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학개론 한국간호의 역사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학 개론 문제
2. 한국 간호의 역사
2.1. 조선시대 간호
2.1.1. 의녀제도
2.1.2. 동의보감과 의학 지식의 발달
2.2. 개항기와 구한말의 간호
2.2.1. 서양식 병원 설립과 간호
2.2.2. 대한제국의 근대적 병원 설립과 간호
2.2.3. 간호교육 시작
2.3. 일제강점기의 간호(1910~1945)
2.3.1. 간호제도의 변화
2.3.2. 간호교육
2.3.3. 간호실무
2.3.4. 전문단체활동
2.3.5. 독립운동
2.4. 해방 직후부터 정부수립기까지의 간호(1945~1949)
2.5. 한국전쟁과 전후 복구기의 간호(1950~1960)
3. 세계 간호의 역사
3.1. 고대 문명과 간호
3.1.1. 메소포타미아
3.1.2. 고대 이집트
3.1.3. 고대 히브리인
3.1.4. 고대 중국
3.1.5. 고대 인도
3.1.6. 고대 그리스
3.1.7. 고대 로마
3.2. 초기 기독교 시대의 간호
3.2.1. 여집사 제도
3.2.2. 로마의 귀부인 간호사업가들
3.3. 중세 전반기의 간호
3.3.1. 장원제도와 수도원 간호
3.3.2. 성지 구호소와 십자군 운동
3.3.3. 이슬람 문명과 간호
3.4. 중세 후기의 간호
3.4.1. 십자군 운동과 기사단
3.4.2. 길드와 탁발승단
3.4.3. 베긴운동과 흑사병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학 개론 문제
간호는 인간의 건강증진, 질병예방, 돌봄의 제공을 통해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전문직이다. 간호의 역사는 인류 문명의 발전과 궤를 같이하며 원시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초기에는 고대 문명에서 시작된 간호행위가 점차 발전하여 중세에는 종교적 병원과 간호 수도원, 기사단 등에 의해 제도화되었고 근대에 이르러서는 전문직 간호사의 등장과 함께 간호학 분야가 독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고대부터 시작된 간호행위가 조선시대 의녀제도와 개항기 서양식 병원, 일제강점기 간호 제도화 등을 거쳐 현대 간호의 모습으로 발전해 왔다. 이처럼 간호는 인류 문명과 함께 끊임없이 변화해 온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간호 전문직의 정체성 확립과 미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한국 간호의 역사
2.1. 조선시대 간호
2.1.1. 의녀제도
태종에 이르러 의녀제도가 처음 창설되었다. 의녀제도는 남녀유별의 도를 실천하고 당시 시대의 학문인 성리학의 가르침에 충실하고자 했다는 데에 그 목적이 있었다. 체계적이고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당시 조선사회의 특성을 반영하여 생긴 직업여성이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태조 원년(1392)에는 전의감, 혜민국, 동서대비원을 설치하고 후에 제생원으로 신설하여 1405년에는 4개 기관이 있었다. 그 뒤 제생원은 혜민서와 통합되었고, 세조 12년 직제개편 때 내의원, 전의감, 혜민서, 활인서로 정비되었다. 혜민서는 일반백성의 의료와 각 도에서 선발된 의녀의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이었다. 제생원은 태종 6년에 최초로 의녀를 양성한 기관이다.
의녀는 모두 한양의 관비였고 활동 역시 한양에 주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지방의 부녀자는 의녀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없었다. 지방출신 의녀가 서울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은 세종 17년이다. 의녀교육은 혜민서에서 관장하였으며, 문자 교육과 의서 교육이 이루어졌다. 의녀들은 대개 의원의 보조자로서 활동하였기 때문에 진맥, 침술, 산과와 부인과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하였다.
의녀제도는 연산군 대에 이르러 변화한다. 의녀들은 주연회의 가무에 참가하거나 의술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업무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국가에서는 의녀에게 자식은 양인이 되도록 하고, 다른 관비와 달리 치장을 허용했으며 매월 급여 외에도 특전을 제공하였다.
2.1.2. 동의보감과 의학 지식의 발달
조선시대 의학의 발전과정에서 동의보감은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동의보감은 조선 선조 때 각종 전통 의학 이론과 임상 경험을 집대성하여 편찬된 의학 백과사전이다. 이 책은 동양 의학사상의 정수를 담고 있고, 당시 의학 지식을 총괄하여 후대에 귀중한 유산이 되었다.
