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근치적자궁절제술 후 배뇨장애가 자궁경부암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본론
2.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치료 관련 특성
2.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치료 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2.3. 대상자의 배뇨장애와 삶의 질 수준
2.4. 대상자의 배뇨장애 증상 강도 및 일상생활 불편감과 삶의 질 관계
2.5. 배뇨장애가 대상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간호 실무 적용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자궁경부암 여성은 초기 병기에서부터 수술적 접근으로 치료를 받게 되어 생존기간 동안 수술 및 치료 후에 수반되는 후유증으로 인한 불편을 가지고 일상생활에 적응하며 살아가야 하는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시행 받은 여성의 삶의 질은 전체 부인암 여성의 평균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받은 경우 광범위한 자궁 및 자궁 주변 조직의 절제와 관련하여 여성은 다양한 후유증을 겪게 되는데, 그중 가장 빈번하고 심각한 후유증으로 배뇨장애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궁경부암 여성의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근치적 자궁절제술 후 배뇨장애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자궁경부암 여성의 수술 후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배뇨장애와 삶의 질 수준을 알아보고, 배뇨장애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첫째,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의 일반적 및 치료 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확인한다. 둘째,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의 배뇨장애와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한다. 셋째,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의 배뇨장애와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한다. 넷째,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의 배뇨장애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2. 본론
2.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치료 관련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치료 관련 특성이다. 대상자의 연령분포는 50대가 가장 많은 40.8%를 차지하고 있으며, 종교가 있는 경우가 70.1%로 가장 많다. 대상자의 74.5%가 배우자가 있고, 59.2%가 직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고졸이 47.8%로 가장 많았고, 가계 월수입은 100~300만원 수준이 40.1%를 차지했다. 동거 가족 수는 3인 이상이 57.3%로 가장 많았다. 치료 관련 특성으로는 진단 시 병기가 I기가 84.1%, II기가 15.9%였으며, 치료유형으로는 수술만 받은 대상자가 46.5%, ...
참고 자료
전나미, 노기옥. (2019). 근치적자궁절제술 후 배뇨장애가 자궁경부암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Asian Oncology Nursing, 19(3), 150-158.
성미혜외(2021),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93-402.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05, 서울아산병원, 근치적자궁절제술.
전나미, 노기옥. (2019). 근치적자궁절제술 후 배뇨장애가 자궁경부암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Asian Oncology Nursing, 19(3), 150-158.
전나미, 노기옥, 송현주, 김상희. (2016). 근치적자궁절제술을 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의 배뇨장애 빈도, 강도 및 일상생활 불편감.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3), 4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