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낙상사고 보고서
1.1. 근접사고 발생 사례
집 화장실에서 낙상 후 통증이 지속되어 외래를 통해 입원한 87세 남자 환자로, 늑골 골절로 진단받고 보조기 착용한 채로 치료를 받고 있다. 고령과 낙상 경험, 하지 위약감, 보청기 착용으로 인해 낙상 고위험군으로 판단되어 낙상예방 간호를 실시하고 교육하였다. 새벽 3시에 혼자서 병실 내 화장실을 이용하려 하다가 주저앉으면서 바닥으로 쓰러졌다. 옆 환자가 콜벨을 눌러 발견하였고, 환자는 콜벨을 눌렀으나 간호사가 오지 않아 혼자 움직였다고 이야기하였다. 확인한 결과 콜벨 와이어 연결부위가 빠져서 콜벨이 울리지 않았고, 환자가 밤에 큰 소리로 주변사람을 깨우고 싶지 않은 마음에 스스로 이동하다 사고가 발생하였다. []
1.2. 간호사고 해결방안
간호사는 낙상예방 교육 시 간호사를 호출하여 도움받는 것에 주저하지 말라는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또한 콜벨 와이어의 연결상태 및 정상작동여부를 매주 확인점검하는 프로세스를 만들어 점검해야 한다. 매 순회 시 환자의 요구를 미리 파악하고, 가능하다면 24시간 보호자가 상주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낙상고위험군 대상자에 대해서는 정보를 공유하며, 해당 대상자가 있는 병실 근처에는 야간에도 간호보조인력을 배치하여 도움이 필요할 때 즉시 도움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를 통해 낙상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며, 향후 유사한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1.3. 안전간호 환경개선 방안
간호사는 낙상예방 교육 시 간호사를 호출하여 도움받는 것에 주저하지 말라는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또한 콜벨 와이어의 연결상태 및 정상작동여부를 매주 확인점검하는 프로세스를 만들어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매 순회 시 환자의 요구를 미리 파악하고, 가능하다면 24시간 보호자가 상주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낙상고위험군 대상자에 대해서는 정보를 공유하여 함께 관리해야 한다. 해당 대상자가 있는 병실 근처에는 야간에도 간호보조인력을 배치하여 도움이 필요할 때 즉시 도움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이 환자의 안전을 고려한 다양한 환경개선 활동을 통해 낙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2. 낙상사고 응급대응
2.1. 환자 정보
123456 / 김OO 여성이다. 87세이다. 지주막하출혈로 인한 뇌동맥류 결찰술을 받았으며, 이후 재활치료를 위해 재활병동에 입원하였다. 우측 근력 저하가 지속되어 지팡이를 짚고 거동하거나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이동하는 상태이다.
2.2. 사건발생 경위
환자보호자가 간호사에게 환자 목욕시키겠다고 이야기한 후 목욕용품을 챙겨 10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