확인한 사례를 기반으로 간호과정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찰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정의
대퇴골 전자간 골절(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Femur)은 대퇴골 근위부 전자간 선으로부터 소전자 5cm 이하까지의 부위에 발생된 골절이다. 원인은 고령, 강한 외력에 의해 발생하며 대부분 분쇄 골절의 형태를 띤다.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심한 골다공증을 앓고 있는 여성에게 호발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골절 빈도가 늘어나며 수술적 고정 실패율도 높다. 또한 장기간 침상안정으로 인하여 노인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때문에 예후가 좋지 않은 골절이기도 하다.
2.2. 원인
골절은 대개 뼈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외상 후에 발생한다. 직접적인 외상과 간접적인 외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로 구분되는데, 직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은 작용한 외력의 크기나 외력이 작용된 뼈의 범위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교통사고, 타박, 총상 등이 원인이 된다. 간접적인 외trauma에 의한 골절은 뼈에 붙은 근육이나 인대가 갑작스럽게 힘이 가해지면서 뼈를 잡아당겨 골절이 생기거나 뼈에 회전력 등이 가해져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등을 말한다. 그 밖에 골다공증, 종양, 감염 등으로 약해진 부위에 정상적인 뼈에서는 골절을 유발하기에 약한 힘에 의해 일어난 골절을 병적 골절(pathologic fracture)이라 한다. 또한 피로골절(fatigue fracture, stress fracture)은 뼈의 일정한 부위에 반복되는 스트레스가 가해질 때 점차적으로 생긴 골절로 군인이나 전문적인 운동선수들에게서 장거리 행군이나 반복된 훈련 후 발생하곤 한다.
2.3. 종류
폐쇄성 골절(closed fracture)은 골절부위의 피부 외층에 손상이 없는 골절이다. 개방성 골절(open fracture)은 골절부위가 피부 밖으로 돌출하여 외부환경에 직접 조출된 상태로, 복합골절이라고도 한다.
선상골절은 골절부위가 횡선이나 사선 등의 골절선을 가지며, 뼈에 약간 또는 중간 정도의 직접 압력이 가해졌을 때 발생한다. 사선골절(oblique fracture)은 골절선이 뼈의 축(axis)에서 사선으로 골절된 것으로 비틀렸을 때 발생하는 골절이다. 종선골절(longitudinal fracture)은 골절선이 뼈의 종축에 평행하게 발생한 불완전한 골절이다. 횡선골절(transverse fracture)은 뼈의 종축에 직각을 이루며 가하는 압력을 받았을 때 횡축으로 발생하는 골절이다. 나선골절(spiral fracture)은 골절이 뼈 둘레를 돌면서 나선형으로 골절된 것이다.
전위골절(displaced fracture)은 골절편이 골절선에서 분리되어 정상적인 위치를 이탈한 상태이다. 분쇄골절(comminuted fracture)은 골절된 뼈가 산산이 부서진 형태의 골절로 골절편이 3개 이상이다. 매복골절(impacted fracture)은 골절부위의 한쪽 종단면이...
참고 자료
유선영 외 10인(2021). 노인간호학. 고문사, P188~189
유양숙 외 9인(2022). 제 8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295~317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P326~572
공은숙 외, 알기 쉬운 노인간호학, 학지사메디컬, P162
노인 변비, 장 자극 체조·복근 강화 운동이 도움된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chosun.com)
[길벗 따라 생활건강] 변비가 있어요② 변비에 좋은 복부 마사지와 경혈지압 - 한국농정신문 (ikpnews.net)
김숙영 외. 성인간호학 I·II. 수문사; 2023. p. 750-760.
송경애 외. 기본간호학 I·II. 수문사; 2023. p. 73-84.
강미정, 김수정, 신경림.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서울아산병원. 대퇴 골절(Fracture of Femur).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cited 2024 Oct].
Available from: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64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수술후 운동 교육. 서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cited 2024 nov]
Availbale from: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RH&MENU_ID=006046023+30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 하권 제8판, 현문사, 2022년, 제21장 근골격계 대상자 간호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 하권 제8판, 현문사, 2022년, 피부견인 및 골격견인 사진
서울성모병원, “[염좌]와 [골절] 어떤 차이가 있나요?”, 골절 사진
농업안전보건센터, 골절의 정의 및 증상, 선상골절 사진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손목 관절면을 침범한 골절의 CT 사진
운정세움한의원, 골절치유 4단계 사진
스마일어게인, 골절, 골절의 종류 사진
서울아산병원, 골절의 합병증, 구획증후군 사진
123RF, 건강한 사람의 고관절과 무혈관 괴사 의료출판물용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