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액관 관리 및 간호관리 총정리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5.06.02
10,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배액관 관리 및 간호관리 총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배액관의 종류와 특성
1.1. 개방성 배액관 (Penrose drain)
1.2. 폐쇄성 배액관 (T-tube, Chest tube)
1.3. 음압성 배액관 (J-P drain, Hemovac/Barovac)
1.4. 경피적 배액관 (PTBD, PTGBD, PCN, Cystostomy)
1.5. 비침습적 배액관 (ENBD)

2. 배액관 간호관리
2.1. 배액관 삽입부위 관리
2.2. 배액량 및 성상 사정
2.3. 배액관 기능 유지
2.4. 배액관 제거 기준

3. 배액관 관련 주요 합병증
3.1. 출혈
3.2. 감염
3.3. 배액관 이동 및 막힘
3.4. 대사 이상

4. 배액관 관리에 대한 환자교육

5. 결론

본문내용

1. 배액관의 종류와 특성
1.1. 개방성 배액관 (Penrose drain)

Penrose drain은 수술 부위에서 생성되는 장액성 분비물과 혈액, 농 등을 체외로 배출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배액관이다. 이는 부드럽게 접히는 고무 재질의 얇은 관으로 피부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모세관 현상과 중력을 이용하여 분비물을 배출하며, 방사선 비투과성 선을 가지고 있어 체내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개방성 배액관의 경우 삼출물이 많이 발생하므로 배액물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삽입 부위를 베타딘으로 소독하고 거즈로 덮은 뒤 반창고로 고정한다. 드레싱은 분비물 양이 많아 자주 교체해야 하며, 아침저녁으로 드레싱이 필요하다. 고정되지 않아 탈락되거나 체내로 들어갈 위험이 있으므로 수시로 관찰하며 안전핀으로 고정한다.

배액량이 줄어들면 매일 조금씩 배액관을 뽑으며, 복강 내 배액량이 하루 20-25cc 이하가 되면 제거한다. 개방성 배액관의 경우 다량의 삼출물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주기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수적이다.


1.2. 폐쇄성 배액관 (T-tube, Chest tube)

T-tube(Biliary Drainage Tube)

T-tube는 담낭절제술이나 담도 수술 후 총담관에 삽입하여 창상을 통해 복부로 나와 중력에 의해 배액되도록 연결되어 상처 치유를 돕는 폐쇄성 배액관이다. 수술 직후 초기 배액은 혈액섞인 담즙이 나오다가 점차 녹갈색 담즙으로 바뀐다.

첫 24시간 동안은 300~500cc/일 배출되며 1000cc 이상일 경우 의사에게 보고한다. 소화를 위해 식전 1-2시간 동안은 T-tube를 잠그는데, T-tube를 잠그고 환자가 복통, 구토, 어지러움 등 이상증세를 보이면 즉시 T-tube를 풀어준다.

담즙 역류하지 않게 항상 상처부위보다 낮게 유지하며, 운동시 담즙주머니를 대퇴부에 고정한다. 감염과 담즙 배액으로 인한 피부 찰과상 예방을 위해 지시에 따라 정기적으로 교체한다. 샤워는 가능하지만 해당 부위의 드레싱은 항상 건조하게 유지한다.

매일 밤 12시에 담즙 주머니를 비우고 양, 색깔, 피부상태, 환자 반응을 기록한다. T-tube 기능과 수술결과 확인을 위해 수술 후 7일에 T-tube cholangiography를 시행하여 담석이 있는지, 총담관 개방성이 확보되었는지 확인 후 T-tube를 잠그고 7일간 이상 없으면 제거한다.

Chest Tube

흉곽에 공기, 섬유소, 혈액, 장액, 농 등이 축적되면 폐를 압박하여 가스교환이 감소되므로 이를 배액하여 폐의 재팽창을 도모하기 위해 사용한다.

매 2시간마다 배액의 색, 양, 농도를 확인하며, 흉부 방사선 사진을 통해 흉관의 위치, 폐의 확장유무, 무기폐의 유무, 늑막액 잔존 유무를 확인한다. 또한 매 2시간마다 또는 필요시 폐 기능 및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삽입부위의 통증이나 흉부 불편감 등도 확인하며, 밀봉 배액병의 물이 위 아래로 이동하는지 점검하고 연결부위를 점검한다. 삽입부위와 주위의 피부 상태도 사정하며, 자주 환부쪽 팔과 어깨의 관절부위 운동을 하도록 교육한다.

배액병 내 배액량이 700cc 이상이 되면 배액병을 비우고 다시 water seal level을 만들어 준다.


1.3. 음압성 배액관 (J-P drain, Hemovac/Barovac)

J-P drain, Jackson-Pratt drain은 음압을 이용하여 수술부위나 상처로부터 배액을 흡인하여 상처 치유를 도모하기 위한 배액관이다. 수술 후 체액이 모이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체외로 배액하기 위해 사용된다. Bulb를 눌러 주머니 내 음압을 형성하면서 internal drainage tube로부터 excess fluid를 배액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150~200cc 정도의 크기의 실리콘 재질의 폐쇄배액 기구이다. 가볍고 편해서 이동하기가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복부수술, 유방수술,...


참고 자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