동의보감의 편찬은 중국 사절단에 의해 도입된 서양 의학 지식과 맞물려 있다. 동의보감은 전통 한의학의 체계를 정립하고, 그간 산발적으로 존재하던 의학 지식을 집대성하여 보다 체계화된 의학 체계를 수립하는 데 일조하였다. 또한 서양 의학 지식의 도입으로 유발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한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동의보감은 내과, 외과, 부인과, 소아과 등 의학 전반에 걸쳐 22권으로 구성되었고, 의약재료, 병리, 진단, 치료법, 보건 등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 진맥법, 침구법, 탕약 조제법 등 당시의 의료 기술도 소개되어 있다. 이처럼 동의보감은 한의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을 뿐만 아니라 서양 의학 도입에 따른 격변기 조선 의학계의 중요한 전환점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2.2. 개항기와 구한말의 간호
2.2.1. 서양식 병원 설립과 간호
고종 14년(1877) 일본해군이 부산에 제생의원을 설립하였다. 이 병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의학에 의한 병원이었다. 고종 33년(1896)에는 공립병원으로 사용되다가 청일전쟁이 발발하면서 병참병원으로 사용되었다. 고종 17년(1880)에는 원산 생생병원이 설립되었고, 고종 21년(1884)에는 영사관 부속병원이 설립되어 고종 25년(1888)에 인천공립병원이 되었으며, 청일전쟁이 벌어지면서 인천병참병원으로 개칭되었다. 고종 34년(1897)에는 공립병원이 설립되었다. 제중원은 개원 첫 해 동안 외래 환자와 왕진환자의 수가 만여 명에 달하였다. 1886년에는 북장로교회의 엘러스가 부인부를 담당하며 왕비 및 왕실부인들의 진료를 맡았다. 제중원에서 선발된 학생들은 병원에서 환자의 간병인과 함께 환자를 간호하였다. 알렌은 의녀제도의 전통을 이어 여성의료인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이 밖에도 개항기의 서양인 선교 간호사로는 최초의 선교간호사인 에밀리 히트코트, 성 마태병원에서 근무한 웹스터, 장로교 해외 선교부에서 파송된 첫 간호사 제콥슨, 한국의 나이팅게일이었던 쉬일즈, 세브란스 간호사 양성소 소장이었던 로렌스 등이 있었다. 이처럼 개항기에 서양식 병원이 설립되면서 간호사업도 시작되었고, 선교 간호사들이 주도적으로 활동하였다. 서양의학과 간호 지식이 전파되고 자국 간호사들의 양성이 이루어졌던 것이다.
2.2.2. 대한제국의 근대적 병원 설립과 간호
고종 14년(1877) 일본해군이 부산에 제생의원을 설립하였다. 이 병원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서양의학에 의한 병원이었으며 고종 33년(1896)에는 공립병원으로 사용되다가 청일전쟁의 발발로 병참병원으로 사용되었다. 고종 17년(1880)에는 원산 생생병원이 설치되었다. 고종 21년(1884)에 설립된 영사관 부속병원은 고종 25년(1888)에 인천공립병원이 되었으며 청일전쟁이 벌어지며 인천병참병원으로 개칭되었다. 고종 34년(1897)에는 공립병원이 설치되었다.
제중원은 개원 1년 여 동안 외래 환자와 왕진환자의 합수가 만여 명에 달하였다. 1886년에는 북장로교회의 엘러스가 부인부를 담당하며 왕비 및 왕실부인들의 진료를 맡았다. 제중원에서 선발된 학생들은 병원에서 환자의 간병인과 함께 환자를 간호하였다. 그러던 중 알렌은 의녀제도의 전통을 이어 여성의료인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고종 32년(1895) 경성을 비롯한 각 지방에서 콜레라가 대유행하여 처음으로 전염병에 대한 법령이 반포되었다. 고종 36년(1899) 외래중심의 내부병원(이듬해 광제원으로 개칭)이 설립되었다. 광제원은 콜레라 방역을 위한 기관으로 변신하였다. 통감부 설치 후 광제원의 일본인 의료인력이 증가되면서 병원의 성격도 서양의술 중심의 기관으로 바뀌었다. 이비인후과, 일반외과, 안과, 부인과 등이 개설되었으며 입원과 수술도 시행되었다. 따라서 전문 간호업무 기술을 다루는 일본 간호부 3명도 근무하게 되었다.
