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시신경 척수염 문헌고찰과 사례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시신경 척수염 진단에 관한 문헌고찰
1.2. 사례연구의 필요성
2. 본론
2.1. 간호정보 조사
2.2. 임상 검사 결과
2.3. 투여 약물
2.4. 간호과정
3. 결론
3.1. 결론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시신경 척수염 진단에 관한 문헌고찰
시신경 척수염은 시신경과 척수 신경을 침범하는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이다. 이는 자가면역 질환의 일종으로 아쿠아포린 4라는 단백질을 공격하여 발생한다. 또한 일부 환자에서는 면역 체계가 말이집 외층에 존재하는 말이집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MOG)을 표적으로 하기도 한다. 이 질환은 여성에게 더 흔하게 발병하며 여성:남성의 비율이 9:1로 매우 높다.
시신경 척수염의 주요 증상으로는 시신경염, 근력약화, 보행 장애, 감각 저하, 대소변 실금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은 시신경에 대한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며, 한쪽 또는 양쪽 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야 희미함, 흐림 또는 실명을 유발할 수 있다.
시신경 척수염은 시신경염과 급성 척수염이 있으면서, 3가지 진단 기준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할 때 진단할 수 있다. 이 기준에는 척수 MRI 상 3개 이상의 척추를 침범하는 긴 병변이 있거나, 뇌 MRI가 다발성 경화증 진단 기준을 만족하지 않아야 하며, NMO-IgG 항체 양성인 경우가 포함된다.
시신경 척수염은 반복적인 재발이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초기의 적절한 진단이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하게 병원에 방문하여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는 주로 스테로이드 제제나 혈장 교환술, 면역억제제 등을 사용한다. 스테로이드 치료에도 호전이 없거나 지속될 경우 혈장 교환술을 고려할 수 있으며, 약 50%에서 임상적 호전을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시신경 척수염은 희귀 난치성 질환으로 진단과 치료가 쉽지 않은 질환이다. 특히 반복적인 재발과 시력, 운동 능력 등의 장애가 동반될 수 있어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2. 사례연구의 필요성
시신경 척수염은 희귀난치성 질환이지만 진단을 받는 환자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 질환은 일반적인 감각저하, 운동 장애 등의 증상 외에도 시신경의 염증으로 인한 시력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복합적인 증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시신경 척수염 환자의 간호에는 시각적 어려움과 낙상 위험 등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다. 또한 젊은 성인에게 주로 발생하는 질환이므로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시신경 척수염 환자의 사례를 검토하고 체계적인 간호중재를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사례연구는 시신경 척수염 환...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Ⅱ 9판 개정, 윤은자 외 공저, 2021-02-25, 수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시신경척수염[데빅병] [Neuromyelitis optica[Devic]] (희귀질환정보)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B%87%8C,-%EC%B2%99%EC%88%98,-%EC%8B%A0%EA%B2%BD-%EC%9E%A5%EC%95%A0/%EB%8B%A4%EB%B0%9C%EC%84%B1-%EA%B2%BD%ED%99%94%EC%A6%9D-ms-%EB%B0%8F-%EA%B4%80%EB%A0%A8-%EC%9E%A5%EC%95%A0/%EC%8B%9C%EC%8B%A0%EA%B2%BD-%EC%B2%99%EC%88%98%EC%97%BC-%EB%B2%94%EC%A3%BC-%EC%A7%88%ED%99%98-nmosd
백운철‧김성철 외 공저(2016). 핵심 병리학.: 은학사
송경애 외. (2017). 최신 기본간호학 I, II. 파주 : 수문사
송경애 외. (2017).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파주 : 수문사
성미혜 외. (2015).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파주 : 수문사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3580 질병관리본부
http://www.snuh.org/health/encyclo/view/12/2/22.do 서울대학교 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cancer/info/disease/view.do?CONT_ID=1934&CONT_SRC_ID=09a4727a8000f28c&CONT_SRC=CMS&CONT_CLS_CD=001020001 삼성서울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