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부신피질 기능장애는 의료 현장에서 간과하지 않고 주의 깊게 다뤄야 할 중요한 질환이다. 부신피질의 기능 저하 혹은 항진은 다양한 임상 증상을 유발하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부신의 구조와 기능, 부신피질 기능장애의 유형과 특징, 진단검사 방법, 치료법 및 간호 중재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부신 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 실제 임상 현장에서 효율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2. 부신의 기능
2.1. 부신피질
부신피질은 약 40여 종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분비한다. 이 중 7종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생리적 활동을 하고 있다. 부신피질 호르몬의 분비는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ACTH에 의해 조절된다.
부신피질 호르몬 중 염류코르티코이드인 알도스테론은 가장 강력한 작용을 하며, 소듐 정체, 포타슘 배설, 수분 축적, 전해질 조절에 관여한다. 또한 당류코르티코이드인 코티솔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대사와 염증 및 면역 기능,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한다. 성호르몬인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도 부신피질에서 분비된다.
부신피질의 이러한 기능은 부신-뇌하수체-시상하부 축의 조절을 받으며, 항상성 유지와 스트레스 대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부신피질의 기능 저하 또는 항진은 다양한 병리적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2.2. 부신수질
부신수질에서는 25%의 노르에피네프린과 75%의 에피네프린을 분비하며 교감신경에 의해 조절된다. 노르에피네프린은 혈관수축, 심장의 활동 촉진, 소화관 활동의 억제, 동공확대 등의 작용을 한다. 에피네프린은 노르에피네프린과 비슷한 작용을 하지만 심장에는 노르에피네프린보다 20배 더 강력한 작용을 한다.
3. 부신의 진단검사
3.1. 혈청 ACTH 검사
혈청 ACTH 검사는 부신피질 호르몬의 분비 조절에 관여하는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의 수치를 측정하여 부신피질의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이다.
환자는 자정이후부터 채혈 전까지 금식하고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혈액검체를 일주기 리듬에 맞추어 채취해야 한다. 이는 ACTH 분비가 일주기 리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상적인 ACTH 수치는 아침 8시에 20-100pg/ml, 오후 4시에 10-50pg/ml 범위이다.
ACTH 수치가 이상적으로 측정되면 코티솔의 분비 이상이 뇌하수체 기능 이상에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부신 기능 이상에 기인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부신피질 기능 저하증의 경우 ACTH 분비가 증가하지만, 부신이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므로 혈청 코티솔 수치가 낮게 나타난다. 반면 쿠싱증후군의 경우 ACTH 과다 분비로 인해 부신피질에서 코티솔이 과다 분비된다. 따라서 ACTH 검사는 부신피질 기능 이상의 원인을 감별하는데 매우 중요한 진단검사이다.
채취한 혈액검체는 반드시 얼음에 담아 검사실로 보내야 하며, 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