1905년에는 상병자를 구호하기 위해 대한적십자사 설립되었다. 이는 곧 부상자와 병자를 구호하기에 전력을 다하는 것으로 개정되었으며 1907년 대한의원이 개원하며 합병되었다. 대한의원은 개원 당시부터 산파와 간호부를 두어 대한제국의 자주적 의료 근대화 사업의 성과라고 불린다.
2.2.3. 간호교육 시작
보구여관은 한국에 개신교 의료사업이 시작된 지 18년이 지난 후 이루어진 한국 최초의 간호원양성학교였다. 선교간호사 에드먼즈의 노력과 수고의 결실로 간호사 교육을 위한 정규과정이 개설되었으며, 한국 근대화에 필요한 우수한 간호원을 양성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교수진은 감리회와 장로회의 여러 남녀 선교사들이 공동으로 참여했는데, 이는 1906년에 설립된 세브란스병원 간호원양성학교에서도 동일하게 시행되었다. 세브란스간호부양성소는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인간애를 교육이념으로 1906년 세브란스병원 내에 창설되었다. 대한의원은 1907년 3월 10일에 반포된 칙령 제9호 대한의원 관제에 따라 치료부, 교육부, 위생부 등 3부를 두어 위생, 의육, 치병의 일을 담당했는데, 이는 우리나라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실시한 간호교육의 효시이며 근대적 교육기회가 제한되어 있던 당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높은 수준의 전문교육제도였다. 이와 같이 보구여관과 세브란스간호부양성소, 대한의원 등이 간호교육의 효시라 할 ...
참고 자료
이미숙, 2012, 조선시대 의녀의 역할, 한국사상과 문화 no.61
옥성득, 2012, 초기 개신교 간호와 간호교육의 정체성, 한국기독교역사학회
정은영, 2021, 일제강점기 간호학의 보급과 간호사 양성 정책,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12 no.7
고대 바빌로니아와 이집트의 과학과 기술, 2009. 12. 3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4145&cid=42365&categoryId=42365
고대이집트, 2015.10.15,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84921&cid=58251&categoryId=58251
모세, 2001.09.1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89979&cid=41875&categoryId=41875
고대 중국, 2015.10.1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84929&cid=58251&categoryId=58251
고대중국의학, 2006.04.1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11974&cid=51085&categoryId=51085
고대 인도, 2015.10.1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84926&cid=58251&categoryId=58251&expCategoryId=58251
강선주 외, [동서고금 의술이야기] 인도 전통의학 '아유르베다', 2018.10.12, http://www.newsroad.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56
그리스 자연철학과 과학의 태동, 2009.12.3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4146&cid=42365&categoryId=42365
장미성, 2018, 정신 질병의 탄생: 고대 그리스 의학적 시선의 철학적 기원, 철학연구, 121, 1-24.
고대 로마 시대의 그리스 의학, 2006.04.1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11983&cid=51085&categoryId=51085
마르셀라, 1996.03.0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23588&cid=60408&categoryId=55558
파비올라, 1996.03.0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23698&cid=60408&categoryId=55558
파울라, 1996.03.0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23700&cid=60408&categoryId=55558
‘수도원 의학’ 시대, 2006. 4. 1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11992&cid=51085&categoryId=51085
카시오도루스, 1998.08.2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32592&cid=50766&categoryId=50794
십자군, 1998.08.2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30156&cid=50766&categoryId=50794
박연식, 1996, 중세 수도원 공동체의 영성에 관한 고찰 - 12 , 13세기를 중심으로
문희자, 1980, 나이팅게일과 업적, 대한간호 Vol.19 No.3
한윤복, 1980, 나이팅게일과 간호, 대한간호 Vol.19 No.3
최순옥, 1999, 여성의 지위에 따른 간호사의 위상 변화 II -중세 이후부터 근대 후기까지, 대한간호학회지 v.29 no.1
간호학개론/박인숙, 이현순, 임경민/은학사/2021.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