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배스킨라빈스 마케팅 분석
1.1. 기업 소개
1.1.1. 기업 개요
배스킨라빈스는 1945년 미국인 사업가 어바인 라빈스(Irvine Robbins, 1917-2008)와 버턴 배스킨(Burton Baskin, 1913-1967)이 공동으로 설립한 다국적 아이스크림 전문 기업이다. 던킨 도너츠 브랜드가 속해 있는 비알 코리아(BR KOREA)의 소속이고, 본사는 미국의 매사추세츠 주 캔턴에 위치해 있다. 배스킨라빈스 브랜드명 중 숫자의 31은 '한 달 내내 매일 한 가지씩 먹을 수 있는, '31가지의 다양한 아이스크림을 갖추었다'는 의미이다. 1985년에 한국으로 진출한 베스킨라빈스는 1988년부터 전국에 체인점이 들어서게 되고 기본 정신인 '우리는 아이스크림을 파는 것이 아니라 즐거움을 파는 것이다.'라는 정신 아래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1.1.2. 기업 유래
배스킨라빈스의 기업 유래는 다음과 같다.
배스킨라빈스는 1945년 미국인 사업가 어바인 라빈스(Irvine Robbins, 1917-2008)와 버턴 배스킨(Burton Baskin, 1913-1967)이 공동으로 설립한 다국적 아이스크림 전문 기업이다. 던킨 도너츠 브랜드가 속해 있는 비알 코리아(BR KOREA)의 소속이고, 본사는 미국의 매사추세츠 주 캔턴에 위치해 있다.
배스킨라빈스 브랜드명 중 숫자의 31은 '한 달 내내 매일 한 가지씩 먹을 수 있는, '31가지의 다양한 아이스크림을 갖추었다'는 의미이다. 1985년에 한국으로 진출한 베스킨라빈스는 1988년부터 전국에 체인점이 들어서게 되고 기본 정신인 '우리는 아이스크림을 파는 것이 아니라 즐거움을 파는 것이다.'라는 정신 아래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1.1.3. 기업 이념 및 로고
배스킨라빈스의 기업 이념 및 로고는 다음과 같다.
배스킨라빈스의 기업 이념은 "One flavor for each day of the month"로, "한 달 31일 내내 새로운 맛을 선사하겠다"는 의미이다. 또한 "We make people happy"라는 이념으로 높은 품질의 특별한 아이스크림 메뉴로 전 세계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는 기업이라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다.
배스킨라빈스의 로고는 시간이 지나면서 세 번의 변화를 겪어왔다. 초기의 핑크 컬러와 중앙에 강조된 숫자 31에서 시작하여, 2000년대 초반에는 B와 R의 이니셜을 중앙에 배치하고 블루 컬러를 메인 컬러로 사용하는 등 브랜드 이미지 현대화를 시도했다. 이후 2006년에는 파랑, 분홍, 흰색의 고채도 색상을 사용하여 밝고 활기찬 분위기를 나타내는 로고로 변경했다.
가장 최근인 2022년에는 배스킨라빈스 본사에서 새로운 로고를 선보였는데, 이전에 비해 더욱 직관적이고 강렬한 느낌의 폰트와 어두운 갈색 메인 색상을 사용하여 브랜드의 역사와 전통을 강조하는 모습이다. 이처럼 배스킨라빈스는 시대와 트렌드의 변화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로고를 개선하며 기업 이미지를 구축해왔다.
1.1.4. 유통사 개요
배스킨라빈스의 유통사인 비알코리아(BR KOREA)는 던킨도너츠과 배스킨라빈스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SPC 그룹 계열사의 아이스크림 및 기타 식용 빙과류 즉 외식 업체 회사이다. 제품과 사업 종류는 아이스크림, 냉동 디저트류, 도넛츠 제조, 도매, 전자상거래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1985년 영국의 세계적인 식품 던킨 브랜즈 그룹과 합작투자로 설립되었고 기업 로고는 밝은 미래, 희망, 평화, 행복, 이상향 등을 상징하는 블루 컬러와 꿈을 향해 나아가는 비알코리아만의 정신을 담고 있다. 기업의 비전은 '행복한 문화를 선도하며 사회와 미래에 기여한다' 이고 비알코리아의 공식 홈페이지 상에서 자사를 '비알코리아는 맛있는 즐거움을 선사하는 no.1 F&B 이다' 라고 소개하고 있다.
