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뇌시술 개요
1.1. 경대퇴뇌혈관 조영술(TFCA)의 정의와 목적
뇌혈관 조영술은 대퇴동맥을 통하여 총경동맥과 좌·우 추골동맥 등 4개의 혈관에 각각 선택적으로 카테터(catheter)를 삽입시켜 조영제를 주입하여 뇌혈관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이 검사는 뇌혈관의 위치, 동맥류, 혈관의 기형, 혈종, 종양 등을 알아내기 위한 검사로 뇌혈관상태를 파악하는데 가장 정밀하고 정확한 검사이다. 뇌동맥류, 뇌동정맥기형을 비롯한 대개의 혈관질환을 확진하거나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필수적인 검사이다.
기계를 이용하여 혈관 내 조영제를 주입한 뒤 연속촬영을 하면서 뇌혈관의 동맥상, 모세혈관상, 정맥상을 순서대로 관찰함으로써 뇌혈관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뇌혈관 질환의 진단, 혈관 기형이나 동맥류의 확인, 수술 계획 수립 등을 위해 필수적인 검사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1.2. TFCA의 적응증
경대퇴뇌혈관 조영술(TFCA)의 적응증
뇌혈관의 폐쇄성 질환 진단, 비전형적이거나 특별한 위험인자 없이 발생한 뇌졸중의 진단이 TFCA의 적응증이다. 또한 동정맥류, 동정맥기형의 혈관기형과 동맥류, 종양의 진단에도 이용된다. 뇌혈관 질환과 종양의 수술을 위한 선행평가, 수술 전 동맥류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함 등이 TFCA의 적응증이다. 그 외에도 혈관의 위치, 경련, 부종, 농양 또는 혈종 등을 규명하는 데에도 TFCA를 사용한다. TFCA는 뇌혈관의 동맥상, 모세혈관상, 정맥상을 순서대로 관찰할 수 있어 뇌혈관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인 검사이다.
1.3. TFCA 시행 방법 및 과정
기계를 이용하여 혈관 내 조영제를 주입한 뒤 연속촬영을 하면서 뇌혈관의 동맥상, 모세혈관상, 정맥상을 순서대로 관찰한다. 우선 환자를 X-ray 촬영 테이블에 눕힌 후 천자부위(서혜부)를 소독한다. 2% lidocaine으로 천자부위를 국소마취한 뒤 0.5~0.7cm 정도 피부를 절개한다. 그리고 seldinger needle을 대퇴 동맥에 삽입하여 와이어를 빼고 sheath 안으로 heparin을 주사한다. 이후 sheath가 대퇴동맥에 들어갔음이 확인되면 긴 와이어를 삽입하고 카테터를 삽입한다. 카테터가 원하는 위치에 있으면 환자의 체위를 고정하고 와이어를 제거한 뒤 조영제 주입기를 작동시킨다. 촬영이 끝나면 needle 위쪽을 강하게 누르면서 sheath를 제거하고 지혈이 되면 gauze와 sand bag으로 압박한다.
1.4. TFCA 금기사항
과거 조영제를 이용한 검사에서 알러지 반응이 있었던 사람은 검사 전 주치의에게 미리 알려야 한다. 특이체질 및 아스피린, 와파린과 같은 혈전 용해제를 복용하는 사람은 주치의에게 미리 말해야 한다. 당뇨 환자의 경우 담당자에게 당뇨 환자임을 미리 말해야 하며, 검사 당일에는 혈당강하제를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천식 환자의 경우 조영제 알러지 반응으로 인한 호흡곤란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검사시행 직전에 예방적으로 흡입제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1.5. TFCA 전후 간호
TFCA 검사에 앞서 환자와 보호자에게 검사의 목적과 과정을 설명한다. 자정부터 금식하도록 하며, 조영제에 대한 과민반응 여부를 확인한다. 출혈 예방을 위해 항응고제 치료 여부를 사정한다. 검사 후 3시간 동안 침상 안정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보청기, 속옷, 틀니 등을 제거하고 천자부위의 털을 제모한다. 족배동맥 박동을 촉지하여 표시하고, 수액 공급을 충분히 한다.
검사 후에는 활력징후를 확인하고 의식변화, 언어장애, 운동 및 감각 신경 결손 등을 관찰한다. 천자부위의 혈종 형성, 출혈 등을 사정하며 족배동맥, 사지의 감각, 통증, 피부색, 온도 등을 확인한다. 검사 후 3~8시간 동안 모래주머니를 얹은 채 침상 안정을 취하도록 하며, 필요 시 단순도뇨를 시행한다.
환자에게 주의사항을 교육한다. 소변은 누운 자세에서 보아야 하며, 모래주머니 아래로 출혈이 있거나 다리 색깔이 파랗게 변하거나 열감이 있으면 간호사에게 알린다. 지혈패드 제거 시간은 간호사가 공지한 시간을 따르며, 복압이 심하게 올라가는 행위와 천자부위가 반복적으로 접히는 자세는 피한다. 천자부위에 물이 닿지 않도록 하며, 멍은 1~2개월 정도 지속될 수 있다.
TFCA 검사와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천자부위의 혈종, 조영제에 의한 두통, 기억상실, 구토, 알레르기 반응 등이 있다. 또한 혈전 생성, 실어증, 반신마비, 시야협착, 정신 증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 일시적인 현상이다.
2. 뇌하수체 종양 사례 분석
2.1. 환자 개인정보
환자명은 김OO이고, 성별은 남성이며 나이는 52세이다. 직업은 회사원이고, 결혼 상태는 기혼이다. 체중은 80.1kg, 키는 176cm이며 최근 체중 변화는 없다. 입원 방법은 일반 차량을 이용하였고, 입원 시 동반자는 가족(배우자)이다.입원 동기와 주호소
최근 들어 시야가 좁아지는 느낌이 들며 지속적으로 두통이 나타나 가까운 타병원에서 MRI 촬영 후 뇌하수체 종양이 의심되어 확실한 검사와 수술을 진행하기 위해 외래를 통해 입원하게 되었다. 주요 호소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