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서혜부탈장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서혜부 탈장의 정의 및 분류
1.2. 서혜부 탈장의 원인 및 병태생리
1.3. 서혜부 탈장의 증상 및 진단
2. 본론
2.1. 서혜부 탈장의 내과적 치료
2.2. 서혜부 탈장의 외과적 치료
2.3. 서혜부 탈장 수술의 종류
2.4. 서혜부 탈장 수술의 합병증 및 관리
2.5. 서혜부 탈장 환자의 간호 중재
2.6. 서혜부 탈장 환자의 퇴원 교육
3. 결론
3.1. 서혜부 탈장 관리에 대한 요약
3.2. 서혜부 탈장 예방을 위한 제언
3.3. 서혜부 탈장 간호의 향후 발전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서혜부 탈장의 정의 및 분류
서혜부 탈장은 장기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복막 밖으로 돌출되어 나오는 증상이다. 탈장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복벽이 약해져서 발생하며, 주로 복강 내에서 발생한다. 서혜부 탈장은 복벽을 통해 발생하는 탈장 중에서 가장 빈번한 형태이다. 서혜부 탈장의 유형에는 간접 서혜 탈장과 직접 서혜 탈장이 있다. 간접 서혜 탈장은 선천적으로 고환 하강 과정에서 서혜관 내부와 외부의 개구부가 제대로 폐쇄되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탈장낭이 정삭을 따라 내려가기도 한다. 직접 서혜 탈장은 복벽 근육층의 약해진 부분을 통해 내장이 직접 돌출되는 경우이며, 주로 고령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1.2. 서혜부 탈장의 원인 및 병태생리
탈장은 복벽이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약해짐에 따라 장기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복막 밖으로 돌출되어 나오는 것이다. 서혜부 탈장은 가장 흔한 형태의 탈장으로, 선천적으로 재태기간 중 고환 하강 과정이 미완성되어 상하부 서혜륜이 폐쇄되지 않아 서혜관을 통해 내장이 탈장되어 발생한다. 또한 노화로 인해 근육조직이 침윤되고 지방조직 및 결합조직으로 대치되면서 근육의 강도가 저하되며, 이와 함께 비만으로 인한 복부 내압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서혜부 탈장이 발생할 수 있다.
탈장된 내용물은 처음에는 환원(reducible)되어 복강 내로 밀어 넣을 수 있지만, 점차 탈장낭에 대한 압박으로 인해 환원되지 않는 비환원성(irreducible) 탈장이 되며, 이때 탈장된 장기의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염전(strangulation)이 발생하면 장폐색과 괴사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서혜부 탈장은 적절한 시기에 수술적 교정이 필요하다.
1.3. 서혜부 탈장의 증상 및 진단
서혜부 탈장 환자는 복부압박 시 서혜부 부위가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증상을 호소한다. 이러한 증상은 기침,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배에 힘을 주는 등 복압이 상승할 때 더욱 심해지며, 누워서 쉬면 튀어나온 덩어리가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때로는 덩어리가 만져지지 않아도 서혜부의 불편감을 느끼기도 한다. 남성의 경우 탈장이 고환까지 내려가서 덩어리가 만져지기도 하며, 간혹 장폐쇄 증상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서혜부 탈장의 진단을 위해서는 우선 의사가 서혜부를 신체검진하여 부드럽고 둥근 표면을 가진 덩어리가 만져지는지 확인한다. 이때 환자에게 기침이나 배에 힘을 주도록 하면 덩어리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또한 의사는 검지 손가락을 탈장이 발생한 부위에 넣어 고환을 함입시켜 탈장낭을 보다 확실히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초음파나 CT 검사를 통해 탈장낭 내의 장기 상태와 복강과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2. 본론
2.1. 서혜부 탈장의 내과적 치료
감돈이나 꼬임이 되지 않은 서혜부 탈장은 내과적 치료로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우선 손으로 탈장낭의 내용물을 복강 내로 밀어 넣어 돌출을 감소시킨다. 이후 탈장낭을 외부로부터 막아주는 탈장대를 착용하여 돌출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탈장의 내과적 치료는 수술적 치료에 비해 단순하고 침습도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다. 내과적 치료는 증상 관리와 수술 전 준비를 위해 활용된다.
...
참고 자료
강북서울외과, “탈장”, http://www.kbseoulsurgery.co.kr/bbs/board.php?bo_table=B082
강석봉, ‘봄철 맞아 시작한 운동, 무리하면 탈장 부른다’, 스포츠경향, 2023.03.21.,
https://sports.khan.co.kr/bizlife/sk_index.html?art_id=202303211612003&sec_id=561801&pt=nv
고려대학교안암병원 전문클리닉, “복강경 탈장 클리닉”,
http://anam.kumc.or.kr/department/treatDeptDesc01.do?DP_CODE=AA071
서울대학교 N의학정보, “서혜부 탈장”,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혜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8566&cid=51006&categoryId=51006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반흔탈장”,
http://www.amc.seoul.kr/healthinfo/health/attach/img/30084/20111219141441_0_30084.jpg
김금순 외.「성인간호학Ⅰ」.수문사(2016),455-457쪽
질병관리본부.“탈장”.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460,(2019.1.9.)
서울아산병원.“탈장봉합술”.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76,(2019.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