1.2. 시장점유율
1.2.1. 글로벌 현황
배스킨라빈스의 글로벌 현황은 다음과 같다.
현재 배스킨라빈스는 세계 50여개국에 8000여개 이상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최대의 체인망을 가진 전문 아이스크림 기업이다. 특히 아이스크림 전문 기업으로서 미국 내에만 매장 약 2,500개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배스킨라빈스는 일본, 홍콩, 대만, 싱가폴 등 아시아 대부분과 러시아, 영국, 미국, 호주 등 세계 각국에 진출해 있는 상태이다. 이처럼 글로벌 진출을 통해 배스킨라빈스는 세계 최대의 체인망을 확보하며 아이스크림 업계에서 최고의 전문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자랑하고 있다.
1.3. 시장환경분석
1.3.1. 인구 통계적 환경 분석
배스킨라빈스의 주요 고객층은 20대 남녀 직장인과 대학생들이다. 특히 여성 소비자들이 배스킨라빈스의 주요 고객층으로 구매력과 트렌드에 민감한 특성을 보인다. 또한 30대 직장인과 아이가 있는 가정주부 등 중장년층도 배스킨라빈스의 주요 고객층으로 볼 수 있다. 배스킨라빈스는 이처럼 10대부터 30대 여성 중심의 젊은 층을 타겟으로 한 제품 개발과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근에는 MZ세대를 겨냥한 다양한 상품과 이벤트를 선보이며 이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배스킨라빈스의 주요 고객은 젊고 경제적인 여성 소비자라고 볼 수 있다.
1.3.2. 거시적 환경분석
오늘날 소비자들의 소비의 의미가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음식에 관한 소비는 더이상 외식이나 기호식품을 단순히 먹는 개념 그 이상이 되었다. 소비자들은 배스킨라빈스와 같은 디저트를 소비함으로써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편으로도 받아들이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식, 편리성, 다이어트식을 추구하게 되고, 고급화를 지향하게 되는 특성도 나타난다. 따라서 값이 조금 비싸도 맛있는 아이스크림을 먹고 싶다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프리미엄 아이스크림이 나타나고 있는 추세다.
1.4. 산업구조분석
1.4.1. 대체제의 위협
아이스크림 시장에서 배스킨라빈스가 직면한 대체제의 위협은 크다고 볼 수 있다.
먼저, 일반 아이스크림 브랜드들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롯데제과, 빙그레, 해태제과 등과 같은 기업들이 생산하는 일반 아이스크림은 프리미엄 아이스크림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택을 받고 있다. 특히 IMF 이후 아이스크림 업계에서 가장 큰 호황을 누린 것은 이들 일반 브랜드였으며, 당시 배스킨라빈스와 하겐다즈 등의 프리미엄 브랜드들은 타격을 받기도 했다. 비록 최근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이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많아 일반 아이스크림 브랜드들이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커피전문점도 배스킨라빈스의 주요한 대체제라고 볼 수 있다. 최근 소비 트렌드가 디저트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커피 외에 다양한 디저트 메뉴를 함께 즐기는 소비 행태가 늘어나고 있다. 스타벅스, 커피빈 등의 커피전문점들이 아이스크림 및 빙수 메뉴를 선보이면서 배스킨라빈스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불어 최근 웰빙트렌드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저칼로리, 저지방 아이스크림 등 건강 지향적인 대체제들도 등장하고 있다. CJ 푸드빌의 '콜드스톤 크리머리', 남양유업의 '백미당'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이들은 배스킨라빈스 등 기존 프리미엄 브랜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을 제공하면서도 건강과 인기를 동시에 잡고 있다.
이처럼 저렴한 일반 아이스크림 브랜드, 디저트를 함께 제공하는 커피전문점, 건강을 강조하는 신규 아이스크림 브랜드 등 다양한 대체제의 등장으로 인해 배스킨라빈스가 직면한 위협은 크다고 볼 수 있다.
1.4.2. 잠재적 진입자
배스킨라빈스의 대표적인 경쟁사로 하겐다즈, 나뚜루, 콜드스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업체는 배스킨라빈스와 유사한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에 진출해 있으며, 지속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