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무균술의 정의
무균술은 병원성 미생물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환자의 치료 중 무균술을 이용하게 되면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전파 가능성이 감소한다. 무균술은 감염관리를 통해 병원성 미생물을 최소화함으로써 침습적 시술 동안 환자를 보호하는 기술이며,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의 두 가지가 있다. 내과적 무균술은 감염회로의 고리를 끊는 것이며, 외과적 무균술은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내과적 무균술은 병원 내 모든 대상자에게 적용되지만, 외과적 무균술은 수술실, 분만실 등 특수 처치 시에만 적용된다. 따라서 무균술은 감염관리를 위한 핵심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1.2.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의 개요
내과적 무균술은 병원체의 수와 전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감염회로를 차단하여 특정 미생물을 특정 영역 내로 한정시키고, 미생물의 수와 성장 및 전파를 제한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한다. 손 위생, 일회용 기구 사용, 사용된 기구의 오염제거와 재처리, 혈액이나 체액과 접촉 시 보호장구 착용, 환경 청소 등이 내과적 무균술에 포함된다. 또한 의료인의 개인위생 실천을 통해 감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환자에게 감염원을 옮길 위험도 감소시킬 수 있다.
외과적 무균술은 미생물이 전혀 없는 멸균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이다. 수술실, 분만실, 투석실, 내시경실, 심장 카테터실 등에서 침습적 처치 시 의료요원이 이용하며, 이때 외과적 손 씻기, 멸균 가운과 장갑 착용, 멸균 영역 관리 등 엄격한 절차를 준수한다. 외과적 무균술이 깨지면 오염으로 연결되어 감염 위험성이 증가하므로 내과적 무균술보다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2. 내과적 무균술
2.1. 내과적 무균술의 개념
내과적 무균술(Medical Asepsis)은 병원체의 수와 전파를 줄이는 방법이다. 이는 감염 회로의 고리를 끊음으로써 감염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과적 무균술은 모든 대상자에게 적용되며, 특정 미생물을 특정 영역에 한정시키고 미생물의 수와 성장 및 전파를 제한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한다.
내과적 무균술에는 손 위생, 일회용 기구 사용, 사용된 기구의 오염 제거 및 재처리, 혈액이나 체액 접촉 시 개인보호구 착용, 환경 청소 등이 포함된다. 의료인은 자신의 개인위생을 실천함으로써 감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대상자에게 감염원을 옮길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내과적 무균술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의 수를 줄이고 전파를 차단함으로써 감염 예방에 기여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를 미생물로부터 보호하여 의료관련 감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2.2. 내과적 손위생
손위생은 감염관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중요한 방법이다. 손은 미생물의 침입 경로 및 전파 수단이 되므로, 병원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씻기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에서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항균비누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