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ha 심폐소생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심폐소생술의 개요
1.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역사
1.2. 심폐소생술의 목적과 원칙
1.3. 심폐소생술의 유형
2. 심폐소생술의 시행
2.1. 기본 심폐소생술의 시행
2.2. 목격자 심폐소생술의 시행방법
3. 전문 심폐소생술
3.1. 전문 심폐소생술의 개념
3.2. 전문 심폐소생술의 방법
4. AED의 사용
4.1. AED에 대한 설명과 적용 이유
4.2. AED 시행 순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심폐소생술의 개요
1.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역사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resuscitation, CPR)은 미국의 SAFER 재단에서 처음 수행된 방법이다. 1962년 Anne이라는 여성이 처음으로 심폐소생을 받은 대상자였다. 1996년 CPR 학회가 시작된 이래 미국심장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를 중심으로 지침이 마련되어 왔다. 하지만 1992년 미국과 유럽의 국가가 모여 보다 과학적 근거에 의한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 ILOT(International Liaison Committe on Resuscitation)를 결성하였다. 이 위원회는 지침의 근거를 검토하여 국제적 합의를 통해 매 5년마다 국제지침을 발표하고 있다. 또한 현재 통용되고 있는 2010년 지침은 누구나 심폐소생술을 보다 쉽게 배우고 기억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숫자를 간편화하였는데, 가슴압박 대 구조 호흡의 비율을 성인 및 소아, 그리고 1인 및 2인 구조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심폐소생술의 국제적 지침은 2015년 개정되었다.
1.2. 심폐소생술의 목적과 원칙
심폐소생술의 목적은 심폐정지 중에 필수 장기(뇌, 심장)로의 산소 및 혈액공급을 유지하여 조직손상을 최소화하고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며, 자발적 순환(return of spontaneous cirnulation, ROSC) 및 자발적 호흡을 회복하는 것이다. 심장은 정지 후 4분이 지나면 뇌가 손상받기 시작하며, 6분이 지나면 뇌사 가능성이 있고, 10분이 지나면 생물학적 사망을 의심할 수 있다. 갑작스런 심정지(sudden cardiac arrest)로 인해 대부분의 사망원인은 심실세동(심장의 박동에서 심실의 각 부분이 무질서하게 불규칙적으로 수축하는 상태. ventricular fibrillation, VF)이며, 5분 이내에 제세동을 해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폐소생술은 제세동 전후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심정지 환자가 발생하면 빠른 시간 내 심정지를 인식하여 응급의료체계를 활성화하고 신속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 또한 신속한 제세동과 전문소생술을 시작하고 이후 자발적 순환이 회복된 대상자에게 전문적인 심정지 후 통합치료를 시행함으로써 대상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심폐소생술을 적용함에 있어 소생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생존 사술(chain of survival)'은 '①심정지의 예방과 조기발견 ②신속한 신고 ③신속한 심폐소생술 ④신속한 제세동 ⑤효과적 전문소생술 및 심정지 후 치료'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심정지 환자가 소생되기 위해서는 해당 생존사슬이 즉시, 그리고 쉼 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1.3. 심폐소생술의 유형
심폐소생술의 유형은 크게 기본 심폐소생술(basic life support, BLS)과 전문 심폐소생술(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CLS)로 구분된다. 기본 심폐소생술은 "C(Chest compression)-A(Airway)-B(Breathing)-D(Defibrillation)"의 순서를 따르며, 의식과 호흡 확인, 응급의료체계 신고, 가슴압박 및 인공호흡, 제세동기 적용 등을 포함한다. 반면 전문 심폐소생술은 "A(Airway)-B(Breathing)-C(Circulation)-D(Differential diagnosis)"의 순서로 진행되며, 기도유지상태 평가, 기관내삽관을 통한 기도 확보, 폐환기 및 순환 상태 확인, 가능한 심정지 원인 추정 등의 처치를 포함한다. 전문 심폐소생술에서는 정맥로 확보, 약물 투여, 제세동 및 전기적 심장율동전환 등의 처치가 추가...
참고 자료
한국전문소생술(Provider Manual of Korea Advanced Life Support) – 군자출판사
https://cpr.heart.org/AHAECC/CPRAndECC/Programs/UCM_473193_Programs.jsp
미국심장협회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17
대한심폐소생협회 KALS 위원회. (2020),한국전문소생술. 군자출판사
대한응급기도관리연구회.(2018).최신응급기도관리.군자출판사
세브란스병원 간호국.(2021) 간호업무 지침서
세브란스병원 적정진료관리실.(2018). 심폐소생술 ver.2.1.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2013). 세브란스소아진료매뉴얼. 연세대학교 대학출판 문화원
안효섭 (2020).홍창의 소아과학 제12판.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전국응급구조과교수협의회 (2021).소아전문응급처치학.군자출판사
이옥철 외 공저, 응급 및 재난 간호, 현문사, 2020년, p187~200
심폐소생술 및 자동심장충격기, 중앙응급의료센터
https://www.e-gen.or.kr/egen/first_aid_basics.do
자동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 AED) 사용방법, 대한심폐소생협회
http://www.kacpr.org/page/page.php?category_idx=3&category1_code=1247206302&category2_code=1527742406&page_idx=1119
목격자 심폐소생술의 시행방법, 대한심폐소생협회
https://www.kacpr.org/page/page.php?category_idx=3&category1_code=1247206302&category2_code=1527742406&page_idx=1118
심장마비와 심폐소생술, 대한심폐소생협회
http://www.kacpr.org/page/page.php?category_idx=3&category1_code=1247206302&category2_code=1527742406&page_idx=1115
생존사슬, 대한심폐소생협회
http://www.kacpr.org/page/page.php?category_idx=3&category1_code=1247206302&category2_code=1527742406&page_idx=1117