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췌장암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췌장암의 정의
2.2. 췌장암의 원인 및 고위험군
2.3. 췌장암의 증상
2.4. 췌장암의 진단검사
2.5. 췌장암의 치료
2.6. 췌장암 환자 간호
3. 사례연구
3.1. 대상자 입원 정보
3.2. 대상자 진단명 및 수술명 학습
3.3. 대상자 건강상태 사정
3.4. 대상자 소화기계와 관련된 자료수집
3.5. 대상자 진단적 검사 결과 해석
3.6. 대상자 약물치료 현황
3.7. 대상자의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과정
3.8. 대상자 교육계획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췌장암은 우리나라에서 암으로 인한 사망률 8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5년 생존율은 고작 8%에 불과하여 암 중에서도 가장 예후가 좋지 않은 편에 속한다. 췌장암 생존율이 낮은 이유는 첫째, 조기진단이 어려워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고 둘째, 췌장암의 특성상 원격 전이가 잘 되어 치료가 간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걸리면 죽는 암'이라는 편견으로 인해 진단과 동시에 치료를 포기하는 환자들이 많은 것도 생존율을 낮추는 이유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췌장암의 특징과 합병증 등을 분석하여 증상 완화 요인을 찾고 환자의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췌장암의 특징적 증상을 분석하여 환자가 보다 빨리 자신의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음으로써 미래를 계획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췌장암의 정의
췌장암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췌장암은 췌장에 생겨난 암세포의 덩이로, 췌장에 발생하는 종양 중 90% 이상은 췌관의 외분비 세포에서 기원한다. 췌장은 머리, 몸통, 꼬리 세 부분으로 나뉘며 전이가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어 치료가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은 암이다. 췌장암은 우리나라에서 암으로 인한 사망률 5위를 차지할 정도로 매우 위험한 질병이다.
2.2. 췌장암의 원인 및 고위험군
고령은 가장 중요한 췌장암의 위험인자이다. 30세 이전에는 극히 드물게 발병하며 50세 이전에도 많이 발병하지 않지만 65-70세에 가장 많이 발병한다. 만성 췌장염 환자의 경우 10-20년 일찍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췌장암 발생 위험이 1.8배 높다. 췌장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부분이 손상되어 당뇨병이 생길 수 있으며, 반대로 당뇨병이 있으면 췌장암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이다.
열성 유전질환인 낭성 섬유증 환자들도 췌장암 발병 위험이 높다. 치료법 발달로 수명이 늘어나면서 췌장암 발생이 늘어나고 있다.
흡연은 췌장암 발병의 30%와 관련이 있으며 비흡연자에 비해 1.6~3.1배 위험도가 높다. 금연 후 10년이 지나면 비흡연자 수준으로 위험도가 낮아진다.
과다한 알코올 섭취도 췌장염의 주요 원인이 되어 간접적으로 췌장암 발생과 관련된다. 하지만 많은 음주자가 흡연을 하므로 알코올보다는 흡연의 영향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과도한 열량, 지방, 탄수화물 섭취와 높은 체질량지수는 췌장암 위험을 높이며, 과일과 채소 섭취는 위험도를 낮추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연구 결과가 일관되지 않아 확언할 수는 없다.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직업군에서도 췌장암 발병 위험이 높다. 석탄가스, 코크스 관련 작업자, 기계 수리 및 절삭 작업자 등이 해당된다. 방사선 노출도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췌장암 환자의 5-10%는 유전적 요인으로 인한 경우이다. 유전성 췌장염, 유전성 비용종성 대장암 등의 질환과 관련되어 있으며, 일등친이 췌장암 병력이 있으면 발병 위험도가 3-6배 높다.
2.3. 췌장암의 증상
췌장암의 가장 흔한 증상은 복통이다. 복통은 암의 위치와 관련되며, 췌장 두부에 발생한 암의 경우 명치끝에서 흔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암이 췌장 전체에 걸쳐 있는 경우에는 복부 전체에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암세포가 주변의 신경얼기로 침범하면 극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통증은 주로 밤에 더욱 심해지며, 몇 주에서 몇 달에 걸쳐 점점 심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췌장암 환자의 약 80%에서 황달이 나타난다. 황달은 종양이 총담관을 막아 담즙이 흘러나가지 못하여 발생한다. 황달이 동반되면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고, 가려움증, 진한 갈색 소변, 회색변 등이 나타난다.
췌장암 환자의 약 80%에서 체중 감소가 관찰된다. 이는 암세포로 인해 몸의 에너지와 영양분이 고갈되고, 췌장액 분비 감소로 인한 흡수 장애와 식...
참고 자료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595
http://kormedi.com/1228648/%EC%B7%8C%EC%9E%A5%EC%95%94-%ED%99%98%EC%9E%90%EA%B0%80-%EA%B0%80%EC%9E%A5-%ED%9B%84%ED%9A%8C%ED%95%98%EB%8A%94-5%EA%B0%80%EC%A7%80/
https://blog.naver.com/PostView.nhn?isHttpsRedirect=true&blogId=kj011&logNo=60142932080
https://blog.naver.com/lhc930102/221151575329
https://blog.naver.com/yfreedom39/221668052598
https://blog.naver.com/jeilhcafe/221715216007
윤은자 외(2021), 성인간호학, 수문사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1, 현문사
성미혜 외(2020),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정문각
서울대학병원 건강정보 췌장암
국가정보 포털 췌장암
약학정보원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 수문사 2019
송경애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2020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body/bodySubmain.do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www.kslm.org/
삼성서울병원 암환자 영양관리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DD2
현문사(2021). 성인간호학 상, 김옥순 외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건강백과
췌장암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