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스터디 담낭결석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질병 기술
2.1. 원인
2.2. 병태생리
2.3. 임상증상
2.4. 치료
2.5. 간호
3. 간호과정
3.1. 간호진단
3.2. 간호과정적용
4. 실습 보고서
4.1.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담석증은 담낭 또는 담도에 발생하는 담석과 관련된 질환이다. 담석증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우상복부 및 상복부의 심한 통증인 담석산통이다. 이와 함께 오심, 구토, 미열, 황달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담석증은 진단을 위해 복부 초음파 검사, CT, MRCP 등의 영상 검사를 수행하며, 치료로는 내과적 약물 요법과 경피적 담석 제거술, 복강경 담낭절제술 등의 외과적 치료가 이루어진다. 간호사는 담석증 환자의 증상 관리, 합병증 예방, 절차에 대한 교육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2. 질병 기술
2.1. 원인
담석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크게 4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담즙 성분의 변화이다. 담석 환자들의 담즙은 콜레스테롤이 과포화되어 있으나 담즙산은 부족하다. 이러한 담즙 성분의 변화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심해진다. 둘째, 담낭의 정체로 인해 담즙의 정체(cholestasis)가 발생할 수 있다. 담낭 수축력 감소와 오디 괄약근의 경련으로 인해 담즙이 정체되면 담즙 성분 변화, 콜레스테롤 과포화, 그리고 이의 침전(결정화)이 일어나 담석이 형성된다. 구강섭취 없이 장기간 TPN을 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담낭 정체가 발생하여 담석이 생길 수 있다. 셋째, 담도의 감염이다. 염증으로 인해 떨어져 나간 조직 파편이 담석 형성의 핵이 되고, 특정 세균도 담즙 성분을 변화시켜 담석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담석 형성에는 유전적 요인도 작용한다. 또한 담석의 고위험군을 여성, 40대 이상, 비만, 경산부(4F)라고 한다.
2.2. 병태생리
담낭염은 담낭의 가장 흔한 문제이다. 담낭염은 대개 담석증과 함께 나타나지만 결석 없이 발생할 수도 있다.
결석성 담낭염(Calculus of gallbladder with cholecystitis)은 보통 담석이 담관(bile duct)을 막아서 담즙(bile)이 정체(stasis)되어 발생한다. 담즙이 정체되면 재흡수되어 담낭벽(쓸개벽)을 자극하게 된다. 이로 인해 담즙이 담낭에 독성 효과를 나타내게 되어 담낭의 부적절한 혈액순환, 부종 및 팽만과 더불어 담낭벽의 허혈 상태가 초래된다. 그 결과 조직은 괴사(necrosis)되고 탈락하여 담낭벽에 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천공 부위가 적고 국소적인 경우 농양(abscess)이 형성되고, 천공이 큰 경우 복막염(peritonitis)이 발생한다.
비결석성 담낭염(acalculous cholecystitis)은 담낭 혈류의 저하(노화)나 해부학적 문제(심한 손상, 화상, 대수술 등)가 있거나 세균이 림프관이나 혈류를 통해 침입하여 발생한다. 원인균은 대장균(escherichia coli)이 가장 흔하고, 사...
참고 자료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Ⅰ, 2020, 학지사메디컬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Ⅱ, 2020, 학지사메디컬
김종임 외, 기본간호학 Ⅰ, 2018, 수문사
김종임 외, 기본간호학 Ⅱ, 2018, 수문사
하주영 외, 병태생리학, 2018, 정담미디어
임인석, 저칼륨혈증과 고칼륨혈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2006, 5p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 N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대한초음파의학회, https://www.ultrasound.or.kr/
MSD 매뉴얼,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