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는 산업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새로운 산업이 등장하였고, 이에 따라 수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일을 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그에 따른 사고와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사람들은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와 사망사고를 겪기도 하고, 교통사고와 자살과 같은 문제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일본, 한국의 최근 3년간 발생한 교통사고, 자살, 산업재해 통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각국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교통사고
2.1. 통계 및 추이
미국, 영국, 일본, 한국의 최근 3년(2019년~2021년) 동안 교통사고, 자살, 산업재해의 통계 및 추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통사고의 경우, 미국은 2019년 6,756,084건, 2020년 5,251,006건, 2021년 6,102,936건의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사망자 수는 2019년 36,355명, 2020년 39,007명, 2021년 42,939명으로 증가 추세이다. 영국은 2019년 123,212건, 2020년 95,422건, 2021년 105,791건의 사고가 발생하였고, 사망자 수는 2019년 1,808명, 2020년 1,516명, 2021년 1,608명으로 변동이 크지 않다. 일본은 2019년 381,237건, 2020년 309,178건, 2021년 305,196건의 사고가 발생하였고, 사망자 수는 2019년 3,920명, 2020년 3,416명, 2021년 3,205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한국은 2019년 229,600건, 2020년 209,654건, 2021년 203,130건의 사고가 발생하였고, 사망자 수는 2019년 3,349명, 2020년 3,081명, 2021년 2,916명으로 감소하고 있다.
자살의 경우, 미국은 2019년 인구 10만 명당 14.7명, 2020년 14.1명, 2021년 14.1명의 자살률을 기록하였다. 영국은 2019년 10만 명당 8.6명, 2020년 8.4명, 2021년 10.5명의 자살률을 보였다. 일본은 2019년 14.6명, 2020년 15.4명, 2021년 14.7명의 자살률을 나타냈다. 한국은 2019년 25.4명, 2020년 24.1명, 2021년 26.0명의 자살률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산업재해의 경우, 미국은 2019년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가 3.5명, 2020년 3.4명, 2021년 3.6명이었다. 영국은 2019년 0.5명, 2020년 0.4명, 2021년 0.4명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일본은 2019년 1.66명, 2020년 1.64명, 2021년 1.95명의 사망자 수를 기록하였다. 한국은 2019년 1.93명, 2020년 1.92명, 2021년 2.09명의 사망자 수를 보였다.
2.2. 나라별 특징
미국의 교통사고 특징은 다음과 같다.
사고 유형별로는 차량간 충돌이 전체의 42.6%로 가장 많고, 다른 정지 물체와의 충돌이 26.5%, 보행자 충돌 사고가 19.6%를 차지한다. 특히 사망자가 발생한 차량간 충돌 유형을 살펴보면, Angle 충돌이 44.9%, 정면 충돌이 29.9%, 후방 충돌이 17.4%, 측면 및 기타 충돌이 7.8%로 나타났다.
사고 차량 운전자의 연령대별로는 20대에서 60대까지 평균 17% 정도의 비율로 유사하게 나타났고, 의외로 운전 경력이 짧은 10대후반~20대 초반(4~8%)과 고령자(7.5~12.7%)의 비율은 평균보다 낮았다.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연령대는 25세에서 34세로 전체의 17.6%를 차지했으며, 사망사고 비율 역시 해당 연령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미국에서는 매년 약 600만 건 이상의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며, 그중 200만 건은 탑승자 부상과 관련되고 약 40만 건은 치명적인 부상으로 이어진다. 매년 교통사고로 인해 38,000여명이 사망하고 있으며, 그 주요 원인은 ① 산만한 운전과 운전 부주의, ② 음주 운전, ③ 과속 운전, ④ 신호 위반, ⑤ 난폭 운전, ⑥ 공격적인 운전, ⑦ 졸음 운전 등이다.
영국의 교통사고 특징은 ① 과속, ② 부주의한 운전, ③ 음주운전이 주된 원인이다.
일본의 경우 보행 중 사망사고가 전체의 37.9%로 가장 많고, 오토바이 승차 중 사망사고가 30.3%, 자전거 승차 중 사망사고가 22.7%를 차지한다. 사망자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40.9%로 가장 많으며, 사고 장소는 교차로에서 발생한 사고가 63.6%로 압도적이다.
2.3. 원인 분석
운전자의 안전운전 태만이 교통사고의 가장 큰 원인이다. 운전자가 휴대폰 사용, 과속, 신호 위반, 음주운전 등의 부주의한 행동을 하거나 졸음운전을 하는 경우 교통사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운전자의 연령대도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운전 경험이 부족한 10대와 노령 운전자들에게서 사고 발생률이 높다. 20~60대 운전자의 사고 비율은 비슷한 편이지만, 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10대와 고령층의 운전 참여율이 낮기 때문에 이들의 사고 비율도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차량 요인 또한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이다. 차량 결함이나 안전장치 미비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차종에 따라서도 사고 위험이 달라진다. 특히 대형 화물차나 이륜차의 경우 사고 발생 시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교통 환경 요인도 사고 발생의 주요 원인이다. 교차로나 야간, 악천후 등 도로 환경이 사고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환경적 요인은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방해하여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처럼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은 운전자의 부주의한 운전행태, 운전자 연령, 차량 요인, 교통 환경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개선해야 할 것이다.
3. 자살
3.1. 통계 및 추이
미국의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19년 36,355명, 2020년 39,007명, 2021년 42,939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20년의 경우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가 11.6명, 2021년에는 12.7명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1만 대당 사망자 수 또한 2019년 1.2명, 2020년 1.3명, 2021년 1.4명으로 상승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2019년 1,808명, 2020년 1,516명, 2021년 1,608명으로 비교적 감소하는 추세이다.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도 2019년 2.7명, 2020년 2.3명, 2021년 2.4명으로 낮아지고 있다. 자동차 1만 대당 사망자 수도 2019년 0.5명, 2020년 0.4명, 2021년 0.4명으로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