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딥스의 A선생님(Axline) 반응을 예시로 들어 아동중심놀이치료의 치료적(촉진적) 반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중심 놀이치료에 대한 개념 정리
1.1. 아동중심 놀이치료에서 놀이, 아동, 치료자, 치료적 관계에 대한 개념
1.2. [딥스]책을 읽고 '딥스'의 관점에서 부모와 A(Axline)선생님, 놀이치료 경험
1.3. 액슬린(Axline)의 8가지 치료적 원리와 [딥스]책에서 A(Axline)선생님의 태도와 반응
2. 아동중심 놀이치료에 대한 개인적 견해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중심 놀이치료에 대한 개념 정리
1.1. 아동중심 놀이치료에서 놀이, 아동, 치료자, 치료적 관계에 대한 개념
아동중심 놀이치료에서 놀이, 아동, 치료자, 치료적 관계에 대한 개념이다.
아동중심 놀이치료는 아동의 무한한 잠재력을 기본 전제로 삼는다. 아동이 자신의 문제를 본인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잠재력을 믿고, 또 그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그래서 해당 기법은 아동의 무한한 잠재력이 제대로 발달되기 위해서는 아동에게 적절한 성장 환경이 제공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놀이치료라는 것은 아동이 가장 적절한 환경 조건 속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경험 및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놀이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은 아동이 지닌 사회적 및 정서적인 어려움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고, 아동이 보다 긍정적으로 발달할 수 있게끔 돕는 것이다. 즉, 놀이치료는 치료적 관계 안에서 '놀이'라는 매개체를 활용하여 아동의 어려움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며 목표인 것이다.
기본적으로 아동중심 놀이치료에서 놀이는 아동의 무한한 잠재력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훌륭한 기제가 된다. 그리고 아동은 놀이를 통해 자신의 잠재력을 스스로 이끌어 내는 주체자가 된다.
치료 상황에서 치료자는 아동의 여러 가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아동은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갈등을 해소하며, 내부의 무한한 잠재력을 스스로 발견하게 된다. 그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또 성숙해지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즉, 치료자는 놀이 속에서의 자연스러운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며, 놀이의 주체는 아동인 것이다. 조력자와 주체자로서의 관계를 이어나가는 것이 둘 간의 치료적 관계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아동중심 놀이치료에서 놀이치료자의 공감적이고, 허용적이며 민감한 반응은 아동으로 하여금 자신이 독립된 인간으로서 존중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만든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둘은 상하 관계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치료자는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고 또 아동의 내적인 자원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기 위해 진실성과 무조건적이고 긍정적인 관심과 수용, 그리고 민감한 이해에 대한 태도를 지녀야 한다.
치료자의 진실...
참고 자료
액슬린, 딥스 (문제아에서 천재가 된), 효리원, 2012.
문혁준, 아동상담과 치료, 창지사, 2021.
유가효 외, 놀이치료의 이해, 양서원, 2019.
이행숙. "아동중심놀이치료에서의 아동과 치료자 반응 관찰척도 개발 및 적용." 국내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버지니아 M.액슬린(2011), 세상에 마음을 닫았던 한 소년이 자아를 찾아 떠나는 여행 딥스, 샘터
액슬린, 딥스 (문제아에서 천재가 된), 효리원, 2012.
문혁준, 아동상담과 치료, 창지사, 2021.
유가효 외, 놀이치료의 이해, 양서원, 2019.
[딥스] 주정일, 이원역 역(2002). 샘터사
Garry L. Landreth, 『놀이치료:치료관계의 기술』, 학지사
Maria Giordano, Garry Landreth Leslie Jones, 『놀이치료관계 형성을 위한 핸드북』, 학지사
김현희, 『놀이치료 주차 핸드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